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X 퀴즈(10000덕)
무게를 알지 못하는 추가 있고, 충분히 많은 1g 추, 충분히 많은 루트(2)g 추, 그리고 아주 정교한 양팔저울만을 사용하여 그 추의 무게를 파악하고자 한다. 이때 추의 무게가 예를 들어 루트(3)g인 경우 균형을 맞춰 이를 정확하게 구하는 것은 당연히 불가능하므로, 특정한 오차범위(예를 들어 0.001g) 내로 무게를 구하는 것이 목표라 하자.
추의 무게가 얼마이든, 오차범위가 아무리 작든 유한 번의 과정으로 이 추의 무게를 계산해 내는 것이 가능할까?
(여기에서 특정 오차범위 내로 구한다는 것은, 예를 들어 추의 무게가 루트(3)g이고 오차범위가 0.5인 경우 추의 무게를 ‘1.5g (±0.5g)‘과 같이 구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때 한쪽에 미지의 추를 두고, 균형이 바뀔 때까지 반대쪽에 1g 추를 놓는 방식으로, 어떤 추의 무게든 0.5g의 오차범위 내로 구할 수 있습니다.)
사실 고등 과정 내로 풀립니다. 물론 발상이 필요하지만…
처음으로 답을 증명하시는 분께 10000덕을 드립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수학 84 영어 89 지구 45 3합 4 포기하는게 맞겠ㅛ…? #메가 #대성 #정시 #최저
-
키킥••••••, 그러나 킥킥 당신
-
ㅈㄱㄴ
-
문과 어디까지 가능할까요..??
-
언매기하생1생2로 봐야지
-
아 시발 22 29 실수틀은 진짜 자살마렵네 96은 받았어야되는데 ㅅㅂ
-
이젠 그냥 인원 제일 많은 과목 고르는 게 베스트인 것 같다 ㄹㅇ
-
07이고 정시인데 지금부터 사설모고랑 평가원 세트로 국어랑 영어 교차로 3일에...
-
국어 복기를 못해서 3 뜰 수도 있을 것 같고 4일 것 같기도 해요.. 일단 저...
-
화작 80 미적 88 영어 2 화학 45 지구 39 아니면 36
-
저내년에기만할거에요
-
연고대 사과대 이상 가능할까요?
-
하나는 사문이고 하나는 머할까요 생윤이랑 윤사 중에 골라주세요 아니면 둘 외에...
-
ㅋㅋㅅㅂ
-
솔직히 화학 0
20번 찍었지
-
수학끝나거 나가더니 편의점갔는지 왕뚜껑, 줄김밥, 과일컵 사와서 후룩후룩...
-
한 바리 밥과 산나물로 족히 목숨을 이으고 일상(一床)의 서(書)가 있으니 이로써...
-
화 92/2 확 96/1 영 89/2 정법 50/1 사문 47/1 낼...
-
하나는 동사… 경제한지세사 제외하고 고민중…
-
미적28찍맞해서 기분좋았는데 영어채점하고 기분 팍식네요.. 원래 2,3 진동하는데...
-
제발도와줘요.. 0
문과564534 어디갈 수 있어요?…..
-
물1 vs 물2 7
뭐가 낫나요 과목자체는 물2가 어렵겠지만 1등급받는거는 뭐가 더 쉽나요?
-
ㅈㄱㄴ
-
정확히는 예전에 동아리 때문에 인스타 시작하려다 귀찮아서 묵혀둔 거긴한데......
-
중약은 당연히 되겠죠 ..?
-
여기서 영어 1이면 어디까지 가는지까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다리 미친듯이 떨더라 뭐 병이라도 있는 줄 알았음
-
연대 높공이나 지방약 정도인 것 같은데 맞나요?
-
아 잠이 안오네 0
ㅠㅠ
-
저 최저런데 언매 92 1컷 될 가능성 없나요? 실제 등급컷이 지금 메가 등급컷보다...
-
오랜만에 입시판 기웃거리는중 의치한약수 사탐하면 갈 수있는 시대인가요?
-
사탐런이 답인가 0
메디컬 노리고있는데 과탐 고인물 파티에 답이 안 보임 사탐 과탐으로 가야하나
-
수학 2정도면 과기대 논술 ㄱㄴ할까요?
-
이번주 연컴 면접인데 갈까요 고컴 납치 안 되면 설공이나 약대 가고 싶긴한데..
-
오르비지박령
-
이 성적으로는 어디쯤 갈 수 있을까요 선생님
-
ㅇㄱㄹㅇ
-
생윤은 38인데 윤사는 29임 주제가 다양한데 주제별로 난이도가 정해져있는...
-
난 똑같을듯
-
하 인생 시발 전적대 중대 높공입니다
-
걍 ㅈ돼봐라하는 심정인가 내 오른쪽은 아빠다리하고 펄럭대고 왼쪽은 책상밖으로...
-
더이상은 못하겠고 후회도 아쉬움도 없음 물론 잘 본건 아니지만 그래도 나머지는...
-
연고대 2
이 점수로 될까요..?
-
04인데 고등학교 아예 안가고 검정고시봄 올해 1월부터 고등학교 공부 1학년거부터...
-
라인봐주셈 문과 0
128/127/3/97/97
-
수능날 밤에 독서실와서 짐빼고 이 사진 찍은게 엊그제 같은데 슈발
-
7퍼센트 가능성 있나 과탐좃같이고였는데 좀 후하게 줬으면..
루트2는 무리수니까
두 정수 m,n에 대해
루트2*m - 1*n 을 내가 원하는 수에 한없이 다가가게 만들수있음
그러므로
모르는 추가 있는쪽에 루트2추m개
반대쪽에 1gn개를 맞을때까지 가져다놓으면 언젠간 알수있다
사실 이게 가능한지가 문제의 핵심 포인트에요
예를 들어서 루트2추 1000개 1추 1414개가 있으면 무게차이는 0.213g정도임
근데 무리수는 무한하니까
0.00000001xxx가 나타나는 구간으로 만들 수 있다!
이렇게 하면 될듯?
이게 가능하려면 루트(2)가 정규수(소숫점 표현에서 모든 수열이 동등한 확률로 나타나는 수)여야 하는데, 무리수라고 꼭 정규수인 건 아니고(ex)0.10100100010000100000...), 실제로 루트(2)가 10진법에서 정규수임은 아직 증명되지 않았어요
그러면 질량이 파이같은 추면 가능한 방법이긴 하군요
놀랍게도 파이도 아직 정규수임은 증명되지 않았어요
간단한 초한기수 연산만으로 거의 모든 실수가 정규수임을 알 수 있지만, 실제로 어떤 실수가 정규수임을 밝히는 건 매우 까다로워요
오히려 이 문제에서 추 무게가 파이였으면 교과 내에서 풀기가 매우 어려워졌을지도?
내 세상이 무너졌어...
유리수는 a/b, a,b는 정수
로 나타낼수 있다
무리수는 그게 안된다
그러면 루트2는
(a+0.xxxx)/b 로 나타낼 수 있다
그러면 루트2 * 자연수=(a+0.xxx)/b로 나타 낼 수 있고,
만약a가 b의 배수라면 1을 반복해서 뺴서 0.xxx/b를 만들 수 있고,
a와b가 많이많이 커진다면 0.xxx/b는 0에 수렴할 것.
적당한 자연수와 적당한 b에 대해서
a가 b의 배수일 수 있는 가능성이 존재한다면 증명을 하는건데... 뭔가 산으로 가는 기분이네요
힌트) 3-2루트(2)<루트(2)-1
어렵네
(x/a)-루트2 < b/a< (y/a)-루트2 인 유리수 b/a가 존재하면 되고 이는 유리수의 조밀성 에 의해 참
안돼 덕코 ntr 당했다
다시보니 증명을 잘못한듯 근데.. 부등식 양변에도 a가 있어서 저러면 안되네요
잘 보면 a가 먼저 결정되기 때문에 안되요
‘임의의 x, y에 대해 x/a-루트(2)<q<y/a-루트(2)를 만족하는 a, b가(q=b/a) 존재한다‘까지는 말할 수 있지만, 이때 유리수 q는 아무 유리수가 아닌 분모가 a인 유리수로 강제되고, 이는 당연히 조밀하지 않아요
이렇게 접근해도 될련지 모르겟네요
반복되지 않아도 저렇게 안 될 수도 있어요
0.8989989998999998999999...같은 수를 생각해 보시면 되요
흠 그렇군뇨...
위의 경우처럼 큰수가 반복되면 몇배를 취하면 작은수로 만들수있지 않나요? 거기서 다시 위의 사진 과정을 반복하는거죠... 그 자연 상태에서 1이 가장 많이 나올수있다는 이론이랑 비슷한 논리로다가...
벤포드의 법칙을 말하시는 것 같은데, 이건 지수적 분포(로그함수를 씌우면 균등해지는 분포라는 의미에서)를 따르는 자료에서 성립하는 거고 이 상황과는 큰 관계가 없어요
정규수의 성질은 유리수 곱에 대해서도 유지되기 때문에(즉, 적당한 자연수를 곱해서 정규수를 얻을 수 있는 수는 그 자체로 정규수기 때문에) 비정규수에 자연수를 곱해도 나오는 값은 비정규수라서, 아마도 힘든 접근일 것 같네요
아 그렇군요..제 지식이 짧았습니다
(루트2 - 1)^n이 원하는 오차보다 작아질 정도로 충분히 큰 n에 대해서 해당 무게가 되게끔 하는 추 묶음을 단위로 측정...??
힌트를 캐치해서 푸신 건진 모르겠지만...
힌트 보고 숫자가 익숙해서 곰곰히 생각해냈네요
굉장히 Nested Interval Theorem 같은 내용이네요.
증명은 다음과 같습니다.
임의의 실수 k에 대하여 우선 최초의 부등식을 만듭니다.
a+b√2 =< k =< c+d√2
(a, b, c, d는 정수, 처음에는 아주 큰 범위여도 아무 상관이 없습니다.)
이제 α = 2√2 - 2라고 했을 때,
1/2 < α < 1 임은 쉽게 증명할 수 있습니다.
그러면 c-a = p, d-b = q 라고 했을 때
I_1 = [a+b√2, a+b√2 + α(p+q√2)] I_2 = [c+d√2 - α(p+q√2), c+d√2]
(α(p+q√2) = (4q-2p) + (2p-2q)√2 이므로 이 수를 더하거나 빼는 것은 주어진 조작으로 가능합니다.)
라 하면 k는 반드시 I_1 또는 I_2에 속하게 됩니다.
이 시행을 무한히 하게 되면 구간의 길이가 0으로 수렴하게 되기 때문에
충분히 많은 시행을 했을 때 구간의 길이를 0으로 충분히 가깝게 만들 수 있습니다.
오 신기하네요
대학 수학을 어느 정도 하신 거면, 임의의 무리수 a에 대해 일반화하는 것도 도전해 보세요
이것도 가능하지만, 좀 다른 접근을 필요로 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