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광일의 카피캣이 될래요 [834542] · MS 2018 (수정됨) · 쪽지

2021-01-31 02:02:51
조회수 32,731

문학 개념어 정리 with 훈련도감

게시글 주소: https://image.orbi.kr/00035782601

아래 글은 작년 표준국어비판 문학 개념어 파트의


교재 및 수업 내용을 간략하게 압축한 글입니다.


나머지 절반 정도의 내용은 오늘 또는 내일 쯤 마


리해서 글 쓸 예정입니다. 박광일 강사의 작


훈도를 수강하는 분들은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Chapter 1 주제 의식과 정서


1 자연 친화, 자연에서의 고뇌


(1) 자연물: 자연계에 있는, 저절로 생긴 물체


(2) 자연: 자연물들이 모여서 만들어진 세계, 공간


(3) 친화: 사이좋게 잘 어울림


(4) 탈속: 속세를 벗어남. 주로 고전 문학에서는


정치하는 곳에서 벗어남을 뜻하고, 현대 문학에서


는 도시에서 벗어남을 의미함


(5) 자연에서의 고뇌: 주로 고전 문학에서는 자연


에 머물고 있는 화자가 임금에 대한 걱정, 유배된


처지에 대한 한스러움 등으로 고뇌하고 있다면


정치에 대한 미련이 남아있을 가능성이 높음


2 인간과 자연의 대비


(1) 대비: 두 대상의 차이에 주목하는 것


(2) 인간과 자연의 대비:


     인간과 자연의 차이에 주목하는 것


3 성찰 > 반성


(1) 성찰: 진지하게 살펴봄 (생각). 자기의 마음을


반성하고 살핌. 어떤 것과 관련하여 문제 의식을


가지고 진지하게 살펴보는 것


1) 자신의 삶 (과거)


2) 사회


3) [철학] (바람직한) 인생 (삶)


(2) 반성: 자신의 언행에 대하여 잘못이나 부족함


이 없는지 돌이켜 봄


4 극복 의지


: 부정적 상황을 이겨내고자 하는 마음가짐


5 낙관, 비관, 냉소, 자조


(1) 낙관: 인생이나 사물을 밝고 희망적인 것으로


봄. 앞으로의 일 따위가 잘 되어 갈 것으로 여김


(2) 비관: 인생을 어둡게만 보아 슬퍼하거나 절망


스럽게 여김. 앞으로의 일이 잘 안 될 것이라 봄


(3) 냉소: 불합리한 상황이나 대상을 쌀쌀한 태도


로 비웃음 (쓸쓸한 비웃음)


(4) 자조: 자신을 비웃음. 스스로에게 냉소하는


것 ( 냉소 > 자조 )


(5) 비애: 슬픔 ( ≠ 비관)


6 영탄, 관조


A 영탄: 생각이나 느낌을 억누르지 않고 강하게


드러내는 것. 감탄사와 감탄 어미의 사용을 통해


나타내기도 하고, 명령이나 권유, 또는 설의적 표


현을 통해 나타내기도 함


B 관조: 고요한 마음으로 사물이나 현상을 관찰


하거나 비추어 보는 것. 차분하고 담담한 마음으


로 바라보는 것이므로 감정을 절제하지 않고 드


러내는 격정적, 영탄적 어조와 상반됨


7 향토적, 토속적, 목가적


(1) 향토적, 토속적 -> 한국 시골


(2) 목가적 (전원적)


1) 자연 친화적 -> 자연


2) 유럽 시골: 평화, 고요


* ( 향토 ≒ 토속 ) ≠ 전원 (목가)


향토적: 고향이나 시골의 정취가 담긴 것. 시골에


서 볼 수 있는 자연물, 사투리, 구체적 지명, 인명


등을 사용하면 향토적 분위기가 드러남


토속적: 그 지방의 특유한 풍속을 닮은 것. 한국적


인 풍물이나 우리나라 고유의 전통적 소재 등을


활용하면 토속적 정서가 두드러짐


목가적: 전원에서는 소박하고 평화로운 분위기가


담긴 것



Chapter 2 화자와 서술자


8 화자


: 시에서 말하고 있는 사람. 작품의 표면에 뚜렷하


게 드러나는 경우도 있고,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


음. 작품에 ‘나’ 또는 ‘우리’ 라는 표현이 등장하면


자가 작품 표면에 드러난 것으로 볼 수 있음


9 서술자와 시점


(1) 서술자: 소설에서 말하는 사람. 작가가 들려주


고자 하는 이야기를 더욱 정확하고 실감나게 전달


하기 위해 설정한 인물. 서술자의 위치에 따라 시


점이 정해짐


(2) 시점 (視點, cf. 시각 또는 시간 등의 뜻을 가지


는 時點 의 의미로 쓸 경우 <보기> 주어짐)


A 1인칭 ( 안 -> 나 ):


작품 속의 ‘나 (우리)’ 가 작중 상황을 서술하는 것


B 3인칭 ( 밖 ): 작품 밖의 서술자가 작중 상황을


서술하는 것. 이 때 서술자가 인물의 심리, 성격,


사건의 진행 방향을 모두 알고 있다면 전지적 작가


시점이고, 비교적 객관적인 태도로 대상을 관찰하


여 전달한다면 3인칭 관찰자 시점임


10 특정 인물의 시각으로 서술


: 일반적으로 3인칭 전지적 작가 시점에서 특정


인물의 시각으로 그 인물의 경험과 인식을 반영하


여 서술하는 것


(1) 특정 인물의 심리를 중점적으로 서술


(2) 특정 인물의 입장에서 지칭어, 호칭어를 사용


(3) 다른 인물의 심리를 나타낼 때에도 특정 인물


의 입장에서 해석하여 나타냄


11 서술자의 (직접) 개입 > 편집자적 논평


(1) 서술자의 개입: 서술자가 작품에 개입하는 양


상은 다양하다. 그러므로 서술자의 개입은 여러


방법이 존재한다. 그러나 수능에서는 누구나 인정


하는 명백한 경우에만 서술자의 개입이라는 용어


를 사용하여 질문을 하는 경향이 있다. 명백한 경


우는 다음과 같다.


1) 서술자가 인물이나 사건에 대해 평가나 감정적


    대응을 하는 경우 (ex) 내외 상하며 이웃과 친


    척 가운데 뉘 아니 기뻐하리오. / 이 때 심현은


    몸을 제대로 가누지 못 하면서도 딸이 문을 나


    가 어디로든 가는 모양이나 보려 하나 눈이 감


    겼으니 어찌 볼 수가 있겠는가 ?


2) 서술자가 사건 전개에 대해 독자들에게 안내


    하는 말을 하는 경우


    (ex) 각설 / 차설 / 다음 회를 보시라.


(2) 편집자적 논평: 사건 전개나 인물에 관해 서술


자가 직접 논평하는 것. ‘서술자의 개임’ 보다 좁은


의미의 개념이나, 실전에서 편집자적 논평과 서술


자의 개입을 엄밀히 구분할 것을 요구하지는 않음



Chapter 3 표현 기법, 구성 방법


12 환기 -> 떠오르다


: 생각 따위를 불러 일으키거나 떠오르게 함. (웬


만하면 맞는 표현임) 문학 작품을 읽으면 어떤


장면이 떠오르기도 하고 어떤 느낌이 생겨나기도


하는데, 무엇인가 떠오르게 하고 느껴지도록 할


때 이를 환기한다고 함.


13 비유 (fake) vs 상징 (ㄹㅇ)


: 다르게 표현 -> 새로운 인식 O


비유: 표현하고자 하는 대상을 다른 대상에 빗대


어 표현하는 방법. 비유에서 표현하고자 하는 대


상을 ‘원관념’ 이라 하고, 원관념에 비유되는 것


을 ‘보조 관념’ 이라고 함


(1) 직유법: 비슷한 성질이나 모양을 가진 두 사


물을 ‘같이’, ‘처럼’, ‘듯이’, ‘ㅡ(ㄴ) 양’ 과 같은


연결어로 결합하여 직접 비유하는 수사법


(2) 은유법: 서로 이어주는 말 없이 원관념과 보


조 관념을 암시적으로 연결시키는 수사법


(3) 풍유법: 속담이나 격언 등을 통해 숨겨진 뜻


을 암시하는 수사법   (ex) 옛말에…


(4) 활유: 생명 부여 (ex) 호흡, 움직임


(5) 의인: 인격 부여


    1) 의지, 정서 


    2) 말을 건넴 (돈호) 


    3) 인칭대명사


* 활유와 의인은 구별하지 않음


14 상징 (진짜) vs 비유 (가짜, fake)


-> 의미한다


(ex) 소재에 (상징적) 의미를 부여함


: 추상적인 개념을 구체적인 대상으로 나타내는


방법. 비유와 달리 원관념이 나타나지 않고 보조


관념을 통해 함축적 의미를 전달하며, 1:다(多)


로 대응됨


15 역설


표면적으로 모순되거나 부조리한 것 같지만 그


표면적인 진술 너머에서 진실을 드러내는 것


cf. 문학에 있어서 역설은 넓은 의미의 역설로


‘앞 뒤가 안 맞음’ 정도의 뜻이라면, 비문학에


있어서 역설은 좁은 의미의 역설이라고 생각하


면 됨 (정확해야 함)


16 반어


: 말하고자 하는 바와 반대로 표현하여 그 의미


를 강화하는 것 (비꼼 또는 비판의 의도가 있음)


* 역설과 반어의 구분은 애매하며,


둘의 공통점은


A 시적 긴장을 높임 (독자를 주목하게 함)


B 주제 제시 (역설과 반어를 남발하기보다는


주제를 드러내기 위해 사용)


17 도치 -> ‘시적’ 긴장 (not 상황의 긴박감),


                여운, 강조


: 문장 성분의 정상적인 배열 순서를 바꾸어 그


의미를 강조하는 것. 특히 주어와 서술어의 순서


가 뒤바뀌거나, 목적어와 서술어의 순서가 뒤바


뀐 경우에 주의해야 함


18 감정 이입: 화자가 대상도 자신과 유사한 감


정을 가지고 있는 것처럼 표현하는 것. 이 때 그


대상은 원래 감정이 없는 사물이거나, 상관 없는


사람이어야 함. (감정보다 상황이 더 중요 !)


-> 주체의 감정 =


    대상 (원래 그 감정은 없음) 의 감정


19 대화, 독백


(1) 대화: 둘 이상의 인물이 서로 말을 주고 받는


것. 인물들의 관계를 알려 주고 사건을 진행시키


는 역할을 함.


(2) 독백: 연극에서 배우가 심리적으로 자극을 받


아 촉발된 혼잣말. 사건의 진행을 일시적으로 


단하고 인물의 내면 의식, 심리를 직접 드러낼 수


있음. 소설에서 독백은 인물의 발화된 혼잣말이


며, 발화되지 않은 인물의 생각은 내적 독백이라


고 함.


(3) 방백: 연극에서 배우가 관객을 청자로 설정하


여 전달하는 대사. 관객에게 하는 말이나 관객만


듣기로 약속된 말. 주로 음모, 속임수의 의도를


관객들에게 전달하는 의도로 사용됨.


(4) 시에서의 대화체: 화자와 대상이 대화를 주고


받는 구성이 나타나는 경우. 말을 건네는 방식도


대화체에 포함시켜야 한다고 보는 견해가 있으나


이견이 있어서 수능에서는 ‘대화체’ 라는 용어를


사용하지 않음.


(5) 시에서의 독백체: 화자 혼자 중얼거리는 식의


말투 (어조).


(6) 말을 건네는 방식: 시에서 표면적 청자가 있


거나 가상의 청자를 고려한 종결 표현을 사용하


여 화자가 누군가에게 말을 건네는 느낌이 나타


내게 하는 것.


20 설의, 의문형 어투


(1) 설의: 쉽게 판단할 수 있는 사실을 의문의


형식으로 표현하여 상대방이 스스로 판단하게


하는 것. 의미를 강조하기 위한 것으로 실제적


인 답을 요구하는 것이 아님.


(2) 의문문: 화자가 청자에게 질문을 하여 그


해답을 요구하는 문장. ‘ㅡ니 / ㅡ까 / ㅡ(는)가’


등의 의문형 종결 어미가 사용됨


21 반복, 운율, 연쇄


(1) 반복: 같은 것을 되풀이함. 음운이나 음절의


반복. 반복은 운율을 형성하고 의미를 강조하는


효과가 있음.


1) 시어: 단어, 어절


2) 시구: 구절 (= 2 개 이상 어절)


3) 시행: 시에서의 한 줄


    (시어, 시구일 수도 있음)


4) 유사한 문장 구조의 반복 등이 있음.


* A 유사한: 웬만하면 맞음


  B 동일한: 100 % 같아야 함


(2) 운율: 시에서 같거나 비슷한 소리가 반복되는


현상. 운율이 있으면 리듬감이 느껴짐.


(3) 연쇄: 사슬처럼 서로 이어져서 통일체를 이룸.


앞말의 끝부분을 뒷말의 첫 부분에서 이어 받아서


운율감을 형성함. (ex) 원숭이 엉덩이는 빨개, 빨


가면 사과, 사과는 맛있어, 맛있으면 바나나


rare-아르세우스 rare-이더리움 rare-DESCENTE rare-비트코인

0 XDK (+1,500)

  1. 1,000

  2. 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