엑섹 [990122] · MS 2020 · 쪽지

2024-05-18 08:10:43
조회수 277

.

게시글 주소: https://image.orbi.kr/00068101969

댓글 글자수 제한에 걸려서 여기다 씁니다



"개인적 성공"과 "영향력 있는 성공" 사이의 결정적 차이를 "자기 만족"에 불과한 것과 그렇지 않은 것이라는 데에 두셨는데요

다시말하면 "영향력 있는 성공"이 진짜 성공인 이유는 "자기 만족"에 불과하지 않기 때문이라는 것이죠

즉 "자기 만족"이라는 주관적, 심적 결과 이외에 객관적, 실질적 결과를 포함하고 있다는 것인데

"사회 전체에 긍정적 효과를 낳지 않더라도 유명해지기만 하면 성공"이라는 "영향력 있는 성공"의 의미를 생각했을 때 이것은 필연적이지 않습니다

즉 모든 "영향력 있는 성공"이 "자기 만족" 이외의 다른 의미를 언제나 갖는 것은 아닙니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아요

"영향력 있는 성공"이 "자기 만족" 이외의 다른 의미가 있는 것으로 느껴지는 것은, "유명하지 않은 것"이 극복해야 할 문제라고 인식하는 데서 옵니다

유명하지 않음, 즉 80억명의 인구 중 한 명에 불과할 뿐이라는 '존재의 객관적 무의미'를 문제로 인식하여, 그것의 해결인 "영향력 있는 성공"이 주관적 만족 이외에 다른 어떠한 것을 포함한다고 생각하게 되는 것이죠

그런데 존재의 객관적 무의미함은, 실은 그 자체로는 절대로 문제가 될 수 없습니다

스스로가 객관적으로 무의미하다는 주관적 인식과 그것이 낳는 소외감, 허무감 등의 주관적 감정으로 인해, 그리고 그런 맥락 안에서만, 존재의 객관적 무의미는 비로소 극복해야 할 문제가 되는 것이죠

존재의 객관적 무의미는, 바로 그 자체로서 어떠한 문제를 내포하고 있기 때문이 아니라, '내가' 거기에서 '주관적'이고 지극히 '사적인' 결핍과 불만족을 느끼기 때문에 문제인 것입니다 

유명하지 않은 타인에게서 느끼는 연민 또한, 타인이 느낄 그 허무적 감정에 대한 상상적 공감에서 오는 것이고요

즉, 그것의 해결인 "유명함"은 '주관적이고 사적인 것에 불과한' 내면의 과제의 해결에 불과하며, 이는 다르게 표현하면 "자기만족" 이외에 어떤 이익도 없다는 것과 같습니다

애초에 유명하지 않은 것에서 내적인 결핍을 느끼지 못한다면 유명하지 않은 상태가 극복해야 할 상태인 것도 아니고, 유명한 상태가 그 자체로 성공으로 인식되지도 않습니다

따라서, "영향력 있는 성공"이란 '언제나 필연적으로 "자기만족"에 불과하지 않은 것'은 아니게 되는 거죠


어떤 성공, 예를 들어 판데믹의 백신 개발과 같은 것은 물론 전인류적 이익을 가져오는 것으로서 자기만족 그 이상의 성공입니다

그러나 어떤 성공, 예를 들어 911 테러 등 오사마 빈 라덴과 같은 인물들의 말씀하신 "성공"은, 그러한 유명함은, 그러한 유명함이 줄 수 있는 사적 만족 외에 별다른 의미가 없습니다 

그런 사적 만족조차도 없다면 객관적으로도 주관적으로도 그런 유명함이 성공이라고 볼 이유는 없겠지요.


유명한 것에 가치를 두는 가치관이 배제된다면 말씀하신 성공이 더 진실된 성공이라는 것에 대한 더 이상의 근기가 없습니다

즉 어느 성공이 더 진실된 성공이냐 하는 것은 객관적인 측정이라기보다 어떤 가치관이 전제된 주관적 평가에 가깝죠

다시말해 선호와 취향의 문제지 어느 하나의 사실이 모두에게 공통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첫번째 댓글의 주인공이 되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