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물리 좋아하는 화생러 · 725001 · 17/03/06 00:08 · MS 2017

    갓구갓갓!
    갓구 갓구 갓구

  • RwMEogNKOmpZ04 · 735791 · 17/03/06 00:22 · MS 2017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몽쌤 · 680381 · 17/03/06 00:25 · MS 2016

    교과서 버렸는데 PDF파일보던지 친구한테 달라해야겠네요

  • VERITAS · 626102 · 17/03/06 00:30 · MS 2015

    이해를 바탕으로 한 EBS 학습이 이루어 진다면 모든게 해결

  • RIGEL(서명준) · 523480 · 17/03/06 00:30 · MS 2014

    좋은 말씀이군요.
    덜 싼 똥 다나오는 느낌입니다.

  • 라비아스 · 681293 · 17/03/06 01:04 · MS 2016

    글 잘 읽었습니다.
    전반적으로 많이 공감합니다.

    과학탐구의 특성상 자료를 해석하고 읽는 것에 포커스를 맞추는 것은 당연합니다.
    그러한 특성에 맞게 공부하는 것이 수험생으로서 지향해야하는 방향도 맞구요

    위에 생명가능지대 같은 경우에도 약간 연계교재의 활용폭을 저는 넓게 잡은겁니다.

    예전 기출을 찾아보시면 아시겠지만
    순전히 예전에는 한 개의 상황만을 두고서 변화의 양상을 파악하게끔 하였습니다.

    그런게 작년 연계교재부터 비교형 선지를 출제했습니다.
    다른 것의 거리를 보고 상대적으로 판단을 하게끔 시킨다던지요
    물론 연계라고 보기는 힘든 측면이 없지않아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저는 이러한 경향성 조차도 평가원이 어느정도 의식한다고 생각합니다.

    틀 자체는 동일할지는 몰라도 어쨌든 새로운 상황임에는 분명하니깐요
    (물론 해석이 조금 첨가된 수준이긴 하지만요)

    점 오염원,비점 오염원 올해 1번으로 출제된 것으로 알 고 있습니다.
    사실 원래 출제목적에 따르면 2개의 교과서에 교집합만 출제하는 것이 원칙이지만 EBS가 변수이기에 과거에 한번 나온 적이 있고 요번에도 또 다시 출제 하였습니다.

    저도 작년에 EBS 핵심총정리 및 지엽이라는 자료를 제작한 적이 있습니다.
    그떄 중심적으로 적은 사항은 거의 이렇게 요약 할 수 있습니다.

    1.새로운 자료들 2.재진술 표현 3.약간 지엽적 선지 4.자료가 없어도 외워둘 법한 선지들 5.핵심적 내용

    거의 이 내용으로 귀결됩니다.
    대부분은 거의 재진술 표현이나 새로운 자료들에 포커싱 되어있습니다.

    저도 보통의 학생들이 EBS를 선별하고 어느정도까지 학습해야 하는지에 대해서 정확히 모른다고는 생각합니다.
    학생이 부족한 것이 아닌 어떻게 연계되어왔고 그런 것을 정확하게 모르기 때문에 발생한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위에 설명하신 이상한 명제를 외우는 일이 발생하는 일도 이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또한 학생들의 입장에서는 일반적으로 2개의 교과서를 전부 가지고 있는 경우는 보통은 잘 없습니다.
    그렇기에 교집합을 전부다 정리해 주는 사람도 존재하지 않고 보통은 인강강사들의 개념서를 보거나 다른 참고서로 학습을 하는 것이 일반적이죠.

    그렇기에 두 교과서에 교집합으로 존재하더라도 기출에 존재하지 않았으면 학생들 입장에서는 잘 접해보지 못하였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렇기에 저는 당해 EBS는 나오고 기출문제에는 나오지 않는 소재들에 대해서는 어떻게 보면 연계라고 보는 입장입니다.
    거의 이 부분에서 견해차이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 라비아스 · 681293 · 17/03/06 01:06 · MS 2016

    그리고 요즈음 EBS들이 많이 좋아졌습니다
    웬만한 사설 문제들보다도 좋은 문제들도 많아서 학습하기에도 좋구요(사실 싼 것도 한 몫합니다.)

    처음 접하는 고3입장에서는 정말 좋은 소스라고 생각합니다!

    제 최종 결론은 기출문제를 통한 실제 문제들이 어떻게 나오는 지를 학습하고
    교과서를 이용한 개념의 완벽함을 추구하고
    EBS를 통한 재진술 표현이나 새로운자료, 조금은 외워두면 좋을 선지들에 대해서만 암기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는 것입니다

    전반적인 틀 자체는 Rigel님이랑 동일하다고 생각해요!

    Rigel님은 교과서만으로도 학습 할 수 있는 것이라고 생각하시는 것이구
    저는 연계의 폭을 좀 더 봤기에 이런 문제를 풀어봤음에도 불구하고 틀렸다는 건 그것에 대해서 제대로 보지 않았기 때문이야 라고 생각하는 것이지요

    둘 다 정확한 학습을 요구하는 점에는 동일하다고 생각해요

  • MSG · 508334 · 17/03/06 02:15 · MS 2014

    정말 좋은 글

  • POLARIS Hwasin · 573432 · 17/03/06 02:48 · MS 2015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