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슐리카 [486417] · MS 2013 · 쪽지

2015-11-11 20:27:26
조회수 1,200

사회문화 질문이요 ㅠㅠ 급해요 ㅠㅠ 연구방법 질문이에요 ㅠㅠ

게시글 주소: https://image.orbi.kr/0006776367

연구 방법 관련 설명 중

유연한 대처가 가능하다를 돌발 상황 통제 가능하다 라고 해석해도 될까요?


그렇게 되면 설문지법, 참여관찰법은 유연한 대처가 힘들고


실험법과 면접법은 유연한 대처가 가능하다고 봐도 될까요?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한외 · 567297 · 15/11/11 20:29 · MS 2015

    아뇨 실험법에서 인간 등 통제가 되지않은 변수때매 망할수도잇기때문에 면접법만

  • 애슐리카 · 486417 · 15/11/11 20:31 · MS 2013

    그러면 면접법만 유연한 대처가 가능하다고 봐야 되죠? 밑에 분과 답변 내용이 달라서 헷갈리네요 ㅠㅠ 마지막 정리하다가 갑자기 헷갈려서 멘붕 와요 ㅠㅠ

  • 한외 · 567297 · 15/11/11 20:36 · MS 2015

    실험법 단점이 인간이라는 변수통제가 곤란하다 가 있어서요 근데 제생각에 돌발상황대처랑 유연한대처는 조금 다른거같아요

  • 애슐리카 · 486417 · 15/11/11 20:41 · MS 2013

    일단 수특, 수완 해설에서 면접법이 참여관찰법보다 돌발 상황 대처에 용이하다 라고 설명하길래 일단 이것만 봐야겠어요 ㅠㅠ

  • 유불리 · 565919 · 15/11/11 20:30 · MS 2015

    네 그리고 통제 수준은 실험법>질문지법>면접법>참여 관찰법이에요

  • Makkkia · 332350 · 15/11/11 20:43 · MS 2010

    죄송한데 통제수준은 질문지법이 실험법보다 우선하지 않나요?

  • 한외 · 567297 · 15/11/11 20:44 · MS 2015

    실험법이 제일 높아요!

  • 유불리 · 565919 · 15/11/11 20:48 · MS 2015

    아무래도 실험법이 더 규격화되어있으니까 그렇지 않을까요 질문지법은 미응답이나 거짓응답을 통제할 수 없으니까요 저는 실험법이 제일 높다고 배웠어요!

  • 홍우동 · 610929 · 15/11/11 20:49 · MS 2015

    아뇨 .. 윗분 말씀처럼 실험 질문 면접 (문헌) 참관 순으로 알고 있는데요

  • 한외 · 567297 · 15/11/11 20:42 · MS 2015

    그러셔도 무방하실듯 내일시험 잘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