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abu대표 [403909] · MS 2012 · 쪽지

2015-09-20 14:35:11
조회수 2,435

[Wabu 모의고사] 3회 토론방

게시글 주소: https://image.orbi.kr/0006549046


3회의 컨셉은 Equilibrium 입니다.
3회의 (주관적인) 예상 등급컷은 43점입니다.


1번 - 수능완성, 암기


2번 - 비연계, 암기


3번 - 비연계, 암기


4번 - 수능특강, 계산


5번 - 수능완성, 이해


6번 - 수능특강, 계산


7번 - 수능특강, 계싼


8번 - 수능특강, 이해


9번 - 수능특강, 이해


10번 - 수능완성, 암기


11번 - 수능특강, 이해


12번 - 비연계, 암기


13번 - 비연계, 암기


14번 - 수능완성, 이해


15번 - 수능완성, 이해


16번 - 수능특강, 이해


17번 - 비연계, 암기
플루토늄이 Pu가 아니라 P라고 잘못 표기되어 있습니다;;


18번 - 수능특강, 계산
B와 C를 연결한 실은 B와 C를 연결하고 있는 그 실이라는 말이므로 B와 C 사이에 있는 실을 뜻합니다. A와 B를 연결한 실을 말하는 것이 아닙니다.


19번 - 비연계, 계산


20번 - 수능특강, 계산
이 문제에서 A와 B의 높이차는 결정되지 않습니다. 즉, A와 B 사이에서 베르누이 법칙은 의미가 없습니다. 의도는 연속 방정식입니다.
+ 피토관의 입구는 그냥 속도를 0으로 놓고 베르누이를 쓰시면 됩니다. (EBS)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asdf1224 · 519878 · 15/10/09 02:07

    20번에 P(B) 하고 P(A)같아야 하는거 아닌가요?

  • Wabu대표 · 403909 · 15/10/10 13:49 · MS 2012

    같을 필요도 이유도 전혀 없습니다.

  • asdf1224 · 519878 · 15/10/10 14:36

    제가 잘못적었네요..압력B와 압력C가 같아야 되는거 아닌가요?? 해설지보니깐 베르누이 방정식으로 두곳의 압력을 방정식으로 엮으시던데 베르누이방정식은 움직이는유체 에서만 적용되는게 아닌가요? 여기서는 파스칼법칙을써서 압력비 하고 압력씨 가 같다. 라고 해야되는거 같은데..

  • asdf1224 · 519878 · 15/10/10 16:00

    ㅜㅜ 궁금하해ㅜㅜ

  • Wabu대표 · 403909 · 15/10/10 20:56 · MS 2012

    B와 C는 베르누이로 엮으셔도 됩니다. 물리1 수준에서는 B에서 C로 이동하여 C에서 속력이 0으로 극한적으로 다가간다...라고 이해하면 되겠습니다. B에서 C로 이동을 하므로 파스칼 법칙은 아예 틀려먹은 접근이고요. 실제로 이러한 장치를 이용하여 압력을 측정합니다.
    + 정지 유체에다 베르누이 법칙 쓰면 성립은 합니다.

  • 우석이 · 580315 · 15/10/10 17:02 · MS 2015

    8번수치를대입해서풀순없나요? 대입해서푼다면어떤식으로하죠?ㅜㅜ

  • Wabu대표 · 403909 · 15/10/10 20:57 · MS 2012

    수치를 대입해서 풀면 상당히 복잡해질 것 같네요... 제가 복잡한 계산을 잘 못해서 ㅠㅜ

  • 우석이 · 580315 · 15/10/11 15:02 · MS 2015

    수치를대입해서푸는게 E=F/q를써서푸는것이맞죠?

  • 이끼만땅 · 568207 · 15/10/16 11:35 · MS 2015

    18번 말입니다 풀이과정은 맞았는데...

    B와 C를 연결한실을 끊었다에서...

    B와 C사이인지 아니면 B와 C를 동시에 연결시키고 있는 B위의 실인지 언어적으로 헷갈렸습니다

    덕분에 답도 4번..ㅠ

    만약 증쇄하실 계획있으시면 참고해주세요ㅎㅎ

  • Wabu대표 · 403909 · 15/10/16 17:28 · MS 2012

    증쇄시 참고하도록 하겠습니다.

  • 이끼만땅 · 568207 · 15/10/16 11:37 · MS 2015

    아 그리고 17번 말입니다?

    P가 아니라 Pu 아닌가요?

    P는 인이구 Pu는 플로토늄으로 알고있는데
    P가 질량수가 239일리는...

    이것도 참고!

  • Wabu대표 · 403909 · 15/10/16 17:28 · MS 2012

    증쇄시 참고하도록 하겠습니다. P라니...

  • asdczx · 521439 · 15/10/16 19:32 · MS 2014

    19번 문제에서 공이 오른쪽 지지대보다 오른쪽에 있는 경우에 돌림힘을 어떻게 적용해야 하는지 모르겠습니다...
    수식 말고 직관적 풀이(시소에 쓰이는 원리등) 같은 해설은 없나요? 해설지 해설을 이해를 못하겠어요....

  • Wabu대표 · 403909 · 15/10/17 13:18 · MS 2012

    1) 공이 있을 수 있는 왼쪽 끝
    공을 왼쪽으로 계속 움직이다보면 공과 A의 질량 중심이 왼쪽 지지대에 완전히 쏠리게 됩니다. 이때 왼쪽 지지대가 두 받침대 사이에 있으므로 공을 왼쪽으로 더 옮겨도 B의 평형은 유지되고, A의 평형만 깨지게 됩니다. 따라서 공과 A의 질량이 왼쪽 지지대로 몰리는 순간입니다.

  • Wabu대표 · 403909 · 15/10/17 13:20 · MS 2012

    2) 공이 있을 수 있는 오른쪽 끝
    공을 오른쪽으로 움직이다보면 왼쪽 지지대보다 오른쪽 지지대로 전달된 무게가 점점 커집니다. 그런데 오른쪽 지지대가 두 받침대의 바깥에 있기 때문에 두 지지대의 질량 중심이 오른쪽 받침대보다 더 오른쪽으로 가면 B의 평형이 먼저 깨지게 됩니다. 따라서 공과 A의 질량이 오른쪽 받침대로 몰리는 순간입니다.

  • asdczx · 521439 · 15/10/20 19:40 · MS 2014

    제가 이렇게 이층 구조로 되어있는 돌림힘 문제를 풀 때 2014학년도 수능 20번처럼 같은 층에 있다고 놓고 풀었는데 이 경우에서는 아래층 막대의 길이 안에 들어가지가 않아서요...
    그리고 아래층의 막대에서 위층에 있는 물체들의 무게가 작용되는 지점을 어떻게 잡아야 하나요? 다른 회차 돌림힘 문제도 위층에서의 평형은 계산 해내는데 아래층 막대에서 평형 구할 때 헤매는데 어떻게 해야하나요?

  • Wabu대표 · 403909 · 15/10/21 14:49 · MS 2012

    잘 이해가 안 될때는 그냥 접촉해있는 지점에서의 힘만 고려하면 됩니다. 두 막대 사이에 지지대가 있다면 그 지지대가 누르는 힘만 고려하는게 정석입니다. 기본적인 힘의 평형이구요.

  • 1.99 · 589593 · 15/10/17 23:55 · MS 2015

    18번 조건 보고 바로 등속 운동 한다는 것은 유추 할 수 있는거죠? 파렉이랑 평소에 들은거 생각해서 그럴거라 생각은했는데 확신이 없어서 수식으로 어렵게 썼더니 델타K가 0이 나오네용

  • Wabu대표 · 403909 · 15/10/19 23:31 · MS 2012

    조건보고 바로 알아내는 것이 좋습니다.

  • FReKqjgzJ0sBPH · 602544 · 15/10/25 21:40 · MS 2015

    조건만 보고 어떻게 등속이 나오는지 알 수 있을까요??ㅠㅠ

  • e편한우유 · 567329 · 15/10/30 08:43 · MS 2015

    실이 A에 한 일이 곧 장력이 bc계에 해준 일(bc계의 역학적에너지 증가량)과 같습니다. 전체 운동 상황에서 보존력인 중력만 일을 해주니까 전체적인 역학적인 에너지는 보존됩니다.
    그러니까 A의 퍼텐셜에너지 감소량은 A의 운동에너지 증가량+bc의 역학적에너지 증가량인데 A의 퍼텐셜에너지 감소량이 bc의 역학적에너지 증가량과 같으니 A의 운동에너지는 일정하죠.

  • 치킨치킨치킨 · 603563 · 15/10/18 17:46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치킨치킨치킨 · 603563 · 15/10/18 17:53

    20번이요 c의두께를 무시한다고해서 속도를0이라고했는데 맞는풀이인가요?

  • Wabu대표 · 403909 · 15/10/19 23:32 · MS 2012

    본문에서 속도가 0이라고 주어져 있습니다.

  • 오늘단하루 · 420132 · 15/10/19 20:15 · MS 2012

    20번 질문입니다.

    피토관내에서 유체는 흐르지 않는다. 따라서 속도는 0.. 근데 왜 피토관 내에서 속도는

    0이 되는건가요? 그냥 암기사항인가요?

  • Wabu대표 · 403909 · 15/10/19 23:33 · MS 2012

    그 안쪽의 유체가 다 정지해있기 때문에... 극한처럼 이해하시면 됩니다. 이해 안 되시면 그냥 암기하시면 됩니다. 아마 수능특강이었나 수능완성이었나에 등장했습니다.

  • 호이쨔 · 588539 · 15/10/19 20:37 · MS 2015

    20번에 C가 왜 속력이 0이되나요?

  • Wabu대표 · 403909 · 15/10/19 23:32 · MS 2012

    그 안쪽의 유체가 다 정지해있기 때문에... 극한처럼 이해하시면 됩니다. 이해 안 되시면 그냥 암기하시면 됩니다. 아마 수능특강이었나 수능완성이었나에 등장했습니다.

  • 호이쨔 · 588539 · 15/10/19 20:40 · MS 2015

    죄송한데 14번문제 ㄷ보기에서 파장이 두개가 같아야 정상파가 만들어지는건가요?

  • Wabu대표 · 403909 · 15/10/19 23:33 · MS 2012

    질문을 이해하지 못하겠습니다.

  • 나는간다연고지로 · 521386 · 15/10/19 21:49 · MS 2014

    18번 답이 2/3g 아니냐고 여쭤보러 들어왔는데 B와 C를 연결한 실 Aㅏ......

  • 왈이갈이 · 584383 · 15/10/22 21:15 · MS 2015

    16번에 단열된거랑 단열되지않은거랑 무슨차이에요??

  • sydh · 330634 · 15/10/26 16:06 · MS 2017

    외부랑 열출입이 있는지 없는지요 단열안되어있으면 실린더밖이랑 에너지 교환을하고 단열은 내부적으로 변화만

  • 왈이갈이 · 584383 · 15/10/26 22:11 · MS 2015

    우어엉감사합니다 근데 문제 풀 때 안써먹는거아닌가요?? 단열이든 아니든 그래프그려서 풀면 똑같은거 아니에염??

  • 왈이갈이 · 584383 · 15/10/26 22:11 · MS 2015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왈이갈이 · 584383 · 15/10/22 21:55 · MS 2015

    공이 오른쪽 지지대를 넘어가면 왼쪽지지대가 공을 떠받치는 힘은 0이 되는거죠??

  • sydh · 330634 · 15/10/26 16:09 · MS 2017

    네 그래서 왼쪽받침대에 떠받치는힘이 0이되는순간이 공이오른쪽으로 갈수있는최대인거죠 받침대 위에있는물체가 오른쪽으로 기울어지면 왼쪽받침대로부터 접촉하지(뜨니까)않으니까 0 이되는거구요

  • 왈이갈이 · 584383 · 15/10/26 22:14 · MS 2015

    감사해양

  • FReKqjgzJ0sBPH · 602544 · 15/10/23 17:37 · MS 2015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Redbird · 578475 · 15/10/23 22:13 · MS 2015

    피토관이 >─┐처럼 생긴놈 맞죠? 처음 알고 갑니다ㅋㅋ

  • FReKqjgzJ0sBPH · 602544 · 15/10/23 22:22 · MS 2015

    아 수정한다는게 삭제를 눌렀네요..18번 해설지에서 U1=U2+2K 부분이 이해가 안갑니다ㅠㅠ U1=3K+U2+2K 아닌가요??좀 만 더 자세히 설명 부탁드리겠습니다

  • Wabu대표 · 403909 · 15/10/25 17:09 · MS 2012

    제가 요새 정신도 밤낮도 없이 바빠서 질문답변을 하지 못합니다. 죄송합니다.
    토론방이라는 취지에 맞게 다른 오르비언 분들이 답변을 도와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메시좋아10 · 520109 · 15/10/25 17:26 · MS 2014

    진짜 와부만 보면 계속 실수해서 틀리네... 오랜만에 50점인줄 알았는데 ㅠ

    6번에선 등가속구간에서의 거리차를 빼먹고 계산해서 틀렸네요 ㅠ

    10번에서, 암녹색은 EBS에 나온내용인가요? 암'녹'색이라 해서 대충은 맞았는데...

    18번... B와C를 연결한 zzzㅋㅋ 그래도 요즘 역E 문제 트렌드에 맞게 E종류 해석만 잘하면 암기로 풀 수 있게 낸 문제 굳굳

    19번 저는 답지와 조금 다르게 풀었는데
    일단 A부분에서, 지지대를 기준으로 돌림힘의 평형을 생각해보면 공은 2d~8d사이에만 있을 수 밖에 없음을 알 수 있고, 2d에서 부터 천천히 6d까지 이동시킨다 했을때, 2d에 있을때는 왼쪽 지지대에 3mg가 몰빵되고, B에서 왼쪽지지대가 누르는 힘과 B의 무게의 합력이 받침대 사이에 위치하므로 평형인데
    2d에서부터 6d로 갈수록 오른쪽 지지대에 가해지는 힘이 커지므로(왼쪽지지대+오른쪽지지대=3mg로 일정한데, 오른쪽지지대를 축으로 설정했을때, 공이 6d로 갈수록 공에 의한 반시계 돌림힘이 점점 감소하므로 유일한 시계돌림힘을 작용하는 왼쪽 지지대도 그 수직항력이 작아지므로 오른쪽 지지대쪽은 증가) 결국 6d로 가면 갈수록 B에서 볼때 시계방향토크가 커지게 되어서, 오른쪽 받침대를 기준으로 돌아가는 임계점이 생길것이고, 그것을 계산했을때 공이 7.5d에 있을때임을 알 수 있죠... 와부님이 답지에서 하신 말씀처럼, 공이 A의 왼쪽부분에 있을때는 B에서 평형이 꺠지기전에 A와 지지대부분에서 이미 깨지고, 오른쪽 부분에서는 지지대부분에서 평형이 깨지기 전에 이미 B와 받침대 부분에서 평형이 깨지는것이죠

    20번 피토관의 원리를 자세히 알 필요가 있을까요? 수특에서도 원리를 알려줬다기보단 문제 상황에서
    아예 속도가 0이라고 조건을 줬기에...

  • Mimir · 605610 · 15/11/04 14:52 · MS 2015

    암녹색 이번 ebs에 있습니다

  • 알럽유(뀨잉) · 585437 · 15/10/25 20:49 · MS 2015

    18번

    감소한 E=증가한 E
    Ep_A=Ep_(B+C)+Ek_(A+B+C)
    인데요 답지 해설에 계의 운동에너지 증가량이 2K라고 되어있는데 이해가 잘 안됩니다.

    A의 운동에너지 변화량이 3K인데 그러면 B,C의 운동에너지 변화량이 2K...?!?

  • 호이쨔 · 588539 · 15/10/28 19:25 · MS 2015

    14번문제 ㄷ에서 파장이 6L이하인 소리는 항상정상파를 형성하는건가요?

  • 스럴스럴 · 515803 · 15/10/29 19:12 · MS 2014

    18번 문제

    실이 A에 한일(외력이 한일) 또는(역학적에너지감소량) = A의 퍼텐셜에너지감소량

    역학적에너지변화량 = 운동에너지변화량 + 퍼텐셜에너지변화량 이니까
    운동에너지 변화량이 0이되면
    A역학적에너지감소량 = 0 + A퍼텐셜에너지 감소량
    이렇게 이해해도되나요??

    잘못된설명인지 지적좀요

  • 이세희 · 580594 · 15/10/29 19:53 · MS 2015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연치가자 · 580594 · 15/10/29 19:56 · MS 2015

    4번에 이해가 안 되는 부분이있어서 그러는데,,,,,,,
    충격력을 받는 동안의 시간은 고려해서 빼주지 않나요??
    그래서 그 시간을 6초에서 빼 줘야 한다고 생각했거든요.
    무엇을 잘못 알고 있는거죠?

  • yKYoks3tITxmPe · 597510 · 15/11/05 19:06 · MS 2015

    저도 4번 문제가 약간 이해가 안가는게... 충돌후에도 등속운동을 하는지의 여부도 모르는 상태에서 시간과 거리, 각 시점에서의 속력비로는 답을 낼수 없다고 생각합니다. 또한 충격력을 받는 동안의 시간도 대체 왜 고려하지 않는지요ㅠ

  • 따뜻한가을 · 565946 · 15/10/30 21:30 · MS 2017

    8번문제 딱보자마자 시작해야하하는 방법이 뭔가요?

    고려사항 여러개중 스타트를 뭘로 끈어야하는지 알려주세요~

  • 대학보내줘 · 580547 · 15/10/31 16:29 · MS 2015

    8번 문제 수특을 풀지 않았다고 가정하면두개가 같을때와 다를때를 가정해서 모든경우를 다 비교해봐야하나여??

  • 성대16학번새내기 · 610077 · 15/11/02 20:44 · MS 2015

    3번 ㄱ보기에서 A의 전하량이 X와 같은걸 어떻게알죠..? 간단한것같은데 왜 모르겠지 ㅠㅠㅠㅠ

  • 에이스먹고싶다 · 494809 · 15/11/03 16:18 · MS 2014

    크기가 A, B에 비해 C가 크잖아요? 상황이 중성자가 베타붕괴하여 양성자가 된거니 C가 양성자라는 말이에요. 그럼 A, B는 중성미자 또는 전자여야겠네요.

    근데 C가 X와 척력이 작용해요. X는 기본입자로 구성된 핵자라니까 중성자 아니면 양성자인데, 중성자라면 C를 밀어낼 이유가 없어요. 그래서 X는 양성자에요.

    한편 A는 X와 인력이 작용하니까 중성미자가 아니라 전자겠네요.

    양성자 X 의 전하량은 +1, 전자 A의 전하량 -1이니까, 전하량의 크기가 같아요.

  • 설공고고염 · 519911 · 15/11/03 18:58 · MS 2014

    스넬을 법칙 교과과정임?

  • 설공고고염 · 519911 · 15/11/03 18:59 · MS 2014

    스넬의 법칙 교과과정임?

  • 설공고고염 · 519911 · 15/11/03 19:00 · MS 2014

    그냥 굴절률이 커지면 임계각이 작아진다. 이것만 ebs 답에 나와있던디

  • 설공고고염 · 519911 · 15/11/03 19:02 · MS 2014

    기출역시 그것만 물어보고

  • yKYoks3tITxmPe · 597510 · 15/11/05 19:07 · MS 2015

    저도 그게 좀 궁금하단데... 배기범 같은 경우엔 아예 각도 대입해서 풀게 시켜가지고 이걸 공부해야되나 말아야하나 싶어요

  • yKYoks3tITxmPe · 597510 · 15/11/05 19:18 · MS 2015

    11번 그래프에서요. 자기장영역 1에서 2로 갈때는 기울기의 크기가 더 커지는 거 맞죠? 약 두배인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