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yunu [1193032] · MS 2022 (수정됨) · 쪽지

2023-01-16 23:17:21
조회수 8,740

생명과학 공부가 막막할 때

게시글 주소: https://image.orbi.kr/00061372166

해당 게시글에서 답을 찾아가시길


"수능 생명과학 공부"에 대해 업로드한 칼럼, 업로드할 칼럼 정리입니다. 


 [저자 소개]

 https://link.inpock.co.kr/hyunu



1. 평가원도 결국 사람 집단

  수능 문항은 당해 평가원 시험지를 기반으로 EBS IDEA를 덧붙여, 미출제 Point를 반영하여 제작한다.

 

  [근거 & 칼럼]

  https://orbi.kr/00061336703 


  기출, EBS의 아이디어를 빠짐없이 가져가기만 해도 1등급이 나오는 과목이니 

  N제와 모의고사 돌리기 전에 자신이 모든 요소를 전부 공부했는지를 우선 점검하자.




2. 핵심 문항 풀이의 전제는 기본 문항이다.

  생명과학 비킬러는 타 과탐 과목에 비해 단위 시간 당 효율이 높은 편이다.

  핵심 문항으로 고민하기 전에 변별력이 없는 문항을 5분 내에 풀어낼 수 있는지부터 점검하자.


  [근거 & 칼럼]

  https://orbi.kr/00061317552




3. 비킬러(기본 문항)의 핵심은 학습을 통한 자동화, 그리고 유형의 암기 및 풀이 행동 확립이다. 

  비킬러 문항은 생각 없이 손이 먼저 움직이는 경지인 자동화

  그리고 어떤 유형이 상향 유형인지, 하향 유형인지 암기한 후 행동을 결정해두는 게 중요한다.


  [근거 & 칼럼]

  https://orbi.kr/00061317552




4. 준킬러 문항의 핵심은 "체화"이다.

  아무리 낯설게 출제되어도

  준킬러 문항은 반드시 평가원과 EBS에서 암시한 내용으로 제시된다.  


  생명과학1에서 대표적인 준킬러 문항인 근수축, 흥분 전도 문항은 모두 23학년도 9평, 수완 연계 문항이었으며

  생명과학2에서 대표적인 준킬러 문항인 샤가프, 제한 효소 문항은 모두 23학년도 9평, 이전 기출 논리 연계 문항이다.


  [흥분 전도 칼럼]

  https://orbi.kr/00061336703

 

  [근수축 칼럼]

  https://orbi.kr/00060320200

 

  [샤가프 칼럼]

  (예정)

  

  [제한 효소 칼럼]

  (예정)

 



5. 킬러 문항의 핵심은 "안정감", "모의 훈련" 그리고 킬러 외의 문항들의 Shortcut이다.

  마음을 편하게 먹자.

  뇌과학에 의하면 초조하고 불안하면 평소 실력으로 풀릴 문항도 풀리지 않는다.


  생명과학1 기준 기출, EBS 외의 미출제 Point가 포함된 문항은 2문항

  생명과학2 기준 기출, EBS 외의 미출제 Point가 포함된 문항은 2문항이었고

  각각 2문항을 모두 틀려도 1등급, 생1은 백분위 99이다.


  평소에 충분히 행동을 모의 훈련하지 않으면

  시험장에서는 결코 발휘할 수 없다.


  킬러 자체를 예견한다기 보다는 다른 문항들을 간결하게 끊어내고

  잘 배워온 경험치(직관), 배웠던 사고 과정(논리), 결정성과 특수성의 판단을 적절히 활용하여 풀어내도록 하자.

  이때 킬러 풀이의 전제는 비킬러, 준킬러에서의 시간 확보이다.


  [칼럼]

  (예정)


  [실전개념 출판]

  https://orbi.kr/00060983725

   

  [실전개념 인강]

  https://orbi.kr/00061034566


  [연락처 & 경험치 물약]

   https://link.inpock.co.kr/hyunu

 

 


6. 결정된 정보, 특수한 정보를 잡아내고 엮어가는 연습을 충분히 하자.

  준킬러 문항과 킬러 문항의 핵심 차이는

  준킬러 문항은 Algo(풀이 체계)가 거의 정해져 있고

  킬러 문항은 큰 Algo 내에서 자료 해석의 시작점을 직접 찾아야 한다는 데에 있다.


2211

2311


 왜 ㄱ과 ㄴ의 합이 3인 구성원 6에서 출발해야 하는지

 왜 E+F+G가 1로 정해진 구성원 4에서 출발해야 하는지

 확실한 당위성을 명확한 근거를 갖고 설명할 수 있어야 한다. 


 [칼럼]

 (예정)



7. 사고 과정의 "논리"는 연역적 사고와 귀류적 사고로 나뉜다.

 연역적 사고는 논리와 추리로 결정된 정보와 특수한 정보를 적절히 잡아나가는 사고 방법이고 

 귀류적 사고는 모순을 이끌어내 그 가정이 거짓임을, 즉 처음의 경우가 거짓임을 밝히는 사고 방법이다.


 두 사고의 쓰이는 순서와 상황은 명확하다.

 귀류도 논리적 사고의 일종이니 필요한 상황에서는 적절히 활용하도록 하자.  

  

[칼럼]

 (예정)




8. N제 vs 모의고사의 선택.

  우리가 치뤄야 하는 시험은 4교시 28분이므로

  N제를 풀 때 "학습"과 "실전"으로 활용을 나누도록 하자.


  [N제의 활용]

  시간을 충분히 두고 최대한 출제 요소를 뽑아내는 연습 [학습]

  시간을 재고 실전성 있게 풀어내는 연습 [실전]

  그리고 모의고사 형태 내에 넣어서 실제 시험지 내에서 운용하는 연습


  이 세 가지로 모두 학습할 수 있는 형태가 되면 가장 이상적이다.


  [실전개념 인강]

  https://orbi.kr/00061034566



  [실모의 활용]

  시간을 재고 실전성 있게 운용해내는 연습이 최우선이고

  푸는 과정(실전)에서 그리고 분석하는 과정(학습)에서 

  본 칼럼 내의 비킬러, 준킬러, 킬러에 대한 내용으로 나눠 학습하도록 하자.

  

  [칼럼]

  (예정)



9. 항상 목적성을 잃지 말고 공부하자.

  우리가 치뤄야 하는 시험은 4교시 28분이며

  기본 전제는 국영수를 잘 봐야하고

  "모의고사 형태"의 "객관식" "5지 선다" 시험이다.


  대학 공부가 아닌 시험을 잘보기 위한 공부를 하자.

  이러한 목적성에 맞게 기출, N제와 모의고사를 적절히 풀도록 하자.


 [칼럼]

 (예정)




 이벤트 관련 연락 내일 오후내로 전부 드리겠습니다 :)


 [생명과학1 무료 교재]

 https://orbi.kr/00061256371 


 [생명과학2 무료 교재]

 https://orbi.kr/00061367744


 부디 가시는 길에 이바지하는 내용이길 바라요!


 언제나 진심을 다해 응원합니다 :) 








rare-냥발!

0 XDK (+10)

  1.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