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ameov [273550] · MS 2009 · 쪽지

2014-12-11 03:03:42
조회수 5,830

심리 10입니다. 심리 지원하실분들 질문 받아드립니다.

게시글 주소: https://image.orbi.kr/0005226604

대학교 2학년부터 안했으니까 4년만에 오르비 처음 오네요.


기말고사가 내일이라서 공부하다가 입시시즌이라는게 생각나서 한번 글 올려봅니다. 요즘은 제가 입시할때랑은 달리 학과선택도 가능하다는데 심리학과 쓰실 분들 있으면 궁금한거 물어보세요.

입시 관련 상담은 제가 입시판 떠난지 5년이라서 못해드립니다.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휴머 · 467449 · 14/12/11 03:08 · MS 2013

    제가 지금 기분이 좋아보이나요 안좋아보이나요? 심리학과면 이런거 추리가능한가요?

  • Gameov · 273550 · 14/12/11 03:11 · MS 2009

    그걸 알면 제가 지금 여기서 이러고 있겠습니까. 투자은행갔죠.

    진지하게 답해드리자면 심리학과는 그 사람의 심리를 직접 읽는 것이 아니라, 그 사람의 행동을 정량화/수량화해서 통계돌려서 심리를 추론합니다.

  • 휴머 · 467449 · 14/12/11 03:14 · MS 2013

    아항 약간 통계쪽이군요 이과라서...기분나쁘셨다면 ㅈㅅㅈㅅ합니다ㅜ

  • Gameov · 273550 · 14/12/11 03:25 · MS 2009

    아뇨 저는 농담을 한번 해볼까 한건데.. 당황하셨다면 제가 죄송하죠;

  • 휴머 · 467449 · 14/12/11 03:40 · MS 2013

    ㄷㄷ 제가너무진지했네요
    평소에 사람관찰하면서 심리 읽는거에 흥미있어서 심리에 관심있었는데 약간다르군요 자세히 알려주셔서 감사해요 나중에 이렇게 말했다 놀림받을뻔...

  • 김tell미 · 438835 · 14/12/11 03:13 · MS 2012

    프로이드나 구스타브융이 쓴 서적들중
    읽을만한거 있을까요? 아니면 라캉이라던지

  • Gameov · 273550 · 14/12/11 03:19 · MS 2009

    프로이트나 융 취급 안합니다. 임상쪽에서는 쓰는지 잘 모르겠는데..

    심리학과에 대해서 하는 가장 큰 오해 중 하나가 프로이트/융을 배운다.. 는 겁니다. 이분들은 그냥 자기 머리속에서 이론 전개하셨는데, 요즘 심리학은 학부 레포트를 써도 SPSS돌려서 통계검증해서 유의미하다/유의미하지 않다 검증하니까요..

  • 김tell미 · 438835 · 14/12/11 03:26 · MS 2012

    ㅋㅋ 감사합니다
    심리학과가 과학적인 학문이지 인문소양적 학문이 아니었군요

  • Mercredi · 372419 · 14/12/11 03:29 · MS 2011

    심리원론 수업 들으면서 심리학이 과학이란 느낌 왕창 들었어요ㅋㅋ 각종 과학적 실험들, 뇌 같은 거의 생물학적 구조, 시각 청각 등의 원리 등등..

  • 김tell미 · 438835 · 14/12/11 03:30 · MS 2012

    아 올해 수능에 나왔던
    Ear is the only sense that fuses the ability to judge라는 것처럼 감각별 판단같은거를 통계로배우는건가요??? ㅎㅎ

  • Mercredi · 372419 · 14/12/11 03:33 · MS 2011

    감각, 뇌 같은건 생물학이랑 비슷해요.. 여긴 통계적인 건 안 들어갈걸요? 아예 생물심리학이라는 분과가 있음. 지각심리학도 있고.. 아니다 판단 같은거 일반화를 하려면 통계가 필요하려나.. 전 잘모르겠네여ㅋㅋ

  • Mercredi · 372419 · 14/12/11 03:30 · MS 2011

    1학년 원론 수업에서는 성경심리학 이상심리학 파트 등등 할 때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은 여러번 다뤘었는데 이후엔 임상 쪽 아니면 깊게는 안 하나보네요ㅋㅋ

  • Gameov · 273550 · 14/12/11 03:32 · MS 2009

    프로이트가 나름 논리적으로 전개하기는 했지만 그게 실제로 과학적으로 검증된 것이 아니라 말 그대로 "인문학적" 스멜이 너무 강하다 보니까 그걸 공부하긴 좀 그렇죠.

  • Mercredi · 372419 · 14/12/11 03:37 · MS 2011

    그렇군요.. 프로이트랑 융의 이론은 종교학 교양 시간에도 살짝 다뤘어요ㅋㅋ

  • Mercredi · 372419 · 14/12/11 03:17 · MS 2011

    저 담주에 심리원론수업(1학년이 듣는 전공탐색과목) 시험있는데 외울 거 너무 많네요ㅠㅠ 어떻게들 다 외우셨나요..

  • Gameov · 273550 · 14/12/11 03:21 · MS 2009

    괜찮아요! 심리학 전공 진입하게 되면 더 외우게 되니까요! 심리학은 통계 & 암기니까요!

    어떤 현상에 대한 학설 / 대표적인 실험을 이해하신다음에 외워나가시면 편합니다.

  • Mercredi · 372419 · 14/12/11 03:27 · MS 2011

    ㄷㄷ.. 감사합니다

  • haegyu · 373720 · 14/12/11 03:19 · MS 2011

    진로가 어떻게 되는지 궁금합니다 특히 대기업/공무원으로 가시는분들이 얼마나 되시는지 취업시 어려움이 따르진 않는지..

  • Gameov · 273550 · 14/12/11 03:23 · MS 2009

    비상경 비상경 노래를 불러도 정말 막산거 아니면 대기업쪽으로는 들어가는 것 같습니다. 물론 상경계에 비해서는 고난과 역경의 취업 시즌을 겪기는 하지만요.

    고시 치는 사람은 서울대 문과 평균정도 됩니다. 지나가다가 아무나 붙잡으면 달리면 1/5 확률로 고시생이거나, 고시하다가 관둔 정도?

  • Gameov · 273550 · 14/12/11 03:24 · MS 2009

    심리학 전공 살리려면 무조건 대학원은 필수고요. 모든 학문이 그렇지만 심리학은 정말 세분화되어있고, 학부 수준은 그냥 맛보기만 하다 가는 정도라서 석박사 하지 않는 이상에는 그냥 교양 쌓고 나가는 것밖에 안됩니다.

    대학원 경쟁률은 사회대에서 압도적인 원탑을 달리고 있습니다. 이번에 거의 8:1이었나..

  • 고연성 · 528892 · 14/12/11 03:36 · MS 2014

    법심리학은 진로가 어떻게 되나여?

  • Gameov · 273550 · 14/12/11 03:41 · MS 2009

    학부레벨에서는 그런거 없고요, 대학원에서도 서울대에는 없는 것 같습니다.

  • 고연성 · 528892 · 14/12/11 03:50 · MS 2014

    답변 감사합니다. 대학원 이후 진로는 어떻게 되나요? 국과수같은 전문기관에서 일하나요?

  • eg3wg · 531803 · 14/12/11 09:54 · MS 2018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Busker · 451447 · 15/01/12 11:04 · MS 2013

    심리학과에서 군대빠질 수 있나요??대학원등으루요..왜 그 카이스트 문과대학원도 있고 그러자나요 ㅎㅎ

  • Busker · 451447 · 15/01/12 11:04 · MS 2013

    그런케이스가있어요글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