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7은위대하다 · 1299904 · 06/05 12:58 · MS 2024

    그 내가 알기로는 하나의 양쪽이 아니라
    두개의 한쪽씩이 결합하는 그감성인듯
    '성장하는 두 사슬의 끝이 만나 결합'한다고 되어있네요

  • 영차영차영영차영차차 · 1159569 · 06/05 13:03 · MS 2022

    답변 감사합니다

  • 이믕 · 1045001 · 06/05 13:03 · MS 2021

    지들끼리 붙는게 아니라 하나 하나 붙는거에요

  • 이믕 · 1045001 · 06/05 13:04 · MS 2021

    2개가 각각 한쪽 끝이 불안정해서 걔 둘이 붙는 것

  • 영차영차영영차영차차 · 1159569 · 06/05 13:33 · MS 2022

    제가 화학을 몰라서 잘 이해가 안 되네요ㅠㅠ 한쪽으로만 사슬이 발달한다고 가정했을 때의 상황이 이해가 잘 안 됩니다.. 이렇게 이어지는 것인가요?

  • 제발논술 ㅠㅠ · 1170308 · 06/05 13:04 · MS 2022

    저는 저거 하나가 생겨서 나중에 양끝 연결될 때가지
    하나가 계속 옆에꺼랑 붙으면서 생겨난다고 이해해서, 양끝애서 바로 엑스치고 넘어갔어요

  • 영차영차영영차영차차 · 1159569 · 06/05 13:33 · MS 2022

    제가 화학을 몰라서 잘 이해가 안 되네요ㅠㅠ 한쪽으로만 사슬이 발달한다고 가정했을 때의 상황이 이해가 잘 안 됩니다.. 이렇게 이어지는 것인가요?

  • rrodentt · 1204463 · 06/05 13:04 · MS 2022 (수정됨)

    C=C 이중결합을 과산화물 개시제가 끊고
    결합할수있는 전자를 가진 탄소 하나를 과산화물이 가져감 그럼 한개는 안정해지고(단일결합으로 변할테니까) 남은 한개의탄소만 불안정해짐
    그 불안정해진 탄소가 다른에틸렌의 탄소하나와 결합해버리면 또 다른에틸렌의 남은 탄소하나가 불안정해지고 그런방식으로 다른 과산화물개시제가 붙은 분자와 만날때까지 한쪽으로 계속 만들어지는거라 양쪽이 안됨
    새끼꼬기같은거 할때 한쪽 막아두고 계속 꼬는거 생각하심될듯?

  • 영차영차영영차영차차 · 1159569 · 06/05 13:34 · MS 2022

    제가 화학을 몰라서 잘 이해가 안 되네요ㅠㅠ 한쪽으로만 사슬이 발달한다고 가정했을 때의 상황이 이해가 잘 안 됩니다.. 이렇게 이어지는 것인가요?
    (새끼줄 예시 감사합니다 덕분에 그나마 상황 파악이 되었습니다)

  • rrodentt · 1204463 · 06/05 13:49 · MS 2022 (수정됨)

    그림처럼 저게 바로 개시제가 붙은 에틸렌이랑 붙으면 상황이 종료되는거 = 양쪽이 다 단일이라 끊어낼 이중결합이 없음 (본문에 찾아보면 근거있어요)
    계속 진행되는 상황은 개시제가 안붙은 에틸렌이랑 붙는경우 다시 생각해보세요!

  • 영차영차영영차영차차 · 1159569 · 06/05 14:06 · MS 2022

    시간 내서 답변해주셔서 정말 감사드립니다!!

  • 원시동 미인 · 1243597 · 06/05 13:42 · MS 2023 (수정됨)

    화학 안해서 모르겠는데 머리속에서 연상하면서 생각했을때 이모양대로 그려져서 1번 바로 찍고 넘어갔었어유 저는

    개시제 있는 쪽부터 시작해서 왼쪽으로 이어지는 겁니당
  • 원시동 미인 · 1243597 · 06/05 13:44 · MS 2023

    저거 줄 그어놓은거 화학에서 표기하는 이중결합 단일결합 표현한거 아녜요 대충 전자를 서로 공유하고 있다는것만 묘사햇어유..

  • 영차영차영영차영차차 · 1159569 · 06/05 14:07 · MS 2022

    전 왜 이렇게 표현해볼 생각을 못했을까요ㅠ 구체적으로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 남윤 · 985038 · 06/05 13:54 · MS 2020 (수정됨)

    1. 양쪽 끝이 아니라, 한쪽 끝만 불안정합니다. 이는 해당 과정을 상세히 이해하지 못했더라도, "성장하는 <두 사슬>의 끝이 서로 만나 결합하여 안정한 상태가 되면"에서 유추할 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2. 과정을 이해하면, 한쪽 끝만 불안정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습니다. 일단, 위에 올려주신 그림에서 오류가 조금 있습니다. 개시제는 말 그대로, "개시", 시작하기 위한 물질이므로 처음에만 필요합니다.

    1) 개시제로 인해 탄소 2개 사이의 이중결합이 단일결합으로 바뀝니다. 이때 원래 결합하고 있단 탄소A-탄소B를 생각해봅시다.

    2) 탄소A는 원래 탄소B와 이중결합을 하고 있다가, 개시제 및 탄소B와 각각 단일결합 하게 됩니다. 고로 탄소A 안정된 상태입니다. (2개는 수소 원자와 단일 결합을 하고 있으니까요)

    3) 탄소B는 탄소A와 이중결합을 하고 있다가 단일결합으로 바뀌게 됩니다. 그렇게 되면 전자 하나가 남죠? 그럼 다른 <탄소C-탄소D>의 이중결합을 끊고, 탄소C와 단일 결합을 하게 됩니다. (즉, 개시제가 했던 일을 탄소B가 하게 되는 겁니다.)

    4) 탄소C는 탄소D와 이중결합을 하고 있다가, 탄소B, 탄소D와 각각 단일결합을 하게 됩니다. 고로 탄소C는 안정된 상태입니다.

    5) 탄소D는 탄소C와 이중결합을 하고 있다가 단일결합으로 바뀌게 됩니다. 그렇게 되면 전자 하나가 남죠?... 반복.

    이해 되셨을까요?

    즉, 탄소A는 안정화된 상태이고, 그 뒤로 B,C,D가 점점 불안정한 상태가 되었다가 안정화되면서 확장되는 겁니다!

  • 영차영차영영차영차차 · 1159569 · 06/05 14:12 · MS 2022

    처음부터 끝까지 하나하나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해주셔서 정말 감사드려요ㅠㅠㅠㅠ 덕분에 완벽히 이해되었습니다!
  • 정신이나간남자 · 1309269 · 06/09 00:49 · MS 2024

    와... 감사합니다

  • 07은위대하다 · 1299904 · 06/05 14:09 · MS 2024

    와 국어황들 폼미쳐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