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무생각없는 리어r [1207931] · MS 2023 · 쪽지

2024-06-24 13:29:49
조회수 54

파동의 성질과 활용

게시글 주소: https://image.orbi.kr/00068529214

파동의 진동수,파장,속력 사이의 관계

굴절은 매질에 따른 속력 차에 따라 일어난다.


1. 파동 : 진동이 다른 곳 으로 전파되는 현상.

2. 파원 : 진동이 시작된 지점 = 진동수 결정

3. 매질 : 진동을 전달하는 물질 = 파동의 속력을 결정

  


파장람다? : 마루에서 마루까지 골에서 골까지를 

진폭 a: 마루까지

주기 s: 마루에서 마루까지 시간 

진동수 hz : 초당 진동

전파속력 : 진동수x파장 = 파장/주기


매질에따라 주기는 변하지만 진동수는 변하지 않기 때문에 그것으로 해석해야하며. 진동수가 빨라진다해도 파장 자체가 줄어들기 떄문에 전파속력은 같다.



파동 속도의 요인 : 매질


물질파 :깊을수록 빠르다

소리 : 고체액체 기체, 진공에선 전파되지 않느다. + 고온에서 더 빠르다.

전자기파 ( 빛, 전파 ) : 진공에서 빠르고, 기체 액체 고체. 고온에서 더 빠르다.

줄 : 가볍고 팽팽할수록 빠르다.


보기에 역학적파동(탄성파)과 전기적 파동을 나눠서 판단을 내리는데 그냥 전기적파동은 원자핵과의 인력과 척력 때문에 방해를 받기 떄문에 진공에서 가장 빠른 것이고 탄성파의 경우 물질 자체의 결합력이 높고 자유도가 낮을수록 더 확실하게 전달되기 때문에 매질이 끈끈할수록 빠른 것 같다.


횡파와 : 진동과 진행방향이 수직인 것 ,ex)물결파, 전자기파 , s파 , 수면파등


종파 : 진동과 진행방향이 나란한 것 ex)진행방향과 진동방향이 나란한 파동 ex)소리, 지진파의 p파 등.


x파동의 반사와 굴절.

-반사 법칙 : 입사각과 반사각은 같다.

-굴절 : 원인은 속도차. 수직일 땐 x

          빠른 매질로 들어가면 경계로 꺽인다.  밀도가 높은 쪽으로 꺾인다고 생각하는게 더 깔끔하게 이해 될 것 같다.

          결과적으로 느릴수록 굴절률이 크다.

상대굴절률을 생각하는건 너무 귀찮은 일이고 계산도 너무 귀찮은 일이고 생각을 정리하는것도 너무 귀찮은 일이다.

이 파트부터는 다 날림으로 공부해서 대충은 이해는 가는데 수식단위를 기억하는게 너무 귀찮다.

그래도 해야하니까 한번은 확실하게 공부하고가자 아 귀찮아 귀차넣아 하기싫어


굴절률이 그래서 뭔데 

1/sini 이 굴절율이라는데 그걸 왜 상대굴절율에서 알려주는거냐고 책들 맘에 안드러 좀 빨리 알려줬으면 이해하기 좋은데 왜 상대굴절률이라면서 늦게 말해주는데 진짜 어라ㅣㅓㅁ니ㅏㅓ라ㅣㅓ미ㅏㅓ


내용도 없는데 뭔가 너무 짜증나


스넬의 법칙 이랄게 있나 싶지만 일단 채크.


파동 파트는 뭔가 재미없는 파트다.


물질파 파면 신기루 


소리 굴절 : 고온에서 빠르기 때문에 저온으로 꺽인다.


신기루 : 너무 더운 곳이라 공중의 것이 지상으로 지상으로 꺽인다.


렌즈 : 매질의 경계에서 굴절 나오는 방향을 조절해서


수심이 얕아보이는 현상 : 떠보인다.


쉬우면서도 그냥 뭔가 짜증나는 파트.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Cozik's Feed · 1321505 · 06/24 13:41 · MS 2024

    수고하셨어여

  • Cozik's Feed · 1321505 · 06/24 13:45 · MS 2024

    굴절률은 c/v
    매질에서의 빛의속력에 대한 진공에서의 광속 c의 비

  • 아무생각없는 리어r · 1207931 · 06/24 14:05 · MS 2023

    순서가 뭔가 잘못 됐어요 그걸 먼저 설명해줘야하는데 책에도 없고 강의에도 안나옴 ㅡㅡ
    다 안다고 생각해선지 이런것들 가끔 있으면 답답함
    굴절률 굴절률 거리는데 정작 굴절률이 뭔지 설명안함.
    혼자 해석하거나 찾아봐야해서 노베는 들으면 답답할 때 많음.

  • Cozik's Feed · 1321505 · 06/24 14:40 · MS 2024

    과탐 특히 물리 특성상 깊게 들어가면 한도끝도 없어서 좀 그런게 있긴 하져
    너무 힘빼진 마세요
    어차피 문제풀이능력이 중요한 과목이라

  • Cozik's Feed · 1321505 · 06/24 14:46 · MS 2024 (수정됨)

    (어떤 매질의 절대굴절률 n)= (진공에서의 빛의속력)/(해당 매질에서의 빛의속력)

    근데 물1에선 절대굴절률은 개념에만 나오고 실제로는 쓸일없어서 절대굴절률 설명이 잘 안되어있나봐여

    절대굴절률은 사실상 몰라도 되고 문제풀땐 거의 다 상대굴절률을 쓰죠
    상대굴졀률은 두 매질간의 굴졀률(절대굴절률) 비, 즉 위의 식으로 나온 n값 사이의 비인데
    진공에서의 빛의속력이 약분되니까 n2/n1 = v1/v2 이렇게 되는거에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