꿀당 [1313950] · MS 2024 · 쪽지

2024-06-04 23:43:12
조회수 731

확통 고수님들 제발 도움 좀 주세요

게시글 주소: https://image.orbi.kr/00068291538

28 30번 같은 문제 풀때 확통은 케이스를 나눠 풀어야 하는데 그러한 케이스를 어떤 기준으로 어떤 내용을 참고해서 나누시는지 궁금합니다

무슨 번뜩이는 기준이 있는건가요?

이번에 어떤 분이 6모 확통 28번 케이스 나누시는 거 봤는데 저는 문제 발문에 있는 독립시행의 확률만 생각하고 같은 것이 있는 순열로 바꿔서 문제를 해석하지 못했습니다..

이거는 기출을 풀어야 하나요? 기출 논리가 그대로 계승되는 건가요? 

아니면 그냥 n제를 다양하게 풀어서 경험치를 쌓아야 할까요?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외대학고반수생 · 1289550 · 06/05 00:02 · MS 2024

    확통은 뭔가 말로 설명할수 없는 감각이 있긴 한거같아요
    그런건 기출이나 n제 많이 풀면 당연히 생기죠
    케이스 분류는 보통 가장 처리하기 까다로운 거나 여러 조건에 공통으로 포함된 것들 위주로 한다고 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 확통의 왕 · 1294334 · 06/05 00:05 · MS 2024

    28번은 그냥 기출유형 그대로임요 홀짝에
    대한 감각이 중요
    30번은 비슷한 기출은 없는것 같은데 대칭성에 대한 감각이 중요한 것 같아요 전 (나)조건 보고 아 뭔가 대칭 같은데? 생각해서 f(0) 기준으로 케이스 분류했음요
    케이스 잡는 기준은 엄밀하게 따지면 뭔가를 기준으로 잡았을때 파생되는 케이스가 적은걸 잡는거긴 해요 근데 솔직히 이걸 엄밀하게 따지기보단 그냥 감각적으로 잡는 경우가 대부분인듯 해요

  • 확통의 왕 · 1294334 · 06/05 00:07 · MS 2024

    문풀량이 중요한건 맞는데 그전에 기출학습으로 케이스 기준이 대충 뭐인지에 대한 감각을 익혀야 한다고 생각해요 예를 들면 이번 30번에서 대칭성 생각할 수 잇엇던 이유가 23수능 30번에서 대칭성 풀이를 봣기 때문인 것 같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