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abu대표 [403909] · MS 2012 · 쪽지

2015-09-20 14:29:21
조회수 3,936

[Wabu 모의고사] 1회 토론방

게시글 주소: https://image.orbi.kr/0006549025


1회의 컨셉은 Stranger 입니다.
1회의 (주관적인) 예상 등급컷은 43점입니다.


1번 - 수능특강, 암기


2번 - 수능특강, 암기


3번 - 비연계, 암기


4번 - 비연계, 계산


5번 - 수능완성, 이해


6번 - 수능특강, 이해


7번 - 수능특강, 이해


8번 - 수능완성, 계산


9번 - 비연계, 이해


10번 - 수능완성, 이해


11번 - 수능완성, 계산


12번 - 수능특강, 이해


13번 - 수능특강, 이해


14번 - 수능특강, 암기


15번 - 수능특강, 암기


16번 - 비연계, 계산
함께 참고해서 왜 그렇게 되는지 파악해보세요.


17번 - 수능완성, 이해
C 과정을 거치고 나면 열기관이 초기 상태로 되돌아와야 합니다.
이는 그림으로도 표현되어 있습니다.

수능특강 : 열기관 - 열에너지를 일로 바꾸는 기관. 열역학적 과정을 거쳐서 원래의 상태로 되돌아오는 과정을 통해 작동하면서 공급한 열에너지의 일부를 일로 전환한다. 고열원에서 열을 흡수하고 일을 한 후 남은 열을 저열원으로 방출한다.

열역학적 과정을 그래프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습니다.
(....)


18번 - 비연계, 계산
출제자와 검토자가 모두 틀리게 풀어버리는 초유의 사태가 벌어졌습니다.
최고의 검토진으로 여러 회 검토를 돌렸다고 자부했던 점에 대해 진심으로 사과드립니다.
이에 대해 최대한 빨리 조치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보기를 다음과 같이 수정합니다. 정답은 동일합니다.
풀이에 오류가 있는 버전에서의 정답은 2번입니다.
--------------------------------------
이미 구매하신 분들께는 정말 드릴 말씀이 없습니다. ㅠㅠㅠㅠ
진심으로 사죄드립니다. 앞으로 이런 일이 없도록 실험 형태의 문항에 각별히 주의하도록 하겠습니다.

서점에 배송되거나 이미 판매된 1, 2쇄는 저희가 손 쓸 방법이 없습니다. (1회차는 이미 다 풀어버리셨을 것이라...)
현재 남아있는 재고를 전량 폐기하고 수정본을 최대한 빨리 출고할 계획입니다.
이에 대한 부담이 있지만 수능이 1달 남은 지금, 수험생의 편의가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였습니다.
아마 3쇄부터 위와 같이 보기가 수정되어 출고됩니다.
---------------------------------------
수정된 보기에 대한 해설을 첨부합니다.


19번 - 수능특강, 계산


20번 - 비연계, 계산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교학대려고 · 568337 · 15/09/20 14:49 · MS 2015

  • rootsB4branches · 599721 · 15/09/20 14:51 · MS 2015

    나중에 풀어보고 여기로 피드백받으면 되나요?

  • Wabu대표 · 403909 · 15/09/20 14:59 · MS 2012

    네 그렇습니다.

  • 사랑사랑이 · 593969 · 15/10/07 20:57 · MS 2015

    18번 (가)에서 절반만큼 잠겼다가 (라)일 때 모두 잠겨서 넘친 부피가 4V라면, 전체의 절반이 4V이고 총 8V 아닌가요?

  • 선녀와설치 · 496812 · 15/10/07 23:04 · MS 2014

    저도 이거 한참 고민했어요.

    궁금

  • jWLTBZd2mR6IaN · 599544 · 15/10/08 00:03 · MS 2015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Wabu대표 · 403909 · 15/10/08 01:19 · MS 2012

    지금 셤지 확인이. 안되는데 아마 (가) ~ (라)가 독립적인 실험이라는 맥락이었던 것 같습니다.

  • Wabu대표 · 403909 · 15/10/08 02:25 · MS 2012

    ..........;;;;;;;;;;
    출제자와 모든 검토자가 다 틀리게 풀어버린 것 같습니다.
    어떻게 이런 일이... 시급히 조치하도록 하겠습니다. 죄송합니다.

  • asdf1224 · 519878 · 15/10/08 14:04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계란말이야 · 558263 · 15/10/07 20:59 · MS 2015

    (알림받기용 댓글)

  • 수학마스터리 · 453944 · 15/10/08 12:14 · MS 2013

    아 어쩐지 18번... ㅠㅠ 계속 안풀려서 해설봐도 안풀렸는데 ㄷㄷ

    아 그리고 변압기 관련 회로 칼럼있나요? 이거 어렵게 나오면 건드리지도 못하겠네요..

  • 왕패기남 · 605875 · 15/10/08 23:31 · MS 2015

    저도 변압기가 오히려 역학보다 어려운 것 같아요.
    역학문제는 어려운 걸 많이 접할 수 있는데
    변압기는 그냥.. 나오면 틀리니

  • Wabu대표 · 403909 · 15/10/10 11:18 · MS 2012

    제가 바빠서 수능 전에 올릴 수 있을런지 모르겠습니다...

  • asdf1224 · 519878 · 15/10/08 13:48

    이거 시간재고 푸는거 맞죠?(아니길..)
    시간이너무부족한데 엉엉

  • 왕패기남 · 605875 · 15/10/08 23:28 · MS 2015

    16번문제 질문이요. 1차회로에 저항이 r하고 3r 두개있는데
    왜 전류를 3r이랑 계산하죠? r하고 하면 안되나요?
    변압기문제 조금만꼬아도 너무어렵네요

  • 설공고고염 · 519911 · 15/10/09 16:03 · MS 2014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Wabu대표 · 403909 · 15/10/10 11:31 · MS 2012

    푸는 방법이야 많겠습니다. "맞는 방법"만 쓰면 됩니다.
    문제 상황을 완전히 해석한 그림을 올려드렸습니다.

  • 설공고고염 · 519911 · 15/10/09 16:04 · MS 2014

    개 빨리풀엇는데 18번 못풀고 30분걸렸네 시험장이었으면 마킹못해서 골로갈뻔

  • 이수홤 · 599544 · 15/10/09 17:59 · MS 2015

    18번 문제요.. 이해가 안되는데 실험과정자체가 잘못된거 아닌가요?

    해설에서, A만 넣고 2V의 물이 넘쳤으니까 A의 무게는 2ρVg 라는건데 이건 빈 상자만 넣었을때 넘친부피는 측정하지 않았다는 뜻이잖아요. 이 실험방법대로면, 상자의 부피는 4V이고 절반 잠겨있으니까 잠기지 않은 상자의 부피는 2V이니까 실험을 통해서 넘치는 물의부피는 최대 2V일수 밖에 없지 않나요?

  • Wabu대표 · 403909 · 15/10/09 18:02 · MS 2012

    이 글의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 이수홤 · 599544 · 15/10/09 18:07 · MS 2015

    수정해주셨었군요

  • Wabu대표 · 403909 · 15/10/09 18:30 · MS 2012

    오류에 대해서는 다시 한 번 사죄드립니다...ㅜㅜ

  • 개인지도 · 559137 · 15/10/09 20:04 · MS 2015

    8번: 역학적 에너지 풀이로도 풀 수 있나요?
    문제의 형태가 역학적에너지 문제유형 같아서 운동에너지=E, 위치에너지=4E로 두고 풀었는데 감이 안잡히더라구요. t를 잡아서 풀어야겠다는 생각을 단 한번도 못했습니다....
    숙달되야 하는 부분인가요?

    16.
    0회에서도 느꼈지만 전체적으로 변압기 문제가 매우 어렵게 느껴지더라구요.
    혹시 변압기 관련해서 간단하게 칼럼이라도 써 주실수 있다면 정말 감사할것같습니다 ㅠ

  • Wabu대표 · 403909 · 15/10/10 11:33 · MS 2012

    1. 가속도가 주어져 있으므로 등가속도 운동 방정식을 써야 합니다. 아마 2as = v^2으로도 풀 수 있을 겁니다. 교과외인 sin값을 써도 풀리기는 합니다만...
    + t를 놓아서 푸는 풀이는 제가 개정 후 물리1을 본 바로는 최초일 겁니다.

    2. 변압기에 대한 간단한 칼럼은 물량공급님이 많이 올려주셨습니다. 저는 간단하지 않은 칼럼을 생각중인데, 수능 전에 업로드가 가능할 지 모르겠네요.

  • 수학마스터리 · 453944 · 15/10/10 12:00 · MS 2013

    혹시 물량공급님 변압기 칼럼 링크좀 올려주실 수 있으신가요?... 찾아봐도 없네요 ㅠㅠ

  • Wabu대표 · 403909 · 15/10/10 12:07 · MS 2012

    폰이라서 어렵네요...ㅜ

  • 나는안착하다 · 603490 · 15/10/11 17:02 · MS 2015

    6번 A가 마이너스 B가 플러스 전기장방향 플러스인거아님?

  • 나는안착하다 · 603490 · 15/10/11 17:07 · MS 2015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나는안착하다 · 603490 · 15/10/11 17:10 · MS 2015

    A B가 O에 끼치는 전기력 8E ㅇㅋㅇㅋ

  • 나는안착하다 · 603490 · 15/10/11 17:09 · MS 2015

    2번에 파인만 다이어그램 어떻게 알 수 있는거? 렙톤은 강력 안되는 건 아는데 W보손이 안된다는건 약력 매개입자인데 약력은 쿼크붕괴니까 안된다는거? 그런식으로 일일히 따져야함?

  • Wabu대표 · 403909 · 15/10/11 18:15 · MS 2012

    따지면 되죠. 얼마 안 하는데...

  • 개인지도 · 559137 · 15/10/11 18:38 · MS 2015

    음, 약력은 항상 쿼크 붕괴시에만 발생하나요? 저도 약간 궁금했던 부분이라 여쭤봅니다. 약력이라는게 좀 추상적으로 다가오는 느낌이 있어요. 다른건 실제로 결합되있는 예시 그런게 있는데..

  • Wabu대표 · 403909 · 15/10/11 18:39 · MS 2012

    중성자와 양성자의 변환이나 파이온이 붕괴한다거나... 위키에 검색해보세요.

  • loverholics · 579789 · 15/10/11 23:43 · MS 2015

    18번 해설 언제나오나요....ㅠ
    갓부님이 이런 실수를 하시다니...ㅎㄷㄷ

  • loverholics · 579789 · 15/10/11 23:45 · MS 2015

    18번 해설 언제 나오나요 ??
    갓부님이 이런 미스를 하시다니 ㅎㄷㄷ

  • loverholics · 579789 · 15/10/11 23:45 · MS 2015

    ..,

  • Wabu대표 · 403909 · 15/10/12 19:17 · MS 2012

    수정된 보기에 대한 해설을 본문에 추가하도록 하겠습니다!

  • 붐스 · 513593 · 15/10/12 00:25 · MS 2014

    17번 c과정이 단열수축인건 어떻게 아나요? 단열팽창일수도 있지 않나요?

  • Wabu대표 · 403909 · 15/10/12 19:22 · MS 2012

    그러면 과정 A B C를 모두 거치면 기체의 부피가 증가하게 됩니다.
    열기관은 항상 초기 상태로 다시 돌아와야만 해요.

  • 붐스 · 513593 · 15/10/12 00:25 · MS 2014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알럽유(뀨잉) · 585437 · 15/10/12 01:39 · MS 2015

    2번 파인만 다이어그램인지 뭔지 모르고 전에 숨마쿰에서 봤던 기억이나서 찍다시피(?) 맞췄는데요...수특 수완에도 그림도 없고 설명도 없는데 이걸 어디서 어느정도로 공부해야 하나요..?

  • Wabu대표 · 403909 · 15/10/12 19:18 · MS 2012

    그냥 자료 해석입니다. 파인만 다이어그램을 따로 배울 필요는 전혀 없습니다.

  • 시정 · 581166 · 15/10/13 18:38 · MS 2015

    1.6번 문제에서 각 점전하가 받는 알짜힘이 0이다 다음 줄부터 무슨 뜻인지전혀 이해를 못하겠습니다 ㅠㅠ

    2. 2번 문제에서 w 보손이 가능한 매개입자가 되려면 위의 그림이 뭐랑 뭐가 반응해야 하나요?

  • Wabu대표 · 403909 · 15/10/14 11:16 · MS 2012

    1. 혹시 수능특강 안 풀어보셨나요? 똑같은 문제가 있으니 참고바랍니다.

    2. 중성자가 양성자가 되거나 그 반대 현상이 일어나야 합니다. (물1에선)

  • 11111!!!!! · 468193 · 15/10/14 21:48 · MS 2013

    와부님 15번이요 같은 파원에서 시작 됐으니까 a,b 는 진동수는 같고 파자으차이만 있는 것 아닌가요? 그래서 속력도 다른거라고 생각했는데 ㅜ

  • Wabu대표 · 403909 · 15/10/15 00:21 · MS 2012

    한 스피커에서 여러 음의 소리를 동시에 낼 수 있는 것처럼, 심히 아날로그한 경우(예를 들어 소리굽쇠)가 아니라면 그걸 하나의 파원이라고 단정지을 수 없죠.

  • 이끼만땅 · 568207 · 15/10/15 11:15 · MS 2015

    5번 해설지에서 P는 근일점이므로 원궤도보다 빠른속력을 가지고 Q는 원일점에 있으므로 원궤도일떄보다 느린속력을 지니므로 같지 않다라고 하셨는데
    만약 원궤도일때를 생각하면
    P는 더큰 원궤도를 그리고 Q는 작은 원궤도를 그리므로 둘다 원궤도를 그릴시 Q의 원궤도상의 속력이 더 크잖아요?

    그러면 다시 타원 궤도로 돌아가면 P는 더작은 속력보다 빨라지고 Q는 더큰속력보다 느려집니다

    뭐 식을통한 계산을 활용하면 둘은 다르겠다만 물1수준에서 위와 같은방식으로 생각하면 장담은 못하는거 아닌가요?

  • Wabu대표 · 403909 · 15/10/16 17:03 · MS 2012

    장담 가능합니다. 평가원 기출문제와 똑같은 문제거든요.

  • 이끼만땅 · 568207 · 15/10/15 11:25 · MS 2015

    12번 이해과정

    일단 진동수를 감소시켰더니 전류가 P로 흐른것은 X의 임피던스가 증가하여 전류가 P로 몰렸기때문이다 따라서 X는 축전기

    그리고 R의 저항을 증가시키면 P와 축전기 전체에 걸리는 전류가 줄어드므로 P에 걸리는 전류도 감소한다

    진동수를 증가시키면 X의 임피던스가 감소하며....
    여기서 문제가있습니다 X의 임피던스는 저항과 같이 생각하여 옴의 법칙을 적용가능하니까
    1/R(전열기구)+1/X(축전기)=1/(전체저항-R)인데 축전기의 임피던스가 감소하면 전체저항이 감소한다는것을 도출 못하겠습니다

    직감적으론 그럴것 같은데 영...ㅠ





    광다이오드와 태양전지는 같은원리이죠?
    그리고 태양전지에서는 접합면에서의 양공 전자쌍의 결합이 없나요?

  • Wabu대표 · 403909 · 15/10/16 17:07 · MS 2012

    질문 답변하기 전에 우선
    ~ 일단 진동수를 감소시켰더니 전류가 P로 흐른것은 X의 임피던스가 증가하여 "전류가 P로 몰렸기때문이다"같은 "그럴 것 같다"가 아니라
    X의 임피던스 증가 -> R과 (X+전열기)에서 후자의 저항 효과가 증가하였으므로 전압이 후자에 더 크게 걸림 -> X와 전열기는 병렬이므로 동일한 전압이 걸림 -> 전열기에 걸린 전압이 증가하였으므로 전류도 증가 -> P의 측정값 증가
    이렇게 이해하시면 됩니다.

  • Wabu대표 · 403909 · 15/10/16 17:09 · MS 2012

    1. 축전기의 임피던스 감소 -> 2. 축전기||전열기 임피던스 감소 -> 3. R + 축전기||전열기 임피던스 감소

    1은 생각할 것 없고 3은 직렬이라 당연하니 2만 이해하시면 되겠네요. 정량적인 게 궁금하시면 수식으로 놓고 해보세요.

  • 이끼만땅 · 568207 · 15/10/17 12:50 · MS 2015

    와..진짜 말끔하네요

    와부모의고사 풀면서 진짜 손도 못대던 어려운 회로문제 이제는 풀리네요

    진심으로 감사합니다

    이투스 배기범쌤보다 더욱 효과 보고있습니다

  • Wabu대표 · 403909 · 15/10/17 13:11 · MS 2012

    >_<

  • Wabu대표 · 403909 · 15/10/16 17:10 · MS 2012

    마지막 질문은 그냥 기본이라...
    광다이오드와 태양전지는 둘 다 광전효과이고
    접합면에서 양공과 전자쌍이 형성되어 서로 반대 편으로 이동하여 나갑니다.

  • 이끼만땅 · 568207 · 15/10/15 11:38 · MS 2015

    16번. 이번 회차는 질문이 많네요..

    제가 푼방식이 좀 답지와 위 그림과 달라서...

    일단 r과 3r에걸리는 전류를 i라 하면 1차코일에도 i가 걸립니다
    또한 3r에걸리는 전압이 3V이므로 3r에서 전력을 계산하면 2P=3Vi가 도출되고 따라서 R의 전력계산시 R에흐르는 전류는 (1/2)i가 나옵니다
    그렇게 되면 2차코일의 전류는 1차코일의 전류의 절반 따라서 1:2가 나오는데...

    위그림의 1차코일과 2차코일의 (3/2)ir 및 3ir이 이해가 않가네요...

  • Wabu대표 · 403909 · 15/10/16 17:11 · MS 2012

    코일에 걸린 전압 or 코일이 만든 기전력입니다.

  • 이끼만땅 · 568207 · 15/10/17 12:53 · MS 2015

    죄송하지만 한가지 더 물어 보겠습니다

    문제는 4회까지 가본경험으로 위풀이를 해결해냈습니다

    다만 배기범쌤의 인강에서는 전압과 기전력을 물1수준에서 동일하게 간주해도 된다고 하셨습니다

    와부님께서는 코일에 "걸린"전압 코일이 "만드는"전압이라 하셨는데

    전압은 외부전압에의해 생기는고 기전압은 코일의 특성상 유지하려는 성질로 기전압을 생성하는건가요?

    그럼 축전기도 똑같은 이유로 기전압을 생성하겠네요?

  • Wabu대표 · 403909 · 15/10/17 13:12 · MS 2012

    전압과 기전력의 정의를 좀 더 구체적으로 보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전압 : 두 지점의 전위차
    기전력 : 전위차를 형성하는 능력

    코일의 전압은 근본적으로 유도기전력에 의한 것입니다.
    한편 축전기의 전압은 근본적으로 쌓인 전하에 의한 전위차입니다.

  • 이끼만땅 · 568207 · 15/10/15 11:48 · MS 2015

    18번 물이 들어오지 않게 한다...;;
    상자위에있는 저거 .... 뚜껑이네요...ㅜ
    저놈이 뚜껑이라는거 명시해주시면 좋을듯하네요
    18번에 오류가 있다는거 알고들어갔을떄.
    나와 다에서 총무게가 5ρVg인데 어떻게 넘친 물의 부피가 4Vg 이지?
    하고 머리 싸맸는데... 뚜껑,,,, ㅎㅎ....뚜껑!
    저는 물이 들어가지않는다가 A와 B를 전부 넣어도 상자의 절반도 못잠긴다로 해석했네요..쩝.

  • 이끼만땅 · 568207 · 15/10/15 11:56 · MS 2015

    20번... 너무 어렵네요..

  • 로니 · 578716 · 15/10/15 20:04 · MS 2015

    18번에 상자의 내부가 꽉 차 있는 게 아닌 이상 상자의 질량을 4ρV라고 장담할 수 없는 거 아닌가요..? 상자 내부의 대부분은 공기가 차지하고 있을텐데 왜 상자의 질량이 4ρV가 되는지 이해가 잘 되지 않아요ㅠㅠ

  • Wabu대표 · 403909 · 15/10/16 17:12 · MS 2012

    여기서 말하는 상자의 밀도는 당연히 평균적인 밀도입니다. 그래서 상관이 없어요.

  • 메시좋아10 · 520109 · 15/10/16 00:07 · MS 2014

    1회 좋았어요! 물론 점수는 안좋아요 ㅠ

    2번 문제 틀렸는데, 전자가 약한상호작용을 하긴 하지만 그 파인만 다이어그램(?) 상에선 전자기력
    (척력)을 나타내는것이라서 답은 1번인거죠?

    6번... 여기서 막힌게 이번 시험의 패착요인...ㅋ 평소에 풀어봤던 유형들에서 약간 업그레이드 된 느낌

    8번문제!는 제가 감히 와부님께 이런말하는게 두렵지만, 해설에 나온 풀이보다는, B에 작용한 알짜힘이 10N이니깐 B의 운E 증가량을 10S로 두고, A의 퍼텐셜 E감소량을 A질량x10xS으로 두고 푸는게 좀 더 빠른 풀이가 되지않을까요?

    12번문제 ㄴ보기에서, 답지에 나온 해설도 이해가 가지만, 제가 문제를 풀때의 사고과정은,
    R의 저항값이 증가하면 회로 전체의 저항값도 증가하기에, 회로 전체의 전류는 감소하고,
    축전기와 P(전열기구)가 나눠가지는 전류의 비율은 일정하기에 어쨌든 P에 흐르는 전류는 감소한다고
    생각을 했습니다. 이것도 맞는 사고방식인건가요?

    18번문제 오류였군요 ... 일단 그걸 떠나서 문제 자체는 다시한번 부력의 기본적인 개념을 되새겨 볼 수 있었던것 같네요.

  • Wabu대표 · 403909 · 15/10/16 17:13 · MS 2012

    8번은 그렇게 풀 수 있겠네요. ㅎㅎ
    12번도 맞는 사고과정입니다.
    18번...ㅜㅜ

  • 오늘단하루 · 420132 · 15/10/16 12:29 · MS 2012

    1회 17번 질문드립니다.

    해설지를 보니까 열역학적 과정 A에서는 부피가 증가했고 B에서는 부피가 일정하므로

    C에서는 부피가 감소해야된다. 라고 하셨는데요.

    제가 이해가 안되는 부분은 'C에서는 부피가 감소해야된다.' 이부분 입니다.

    내부 에너지가 다시 원래대로 돌아온것이지 부피와 압력도 처음과 같아진다는 조건이 없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부피가 C과정에서 감소하는 단열 압축 과정이라도 압력이 증가하므로

    처음 내부에너지와 같아질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또 하나만 궁금한거 더 물어볼게요.

    열효율이 0.5 입니다. 들어온 열중 절반만 일을 하는데 쓰였다는 것이죠.

    여기서 B과정에서 방출하는 열이 일을 하지 않은 양이고 ,

    과정 A,C 에서 내부에너지 증가와 일을 합친게 들어온 열이 한 일이라고 생각을 해야 되나요?

    아니면 과정 C는 열출입이 없는 상황에서 혼자 기체가 열역학 과정을 거친것이므로

    과정 A,B에서의 내부에너지 증가량과 기체의 일 출입량의 총합이 전체 들어온 열량에서

    과정 B에서 방출되는 열량을 제외한 부분과 같은건가요?

    그것도 아니라면 과정 A,B에서 열역학 제 1법칙 Q = U + W 에서 W 만큼에 해당하는

    양만 방출되는 열을 제외한 부분과 같은건가요?

    도무지 모르겠네요 .ㅜ.ㅜ

    제가 해결한 방법은 각 과정마다 Q= 델타U+ W 을 썼구요

    차근차근 따져서 풀었습니다.

  • Wabu대표 · 403909 · 15/10/16 17:17 · MS 2012

    1. 열기관이라는게 물1에서 전 과정을 거쳐서 다시 원래 상태(압력, 부피, 온도)로 돌아오는 것으로 소개되어 되어있습니다. 대부분의 학생들이 모르는 것 같네요. 또, 그래야 열효율이 상수라는 것이 의미가 있겠죠?
    수능특강 : 열기관 - 열에너지를 일로 바꾸는 기관. 열역학적 과정을 거쳐서 원래의 상태로 되돌아오는 과정을 통해 작동하면서 공급한 열에너지의 일부를 일료 전환한다. 높은 온도의 열원에서 열을 흡수하고 일을 한 후 남은 열을 온도가 낮은 곳으로 방출한다.

  • Wabu대표 · 403909 · 15/10/16 17:19 · MS 2012

    2. 좀 복잡한데... 열이 한 일이라는 말은 어폐가 있습니다. 열이라는 것과 일이라는 것 모두 에너지가 전달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말입니다. 열의 형태로 에너지가 전달, 일의 형태로 에너지가 전달 뭐 이런 것이죠. 기체가 열을 받아 내부 에너지를 변화시키고 일을 한다... 이런 식으로 생각하셔야 해요.
    + 여기서 열효율은 전체 한바퀴 돌았을 때를 나타내는 것이기 때문에 각각을 물1수준에서 분석할 수 있는지는 모르겠네요. 물2 공부하시면 이해가 가실 거예요.

  • 쵸코라떼 · 550123 · 15/11/05 19:43 · MS 2014

    열기관이 원래 위치로 안 돌아오면 등온과정은 열효율 1인셈입니다ㅋㅋ

  • 이지훙 · 598902 · 15/10/16 16:48 · MS 2015

    17번 그래프그려주실수있니요

  • Wabu대표 · 403909 · 15/10/16 17:21 · MS 2012

    본문 확인해주세요.

  • Wabu대표 · 403909 · 15/10/16 17:50 · MS 2012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이끼만땅 · 568207 · 15/10/17 14:03 · MS 2015

    그림ㅋㅋㅋ

  • smalma · 517561 · 15/10/17 16:42 · MS 2014

    1. 6번 문제풀때 A와 B는 전하량이 같으면서 인력이 작용해야한다는 사실을 파악하여
    A의 전하량을 -Q B의 전하량을 +Q라 하고, 원점과 A,B사이의 거리를 1로 설정해서
    원점에서의 전기장의 세기를 구해보니 l Q제곱/4 - 2Q l 가 되는데 이러면 전하량에 따라서 A가 음전하인 경우에도 성립할수있고 양전하인 경우에도 성립할수있는거 아니에요?
    (참고로 쿨롱상수는 제외했고, 전하량을 가정한이유는 풀다가 모순이 생길경우 부호만 바꿔서 풀려고했기때문입니다.)

    2. 12번 ㄷ에서 윗댓글중
    X의 임피던스 증가 -> R과 (X+전열기)에서 후자의 저항 효과가 증가하였으므로 전압이 후자에 더 크게 걸림 -> X와 전열기는 병렬이므로 동일한 전압이 걸림 -> 전열기에 걸린 전압이 증가하였으므로 전류도 증가 -> P의 측정값 증가
    이렇게 이해하시면 됩니다.

    라고 설명해놓으셨는데 'R과 (X+전열기)에서 후자의 저항 효과가 증가하였으므로' 이부분이 잘 이해가 안됩니다.. X와 전열기는 병렬연결인데 X가 연결했다고 X+전열기의 저항효과가 증가했다고 볼수 있나요..

    18번.
    두가지 건의사항이 있는 문젠데...(제 난독증탓이기도함)
    1.상자에는 물이 들어가지 않게한다. 라는 조건을 좀더 와닿게 표현해주시면 좋겠습니다.. 뚜껑이 있을거라곤 생각도못해서 상자가 가라앉으면 (나)와 (다)의 실험 결과를 각자 무게로 볼수있을지부터 의문이 들어 엄청 말렸습니다
    2. 이건 무시하셔도 되는데... 문제에서는 (가)에서 발생한 넘친물의 부피와 (나)에서 발생한 넘친물의 부피는 중복이 있다는 말이 없긴하지만 제가 난독증이 있어서 (나)에서 발생한 넘친물의 부피안에 상자때문에 넘친부피도 포함되있는지 알았습니다....
    마땅한 해결방안없이 개선사항만 요구해서 죄송합니다.
    덕분에 문제잘풀고있습니다.

  • Wabu대표 · 403909 · 15/10/17 17:36 · MS 2012

    1. Q제곱이 왜 나요죠,...?
    2. X와 전열기의 병렬 연결에서 X의 저항 효과가 증가하면 병렬 연결 전체의 저항 효과도 증가합니다. Zeq = Z1Z2 / (Z1 + Z2) 이므로 dZeq/dZ1 = (Z2^2) / (Z1 + Z2)^2 > 0
    3. 본문의 표현은 추후 수정할 예정입니다.

  • 빨간새 · 606158 · 15/10/18 15:24 · MS 2015

    17번 질문드려요~
    에너지 손실은 A,B,C 전과정에서 다 일어나죠?

  • Wabu대표 · 403909 · 15/10/19 23:21 · MS 2012

    단열 과정에선 열 출입이 없습니다.

  • 안산대 · 523349 · 15/10/18 15:56 · MS 2014

    12번에서 저항R이 증가하면 저항R에 걸리는 전압은 줄어드나요?

  • Wabu대표 · 403909 · 15/10/19 23:21 · MS 2012

    자명하게 증가합니다.

  • 계능이 · 527930 · 15/10/20 21:08 · MS 2014

    12번에서 단순하게 저항이 증가하면 전압도 증가한다고 했는데 v=IR에서 변수I 도 함께 고려해야되는거 아닌가요? 문제에서 병렬회로의 저항이 증가하면 전체저항도 증가하는거니까 전체 전류값도 감소하지 않나요? 그럼 곱한값이 증가하는지 감소하는지 어떻게아나요

  • Wabu대표 · 403909 · 15/10/21 14:47 · MS 2012

    중학교 수준 회로입니다. 직렬 연결된 두 소자에 걸리는 전압은 소자의 저항에 비례하게 나누어집니다. 이미 코일과 저항의 직렬 연결에서 전압의 크기 변화가 기출문제로도 있을텐데요...

  • ds**** · 579797 · 15/10/21 16:49 · MS 2015

    18번에서 물은 가득차있는 상태를 유지한다 이후 (가)에서 상자를 넣었으니 (나)의 2V 3V 4V는 A,B의 질량뿐아니라 처음에 (가)에 상자에 의한 부피까지 고려해야 하는거 아닌가요???


    6번에서 O점에서 A,B에 의한 전기력은 상쇄되고 전기장영역만고려해서 +x방향이 되야되는거 아닌가요??

  • Wabu대표 · 403909 · 15/10/21 23:39 · MS 2012

    본문을 읽어주세요.
    그리고 왜 6번에서 AB에 의한 전기장이 상쇄되죠? 아마 중첩될 텐데요.

  • ds**** · 579797 · 15/10/22 22:02 · MS 2015

    6번은 제가 착각했내요...

    18번 재질문하면 (나)에서 A를 집어 넣었을때의 넘친부피가 2V이므로 A의 질량을 2로v로 잡으신것 같은데 제가 여쭈어보고 싶은건 가득차있는 물에 처음 상자를 집어넣을때(가 과정)넘친 물이 있을 테니 그것을 고려하면 A의 질량이 2로v보다는 적어지지않을까요??

  • Wabu대표 · 403909 · 15/10/22 23:32 · MS 2012

    (가)에서 이미 넘친 물은 포함하지 않습니다.

  • 나무종 · 406923 · 15/10/24 15:27 · MS 2012

    7번 ㄱ보기에서 예전에 와부님 칼럼에서 관측은 빛이 눈에 들어온 시각 T를 사건이 일어난 시각이라고 관측하는 것이 아니라고 했던게 기억나서 그냥 맞다고 했는데 해설지에서는 눈에 들어온 시각을 기준으로 설명하시네요.

    저런 관측은 좌표계에서 정지해있을때만 성립하는건가요? 어디서 잘못이해하고 있는거지..

  • Wabu대표 · 403909 · 15/10/25 17:09 · MS 2012

    제가 요새 정신도 밤낮도 없이 바빠서 질문답변을 하지 못합니다. 죄송합니다.
    토론방이라는 취지에 맞게 다른 오르비언 분들이 답변을 도와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Wabu대표 · 403909 · 15/10/25 17:09 · MS 2012

    제가 요새 정신도 밤낮도 없이 바빠서 질문답변을 하지 못합니다. 죄송합니다.
    토론방이라는 취지에 맞게 다른 오르비언 분들이 답변을 도와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ghifjPn9sCKUTw · 593294 · 15/10/26 13:33 · MS 2015

    와부님 바쁜 와중에 질문 죄송합니다ㅎㅎ;; 16번 문항 변압기에서 교류전원의 전압은 회로에 걸리는 전체 전압의 합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래서 r과 3r의 전압의 합인 4V를 1차회로의 전압으로 두고 2차회로의 전압인 3V를 통해 전압비를 4 : 3이라고두면 감은비가 3:4를 성립하지않는 이유가 뭐죠? 2015 / 9 변압기 문제는 2차 코일 전압은 저항이 각각 2r, R인 곳에서의 전압의 합과 같던데 차이를 모르겠네요 ㅜ

  • 할모니 · 611530 · 15/10/30 20:34 · MS 2015

    코일도 교류전원에서는 저항역할을 하니깐 코일에 가해지는 전압도 생각하셔야되용 코일에 가해진전압은 2차코일로 전자기유도를통해서 전달되고용

  • 소리벗고팬티질러 · 472010 · 15/10/29 16:15 · MS 2013

    16번 질문인데요.
    위 그림에서 보여준 거 구해보려고 하는 과정에서
    교류전원의 전압을 구하는 과정이 우선 1차 회로와 2차 회로에서 전류의 비를 찾고, 1차 회로에서 V = ir, 2차 회로에서 3V = 1/2 iR 을 통해 R = 6r 을 구하고, 2차 회로에서 1/2 i * 6r 은 3ir 이기 때문에 1차 회로의 코일에 걸리는 전압이 3/2 ir 이고 나머지 저항에서 걸리는 전압을 모두 더해서 구했거든요. 이 방법말고 다른 방법이 있나요? 제가 너무 돌아서 가는 것 같아서요.

  • Be One · 587074 · 15/10/30 09:41 · MS 2015

    18번이요 물을 가득 채운 수조에 빈 상자를 띄울때는 물이 안넘치나요?

  • 할모니 · 611530 · 15/10/30 20:32 · MS 2015

    조건에서 물이 가득 찬 상태를 유지한다고 했으니 미리 상자를 띄워놓고 물을 가득 채웠다고 보는게 맞는거같습미다

  • 에이스먹고싶다 · 494809 · 15/10/30 16:06 · MS 2014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호랑이고연 · 599782 · 15/10/30 16:44 · MS 2015

    7번 빛을 먼저 쏜게 다르다고 관측될수도 있는건가요? 둘다 같은 광원 보고 있었으면서 어떻게 한놈은 A가 먼저켜지고 한놈은 B가 먼저켜지죠? ㅠㅠ
    개념부족이다....

  • 할모니 · 611530 · 15/10/30 20:28 · MS 2015

    모든사람이 빛이 동시에 O에 닿았다고 관측했고, 은서의 입장에서봤을때(은서는 멈춰있고 무인기가 뒤로움직이는것처럼보임) 빛이 동시에 O에 닿으려면 B가 빛을 먼저 쏜거로 봐야하졍
    형모는 그 반대구염

  • park16! · 524313 · 15/10/31 22:29 · MS 2014

    2번에서 그래프 해석못하고 전자의 상호작용, 즉 렙톤의 상호작용으로 가능한 매개입자로보고 ㄱㄷ했는데 ㄷ이 왜틀린건가요?
    렙톤중에 약력안됀다는 입자는 따로 본적이없어서요
    렙톤6가지의 성질을 알고있어야하나요?

  • Wabu대표 · 403909 · 15/11/03 17:01 · MS 2012

    약력 안 된다고 한 적 없습니다.

  • park16! · 524313 · 15/11/03 18:47 · MS 2014

    ㄷ이 안돼는이유가 질문인데 답변좀해주세요 바쁘신건알겠는데

  • ku96kbj · 578485 · 15/11/02 15:51 · MS 2015

    16번 질문인데요.. 변압기 에너지 손실이 없다면 1차회로와 2차회로에서의 소비전력이 같아야 하는 거 아닌가요??

  • Wabu대표 · 403909 · 15/11/03 17:00 · MS 2012

    왜 그렇게 생각하시는지....

  • TikaToka · 577192 · 15/11/03 01:24 · MS 2015

    1회 13번 모르겠네요 ㅠㅠ

  • 도파 · 599722 · 15/11/03 16:59 · MS 2015

    7번이요 문제 조건에 O와 은서와 형모가 일직선상에 놓일떄 빛을 방출한다 라는 것이 추가되야 할것같은데요?

  • Wabu대표 · 403909 · 15/11/03 17:00 · MS 2012

    이 문제에서는 그럴 필요 없습니다.

  • 자유정의진리 · 376884 · 15/11/03 21:56 · MS 2011

    18번에서
    가 물을 가득 채운 수조에 - > 빈 상자를띄운다
    그럼 가득 채운 수조에서 상자를 띄웠기 때문에 빠져나온 물 이랑
    (나) 나 (다) 에서 시행한 실험에서 A, B때문에 빠져나온 물때문에
    (나)와 (다)에서는 상자무게도 포함되어야 되지 않나요?
    가에서는 물을 가득 채운뒤에 상자를 띄웠는데..

  • 레이븐4Answer · 592707 · 15/11/03 23:08 · MS 2015

    저도 이렇게 이해하고 풀었다가 틀렸네요ㅠ 왠지 18번 치고는 답이 싱겁게 나온다 했더니만

  • 레이븐4Answer · 592707 · 15/11/03 23:11 · MS 2015

    아 그리고 와부님 18번에서 하나 궁금한 부분이 있는게 AB둘 무게 합이 상자의 나머지 부분이 감당할 수 있는 값보다 크기 때문에 이 상황에서는 상자가 가라앉으며 4V만큼의 물이 넘치게 한 다음 가라앉는 것이라 보는게 맞는거겠죠?

  • 쵸코라떼 · 550123 · 15/11/05 19:26 · MS 2014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A73nYiejhmNoBk · 603344 · 15/11/07 15:08 · MS 2015

    1회 7번 모든 좌표계에서 동시에 측정된다는게 모순 아닌가요?

  • 청영 · 578044 · 15/11/09 20:04 · MS 2015

    저도 이거 궁금합니다.
    왜 모든 좌표계에서 동시에 관측되는지 설명좀 해주세요 ㅠㅠ

  • Wabu대표 · 403909 · 15/11/09 20:13 · MS 2012

    제가 올린 칼럼을 읽어보세요.

  • 고아라고준희 · 556323 · 15/11/10 20:52 · MS 2015

    5번 질문드립니다.

    전 여태까지 행성운동 문제나올때 속력을 물으면
    속력은 거리에 반비례한다 라고만생각해서
    떨어진 거리가 같으면 속력이 같다라고만 알고있었거든요.

    근데 정확히말하면 어느경우에 이 문제처럼 다른건가요??

    만약에 하나의 행성이 타원궤도운동을 하는데 A라는점과 B라는점까지 떨어진 거리가 똑같이 r이면 무조건 속력이 같은것인가요?

  • 설공고고염 · 519911 · 15/11/10 22:27 · MS 2014

    거리랑 속도랑은 아니죠 가속도라면 이해가는데 저는 궤도로 원 궤도랑 비교하는걸로 배웠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