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aram1233 · 1244295 · 06/14 00:03 · MS 2023

    A가 7E 감소, B가 3E증가하므로 C의 역학적 에너지가 4E 증가함을 알 수 있습니다. C는 역학적 에너지 증가량이 운동 에너지 증가량입니다. 전체가 운동할때 가속도를 a라 놓겠습니다.
    4E=4mad 에서 a는 (E/md) 이므로 ㄴ(X)
    또한 A의 알짜힘이 ma 이므로 A는 운동에너지가 E만큼 증가합니다. A의 중력 퍼텐셜 에너지는 감소하지만 A의 운동에너지와 B,C의 역학적 에너지는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증가한 에너지 4E+3E+E = 8E = (A의 중력 퍼텐셜 E 감소량)
    이므로 ㄱ(O)
    A에 작용하는 중력의 빗면방향 성분을 ā라고 하고, q에 작용하는 장력을 Q라고 하면,
    ād=8E, (ā-Q)d=E 이므로 E=mad 적용시 Q=7ma 인데, 전체 계는 손을 놨을때
    7ma의 힘을 받아 운동합니다. 따라서 손이 B를 7ma로 잡아당겼음을 알 수 있습니다. ㄷ(X)


    저도 수험생이라 잘못된 풀이일 수 있습니다. 사실 풀어봤는데 답이 ㄱ만 있는게 찝찝해서 올려봅니다. 틀렸으면 말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