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오바악 [568504] · MS 2015 · 쪽지

2016-08-19 20:07:11
조회수 7,023

<종로 지1> 18번 문제오류 아닌가요?

게시글 주소: https://image.orbi.kr/0008976686




ㄷ 에서
해설에는 앞쪽 별의 중력에 의해 미세중력렌즈현상이 일어난다고 써있는데
행성이 없고 별만 있으면 중력렌즈현상은 일어나지만 미세중력렌즈현상은 일어나지 않는거 아닌가요?
(사진은 종로 지1문제,해설, 엄영대쌤 개념교재 설명입니다)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Vegemil · 549451 · 16/08/19 20:13 · MS 2014

    근데 이 선지 틀린거는 예전에 ebs에서 봤어요

  • 빅픽쳐 · 475167 · 16/08/19 20:22 · MS 2013

    수특에는
    미세 중력 렌즈 현상 이용 : 거리가 다른 2개의 별이 같은 방향에 있을경우 뒤쪽 별빛이 앞쪽 별의 중력에 의해 미세하게 굴절되어 휘어지는 현상이 나타나는데 이를 미세 중력 렌즈 현상이라고한다.
    라고 적혀있네요.

  • 개내대래매배새 · 552653 · 16/08/19 20:25 · MS 2015

    일단 수특 202쪽에는 행성이 없어도 그걸 미세중력렌즈현상이라고 하긴하네요 음

  • 개내대래매배새 · 552653 · 16/08/19 20:27 · MS 2015

    근데 교과서에는 "중력렌즈란 두 개의 천체가 관측자의 시선 방향에 겹쳐 놓일 때, 앞 천체 때문에 뒷 천체의 빛이 휘어져 뒷 천체의 발기가 증폭되어 보이는 현상"이라고 했어요..

  • 뜨찬물 · 519597 · 16/08/19 20:30 · MS 2014

    바..발기가?!

  • 세레노 · 377261 · 16/08/19 20:26 · MS 2011

    천체 다른 검색 결과에서는 "현재까지 중력렌즈에 의한 것으로 인정된 천체는 준성체의 상이 여러 개로 보이는 다상 중력렌즈(multiple-image gravitational lens), 먼 은하가 가까운 은하단에 의해 길게 늘어져 보이는 밝은 호(luminous arc), 전파원이 은하에 의해 고리모양의 전파원으로 보이는 전파고리(radio ring), 은하 가 아닌 별에 의해 렌즈효과가 나타나는 미세중력렌즈(microlensing) 등이 있다. " 이런 내용이 있네요. 여기에 따르면 미세 중력 렌즈 현상이 일어난다고 봐야겠습니다.

  • 호오바악 · 568504 · 16/08/19 20:34 · MS 2015

    음.. 그럼 행성이 없어도 미세중력렌즈현상이 일어난다고 봐야겠군요..
    그리고 ebs 꼭 봐야겠네요!
    아무튼 모두 감사합니다~

  • skkmedical17 · 574779 · 16/08/19 21:19 · MS 2015

    저 행성없는건 그냥 중력이고 행성있어야 미세인가하고 검토하다가 틀림 아

  • 미역 · 662273 · 16/08/20 00:36 · MS 2016

    결론은 엄영대쌤이 틀렸다는거임? 이것도 오개념 아닌가ㄷㄷ

  • bTFkXegRpraAvI · 646834 · 16/08/20 07:19 · MS 2016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