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or [595507] · MS 2015 · 쪽지

2015-09-23 13:31:58
조회수 1,298

이지영 쌤 ㅜㅜ 사회문화 이거 대답좀해주세요ㅠㅠ

게시글 주소: https://image.orbi.kr/0006560475


 개념강의 들었었는데ㅠㅠ

9월모의고사 사회문화 망해서 ㅠㅠ

개념강의 들었던거

서브노트로 복습하고 있거든요..

이거 말이 이해가 안가요..

비공식집단은 자발적으로 만들어진 집단이지..

자연발생은 아닌거 같은데ㅠㅠㅠ 오르비에 계신 똑똑이분들이 댓글좀 달아주세요ㅠㅠ

대혼란....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김바나나안바나나 · 599407 · 15/09/23 13:42 · MS 2015

    이거 오타같은데 자연발생적 이란 개념을 여러 의미로 해석가능하다고 선생님이 설명하셨대요.
    비공식조직은 자발적 결사체고 만든 목적이 있는 이익사회라고 이해하심 될듯해요

  • 체대반수 · 573581 · 15/09/23 13:45 · MS 2015

    작년에 50점받은 재수생입니다
    비공식조직이란게 먹고살기 편해지면서 여가시간이생겨서 자연스럽게 다른 활동들을 하게되서 만들어졋거든요
    저기서 자연발생적은 공동.이익사회 구분할때 그 자연발생이라긴보단
    구체적인 목표를 위해 만든게 아니라는뜻 같네요
    자발적결사체의 어감인것 같아요

  • 김바나나안바나나 · 599407 · 15/09/23 13:47 · MS 2015

    비공식조직도 만든 목표가 있다고 봐야해여..이렇게 설명하시면 글쓴분 개념 헷갈리실것같아요ㅠ

  • 마춘뻡파괘자 · 590366 · 15/09/23 16:05 · MS 2015

    1차집단의 성격이 좀더 강하다고 말하는거 아닌가요?

  • 이지영갓지영 · 576837 · 15/09/23 17:50 · MS 2015

    자연발생적이 여러의미로 해석되는데,
    비공식적 조직에서는 자연발생적이 자발적으로 생겨났다고 해석됩니다.

    다른 해석으로는 공동사회에서도 자연발생적으로 생겨났다고 하나,
    여기에서는 선천적으로 생긴집단으로 해석됩니다.

  • 뱃사람 · 490111 · 15/09/25 21:51 · MS 2014

    공식조직 내부의 조직이지만, 공식조직과 결성되는 경로가 다르다는 것을 강조하기 위해 <자연발생적>이라고 표현했다고 보세요. 그냥, 자발적이라는 뜻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