[10분 독서] 알튀세르의 사회주의-철학 맛보기
<얻어갈 개념어들>
마르크스주의적 휴머니즘(Marxist Humanism), 알튀세르의 실존주의 비판(Althusser's Critique of Existentialism), 신학적 혁명(Theological Revolution)
인식론적 단절(epistemological break), 증상적 읽기(symptomatic reading), 프로블레마틱(problematic)
이론적 실천(theoretical practice), 생산양식(mode of production)
구조적 인과성(structural causality), 중층결정(overdetermination)
우연적 유물론(Aleatory Materialism), 이성의 원리(Principle of Reason), 반목적론적, 과학주의적, 반인간주의적 마르크스주의
안녕하세요 독서칼럼에 진심인 타르코프스키입니다.
오늘은 루이 알튀세르(Louis Althusser)의 헤겔-마르크스주의, 모순이론, 이데올로기 이론 등을 바탕으로 지문을 제작해 보았습니다. 알튀세르는, '알 사람은 다 알지만 수험생들은 생소해할 만한 학자'이기 때문에 출제자들이 특히 좋아할 학자라고 생각합니다.
이제 서론 읽을 시간도 없습니다.
핸드폰 켠 김에, 모순, 이데올로기, 중층결정, 증상적 독해 등에 관한 다양한 철학적 개념을 분석한 아래 지문을 읽어보세요.
(좋아요 누르고 시험운 받아가세요!)
출처: https://plato.stanford.edu/entries/althusser/
참조 및 재구성.
(연습문제 1)
루이 알튀세르의 1946년부터 1960년까지의 초기 저작은 최근에야 비로소 비평적 관심을 받고 있지만, 그 당시에는 거의 주목받지 못했다. 이러한 초기 작품들은 방법론, 스타일, 영감 측면에서 그의 후반기 주요 저서인 「마르크스를 위하여」와 「자본을 읽다」와 상당히 다르다. 예를 들어, 1940년대에 알튀세르는 이후에 비판하게 될 마르크스주의 인간주의자들과 유사한 방법과 결론을 도출했다. 또한 1950년대에는 나중에 자신이 성토할 스탈린주의적 상투어를 아이러니 없이 사용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초기 텍스트들은 알튀세르의 지속적인 주제들을 발표하고 있으며, 이 작품들에 내재된 몇 가지 모순들은 그의 고전적 텍스트들과 공유되며 말년의 저작에서도 반복된다. 그의 1946년부터 1961년까지의 초기 철학적 생산물은 대략 네 가지 범주로 나눌 수 있는데, 첫 번째 범주는 기독교와 마르크스주의 사이의 가능한 관계를 탐구한 에세이들이다. 1946년의 에세이 「선의의 감정의 국제」에서 알튀세르는 "기독교의 진리"에 기반하여, 원자 시대의 인간 조건에서의 고통, 죄책감, 소외가 모든 주체에게 동일하게 경험된다는 전후의 대중적 견해에 반대한다. 그는 이러한 실존주의적 진단이 우상숭배의 한 형태라고 주장하는데, 이는 신 앞에서의 평등 인식을 죽음에 대한 공포 앞에서의 평등으로 대체하기 때문이며, 따라서 반기독교적이라는 것이다. 또한 그러한 대중적 견해는 인간 생산물의 재전유를 통해 해방을 실현할 수 있는 특정 계급인 프롤레타리아트(proletariat)를 인정하지 못한다. 1947년의 에세이 「사실의 문제」에서도 그는 이와 같은 논지를 이어가며, 기독교적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사회주의적 수단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기존 가톨릭 교회에 대한 헤겔주의적 비판을 통해 신학적 혁명이 필요함을 주장한다. 이러한 에세이들에서는 비판과 개혁이 더 나은 교회와 진정한 기독교로 이어질 것이라고 암시한다. 그러나 1949년 무렵 알튀세르는 이러한 가능성에 대해 완전히 비관적으로 변했으며, 그의 멘토 장 라크루아에게 보낸 편지에서 기독교적 가치를 실현할 유일한 방법은 공산주의적 행동이라고 주장했다. 일부 비평가들은 기독교와 가톨릭의 가치와 사유 방식이 알튀세르의 철학 전반에 영향을 미친다고 주장하지만, 이 시점 이후로 그 두 가지를 실천적이고 이론적으로 화해시키려는 명시적인 고려는 그의 발전 과정에서 사라졌다. |
<틀린 선택지> |
<틀린 선택지> |
<이 글에서 얻어갈 개념 3가지> |
(연습문제 2)
루이 알튀세르는 1961년부터 1966년까지 마르크스주의 철학을 새롭게 해석하기 위해 독특한 해석학적 방법을 발전시켰다. 그는 동시대의 많은 학자들이 마르크스의 초기 저작에서 그의 철학의 '본질'을 찾으려는 시도가 방법론적으로 문제가 있고 이데올로기적으로 동기화되어 있다고 비판하였다. 알튀세르는 마르크스가 1845년에 '인식론적 단절(epistemological break)'을 경험하여 헤겔과 포이어바흐의 철학과 단절하고, 새로운 철학인 '변증법적 유물론(Dialectical Materialism)'과 새로운 과학인 '역사적 유물론(Historical Materialism)'을 창시하였다고 주장하였다. 그는 마르크스의 텍스트를 읽는 데 '증상적 읽기(symptomatic reading)'라는 방법을 도입하였는데, 이는 스피노자와 프로이트, 라캉, 그리고 프랑스의 역사적 인식론 전통의 영향을 받은 것이다. 증상적 읽기는 텍스트의 표면에 드러나지 않는 기저의 개념적 틀인 '프로블레마틱(문제틀, problematic)'을 밝혀내는 것을 목표로 하며, 이는 저자와 텍스트가 그 시대의 이데올로기의 산물이라는 스피노자의 아이디어와 무의식이 증상으로 나타난다는 프로이트와 라캉의 이론에 기반한다. 알튀세르는 마르크스의 후기 저작인 『자본』에서도 그의 철학이 명시적으로 드러나지 않고 암시적으로 존재한다고 보았으며, 따라서 텍스트의 모순, 누락, 과잉결정과 같은 '증상'에 주목하여 마르크스의 철학적 개념들을 추출하고자 하였다. 그는 마르크스의 초기 저작에서 그의 철학의 본질을 찾거나 텍스트의 모순을 해소하여 일관된 이론을 구축하려는 인간주의적 해석을 비판하였다. 알튀세르는 이러한 증상적 읽기를 통해 마르크스의 철학을 명확히 함으로써 해석학, 형이상학, 인식론, 과학철학, 역사학, 정치철학 등에 독자적인 기여를 하였다. 또한 그는 마르크스의 철학이 완전히 명시되지 않았기 때문에 이를 밝히는 작업이 필요하다고 주장하면서, 이 과정에서 사용한 개념들이 스피노자와 동시대 철학자들의 영향을 받았음을 인정하였다. 그러나 그는 이러한 개념들을 마르크스주의 철학에 독창적으로 통합하여 자신만의 철학적 공헌을 이루었다. 결국 알튀세르는 마르크스의 철학을 재해석하고 체계화하는 작업을 통해 마르크스주의의 지속적인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으며, 이는 그의 해석학적 방법과 철학적 통찰을 통해 가능하였다. |
<틀린 선택지> |
<이 글에서 얻어갈 개념 3가지> |
(연습문제 3)
루이 알튀세르는 마르크스 철학의 지배적인 두 해석에 대하여, 그들이 공통적으로 범한 오류를 지적하며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였다. 이 두 해석은 모두 마르크스를 경험주의자(empiricist)로 간주하는 인식론적(epistemological) 오류를 범하였는데, 이는 인간 주체가 관찰과 추상을 통해 사물의 본질(essence)을 파악한다는 지식 이론을 마르크스에게 귀속시킨 것이다. 이에 반해 알튀세르는 진정한 과학적 지식은 역사적 주체가 아닌 과학적 지식 자체의 내적 과정에 의해 생산된다고 주장하였다. 이 과정은 사유(thought) 속에서 일어나지만, 과학적 지식은 결코 순전한 사실(brute facts)로부터 출발하지 않으며, 기존의 개념 또는 '종'(genera)으로부터 시작한다. 이러한 종은 부분적 또는 전체적으로 이데올로기적일 수 있으며, 과학의 역할은 이 개념들을 과학적으로 만드는 '이론적 실천'(theoretical practice)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론적 실천의 결과는 과학적 지식이며, 이는 과학이 보유한 개념의 총체인 '이론'(theory)을 적용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이론은 개별 개념들의 합으로 구성되며, 이는 기존의 종이 이해될 수 있는 가능한 방식들을 한정한다. 과학의 이론이 적용될 때, 이론은 종에 내재된 이데올로기적 관념들을 제거하여 '이데올로기적 일반성'(ideological generality)을 '과학적 일반성'(scientific generality)으로 변환시킨다. 예를 들어, 의학에서 '점액질'라는 개념이 혈액 매개 병원체(blood-borne pathogens)로 전환되는 과정이 그 사례이다. 이러한 과학적 개념이 생성되면, 그것들은 과학적 실천을 이끌어 나가며, 개별 과학 내에서의 연구 프로그램의 진전을 가능하게 한다. 알튀세르는 갈릴레이의 현대 물리학 창시, 그리스 수학의 발전, 마르크스의 역사유물론(Historical Materialism) 창시 등을 이러한 '인식론적 단절'(epistemological break)의 예로 들었다. 마르크스의 '생산양식'(mode of production) 개념은 우리가 스스로와 환경, 지식, 역사를 물질적으로 어떻게 생산하는지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각 생산적 실천은 고유한 인과 구조를 가지며, 전체로서 복잡하게 구조화된 전체와 관계 맺고, 다른 실천의 본질적 원인으로 환원될 수 없다. 따라서 철학의 역할은 과학적 개념과 이데올로기적 개념을 구별하고, 과학적 개념을 명확히 하여 과학적 실천을 돕는 '이론의 이론'(Theory of theoretical practice)으로서 기능하는 것이다. 대부분의 철학 활동은 이데올로기적 생산에 불과하지만, 진정한 철학은 이론적 실천을 통해 과학적 지식의 생산을 가능하게 한다. |
<틀린 선택지> |
<틀린 선택지> |
<이 글에서 얻어갈 개념 3가지> |
(연습문제 4)
알튀세르는 마르크스주의 철학에서 증상적 독해(symptomatic reading)를 통해 드러난 잠재적 개념들이 변증법적 유물론(Dialectical Materialism), 즉 마르크스의 철학을 구성한다고 보았다. 이러한 개념들이 명확해짐으로써 마르크스주의 과학인 역사적 유물론(Historical Materialism)은 특정 생산양식(mode of production)을 더욱 잘 분석하고, 그에 따른 정치적 변화를 이해할 수 있게 된다. 알튀세르는 생산 과정의 각 요소가 복잡하게 구조화된 전체와 관계를 맺고 있으며, 그 어떤 요소도 단순하거나 본질적인 원인으로 환원될 수 없다는 아이디어를 "구조적 인과성(structural causality)"이라고 명명했다. 이는 총체적인 생산 과정에서 모든 요소가 서로에 의해 규정된다는 "중층결정(overdetermination)" 개념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이러한 철학적 개념은 특정 생산양식의 논리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며, 생산양식 내에서의 "모순(contradiction)"은 다양한 구체적 실천들이 동시에 존재하며 이들 사이에 긴장이 존재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마르크스의 『자본론』 1권의 "소위 원시 축적"에서 15세기 말과 16세기 초 신흥 부르주아지가 농민들의 토지를 수탈하는 동시에, 교회와 귀족은 이러한 수탈에 반대하는 법률을 제정하였다. 이러한 총체적 구조의 어떤 요소—개인, 사회 계급, 제도 또는 국가 등—도 이러한 실천과 대립을 반영하고 구현하며, 따라서 각각은 "중층결정"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알튀세르는 특정 생산양식 내에서의 생산적 실천의 발전이 "불균등성(unevenness)"을 보인다고 지적하는데, 이는 동일한 전체 내에서 일부 경제 요소는 자본주의적이지만 다른 요소는 사회주의적 규범에 따라 작동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알튀세르는 구조적 전체에서 다른 실천들을 조직하는 주된 요소를 "지배적 구조(structure in dominance)"라고 부르는데, 현대 세계에서 도덕적 가치, 과학적 지식, 가족, 예술 등을 조직하는 것은 상품의 생산과 소비라는 경제적 실천이다. 그러나 다른 시대나 장소에서는 종교적 신념과 실천의 생산과 전파가 사회경제적 구조를 지배하고 조직할 수 있다. 이러한 개념들을 바탕으로 알튀세르는 사회철학의 주요 대상은 인간 개별 존재가 아니며, 정치철학의 핵심 요소는 국가가 아니라고 주장한다. 인간의 본질이나 국가의 정의 구현 방식에 대한 고찰은 이데올로기적 산물에 불과하며, 역사적 유물론의 과학은 이러한 개념들이 역사적으로 생성되었으며 기존의 사회 관계를 재생산하는 데 기여한다고 본다. 따라서 인간 본성이나 최선의 정치적 배열에 대한 우리의 개념들은 생산적 관계에 따라 형성된 이데올로기이며, 역사에는 주체나 목적이 없고, 진보의 필연성도 부정된다. 역사는 일정한 패턴이나 질서를 보일 수 있지만, 변화는 내재된 모순과 발전 수준에 따라 발생하며, 이는 인간의 의지나 역사적 법칙에 따른 것이 아니다. |
<틀린 선택지> |
<틀린 선택지> |
<이 글에서 얻어갈 개념 3가지> |
(연습문제 5)
알튀세르는 그의 후기 저작에서 철학사에 존재하는 '지하의' 혹은 거의 인정받지 못한 전통이 있음을 제안하며, 이를 '우연적 유물론(aleatory materialism)' 또는 '조우의 유물론(materialism of the encounter)'이라고 불렀다. 우연적 유물론은 세계와 역사에 대한 긍정적 주장뿐만 아니라 특정 철학적 관념의 거부로도 특징지어진다. 우주나 역사가 기원이나 종착점을 가진다는 생각인 '이성의 원리(principle of Reason)'를 부정함으로써, 알튀세르는 합리주의 전통의 통상적인 인물들뿐만 아니라 결정의 논리를 갖는 기계적 유물론과 변증법적 유물론까지도 배제한다. 또한 철학과 철학자가 자율적이며 외부에서 객관적으로 세계를 바라볼 수 있다는 신화도 거부한다. 객관적인 세계가 존재하지만, 철학은 그것을 자신의 대상으로 하는 지식을 가지지 못하는데, 이는 철학이 스스로를 정초할 수 있는 방법이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철학은 과학이나 과학들의 과학이 아니며 보편적 진리를 생산하지 않는다. 오히려 철학이 생산하는 진리는 우연적이며, 다른 경쟁하는 진리에 대항하여 제시된다. 만약 철학이 대상을 가진다면, 그것은 공백 또는 아직 존재하지 않지만 존재할 수 있는 것이다. 철학이 대상을 가지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우연적 유물론은 설명적 또는 실천적 가치가 있는 한에서 참인 긍정적 명제들, 즉 '테제(theses)'를 제시한다. 첫째, 데모크리토스를 따라 만물이 존재하는 것은 물질뿐이라고 주장한다. 둘째, 우연 또는 우연성이 모든 세계의 기원에 있다고 본다. 이러한 세계를 구성하고 정의하는 패턴들은 특정 법칙에 따라 알려지고 예측될 수 있지만, 이 세계들이 그러한 패턴으로 조직되었다는 사실 자체는 우연적이다. 셋째, 새로운 세계와 새로운 질서는 이미 존재하는 물질적 요소들의 우연한 조우로부터 발생하며, 그들의 출현은 우연적이다. 정치철학에서 이러한 명제들은 가치를 지니는데, 이는 루소와 홉스가 정치 질서의 우연성을 인식한 데서 드러난다. 알튀세르는 우연적 유물론이 정치 영역에서 어떻게 작용하는지를 보여주기 위해 마키아벨리와 마르크스를 언급한다. 그의 반목적론적, 과학주의적, 반인간주의적 마르크스주의 철학은 앞에서 기술된 유물론적 형이상학과 일치한다. 사회와 주체는 예측 가능한 방식으로 행동하는 활동의 패턴으로 간주된다. 철학은 이러한 상호작용을 일반적인 수준에서 분류하는 데 그치는 것처럼 보일 수 있지만, 알튀세르는 우연성을 인식함으로써 유물론적 철학자가 정치 질서의 변혁 가능성을 사유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만약 우연이 허락한다면, 요소들은 재결합하여 새로운 정치 질서가 나타날 수 있다. 이 힘이 제한적이고 예측 불가능하지만, 알튀세르는 이것이 기존의 관계를 재생산하는 데 그치지 않는 유일하게 적합한 정치적 실천의 힘이라고 본다. |
<틀린 선택지> |
<틀린 선택지> |
<이 글에서 얻어갈 개념 3가지> |
오늘은 여기까지입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그때는 발송용표지어쩌구 제대로 읽지도 않고 나중에 출력해야지~햇는데 지금보니까 9월...
-
항상 선배들의 입시를 보던 내가 현역이 되다니
-
제작중입니다! 완성되는 대로 가장 빨리 공유할게요! 아래로 선착 5명 댓글 500덕
-
언매 미적 영어 생1 지1 원점수 98 100 82 45 44
-
다들 확인 ㄱㄱ혓
-
올해 사탐은 4
윤리 힘조절 실패한거빼고는 유불리 없게 잘낸듯? 쌍윤 힘 좀만 뺐으면 황밸같은데
-
수도권 가능한가요?
-
문과 반수생인데 건동홍(+외) 이상으로 가고 싶습니다 가능할까요?
-
설대는 자전노리면 되려나 연고는 상관없죠?
-
갑자기 26정시모집에서 사탐런 막아버릴수도 있나요? 8
모든 이과 공대들이나 의치한약수가 사탐런 막으려고 아예 막아버리거나 과탐 가산점을...
-
화작 기하. 생명1 지1 문과로 넣어도 국숭세단은 힘들까요ㅠ
-
안녕하세요~ Crux 컨설팅의 환동입니다~~~ 어제 수능보느라 수고하신 여러분들을...
-
문과라인 0
세단 가능항가요ㅜ
-
담배말리네
-
작년엔 나 포함해서 80퍼는 사라졌었는데
-
몇퍼나 될까요... 제발
-
응응.. 32211로 하자
-
2문제가 아리까리해서 애매하긴 한데 백분위 기준 국어 81 수학 81 영어 1 생윤...
-
내년 쌍사로 칠거 같은데 만표 잘나오면 좋겠다 .. 세계사 다시 보니까 만점...
-
사탐해야하나요 0
굳이 어려운과탐골라서 물1 지1 n제까지 몇번 돌린 07입니다 사탐 표점이 저렇게...
-
하... 반수할려 그랬는데 진짜 커로찍어서 걍 생재수 각임 재수때 못보면 진짜 인생...
-
1년 더 한다고 실력이 유의미하게 늘지도 모르겠고 실력이 늘어도 물리같은 경우에는...
-
탐구컷 0
사탐컷 어디가 젤 정확한가요.. 사문 37인데 3받을수있겠죠?? ㅠㅠ
-
이게 한국사라는건데...
-
07인데 내년에 투과목 하려고요 물1이나 화1이 꼭 포함된 조합으로 이유와함께...
-
가천대 1
논술 11월 25일 몇시임?
-
화미생1화2로 쳤습니다 사실 탐구는 그냥 밀어버려서 내년엔 사탐런하려구요 영어가...
-
메가 컷 1
실제컷이랑 지금 메가 컷이랑 크게 달라질까요? 표점이나 백분위도..?
-
ㅇㄱㄹㅇ
-
그래야 붙는데
-
문과대학라인 5
보통 이정도 성적이면 가나다군 어디쓰나요?? 여자여서 이대도 가능해요
-
ㅅㅂ 고논 가야하나 16
수학 11번 틀려서 최저 간당간당하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인생
-
찐초록뜨는거 올해 최종합격 가능?
-
서점간다 0
공부...해야겠지?
-
영어 3등급임
-
논술 과잠 0
약대 논술 보러 갈때 연대 과잠 입고 가면 너무 별로임?? 근데 아우터가 후드집업 말고 없어..
-
진짜 나같이 수학머리 없는 사람들은 아무리 열심히 해도 수능날 2등급도 개빡셈.....
-
9모 성적 화작 1 수학 3 영어 1 생윤 2 지구과학 2였는데 수능은 화작 93...
-
둘 다 가고 싶은데 어디가 좋을까요
-
이과목은 진지하게 극복이 불가능할 것 같다는 생각이 드네요 수능날만 타임어택이라는...
-
공통3 미적3틀인데 와…진짜 대가리한대맞은느낌 푼것도 계산실수해서 틀리고 난리
-
현장에서의 아이디어+ 유사문항까지 넣을꺼야 흐흐
-
1컷 불가능? 돌아버리겠노...
-
내년 재수 뛸 크루는 주변에 많긴한데 1년 뒤쳐진다는 사실이 존나 암울함...
-
논술갈까말까 0
희마오ㅚ로돌리고 갈까요
-
저에게 고생했다는 말을 해줄거에요
-
어림도 없나요
첫번째 댓글의 주인공이 되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