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 감각]-지문 먼저 읽기 VS 문제 먼저 읽기
게시글 주소: https://image.orbi.kr/0005690231
지문을 먼저 읽을 것인가??
문제를 먼저 읽을 것인가??
국어 공부를 하다보면 시간을 좀 더 절약하여 경제적인 문제 풀이를 한 번쯤은 고민해 본적이 있을 것이다.
과연 어느 것이 더 효율적일까?
각각 다 나름의 장단점이 비슷하게 있기 때문에 무엇이 더 좋다고 말하긴 어렵다.
그냥 자신에게 더 잘 맞는 것을 선택하여 자신의 능력을 더 키우는 것이 낫다.
그런데 간혹 수능에서는 문제를 먼저 읽어서
지문이나 심지어 <보기>자료도 읽지 않고도 정답을 거의 확신하는 경우가 있다.
아래 현재 여러분이 열열히 풀고 있는 EBS 수능특강 A형의 09쪽을 살펴보자.
지문과 <보기>없이 문제를 풀 수 있어 생략했다.
♣ 먼저 발문에서 얻을 수 있는 정보를 최대한 생각해 보자.
생략된 지문은 방송 대담이고 <보기>는 언니와 동생의 대화라고 제시되어 있다.
이를 통해, 대담은 ‘공적’ VS 언니와 동생의 대화는 ‘사적’ 이라는 특성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여기까지는 특별한 국어 지식이 필요한 것이 아닌, 쉬운 범주의 상식이라 할 수 있다.
그런데 일정한 격식이 바탕이 된 대담은 공적인 성격을 가지므로 ‘존대어’를 써야하며 반면에 친밀감이 바탕이 된 사적 대화는 ‘반말’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를 통해 대담이 경어적 표현을 주로 사용한다는 선지 1이 적절하다는 것을 어렵지 않게 알 수 있다.
위 문제의 경우
화법 유형에 따른 특성을 묻는 문제이기 때문에 지문이나 <보기>없이도 발문-선지 만으로 충분히 문제를 풀 수 있다.
위의 문제를 지문이나 보기를 생략한 다음의 문제와 풀이 과정은 다를 바가 없다.
지문과 <보기>가 주어지고 이를 통해서만 문제를 풀게끔한 출제자의 의도를 무시하고 이렇게도 풀리는 것이다.
어쩌면 이것이 객관식 국어 시험의 허점이다.
정공 독해법 VS 문제 풀이 기술: http://orbi.kr/0005666450
팁도 쌓이면 실력: http://orbi.kr/0005646997
기출은 과연 진리인가? http://orbi.kr/0005617619
습관화된 출제자의 심리: http://orbi.kr/0005594451
비문학 감각 충전: http://orbi.kr/0005570969
문학 감각 더하고 가자: http://orbi.kr/0005555609
서술상의 특징 문제 해결: http://orbi.kr/0005518786
2015 수능 현대시 모두 적용: http://orbi.kr/0005489483
정답과 부정형은 75%이다: http://orbi.kr/0005469384
선지 자체가 잘못되었다고 느낄때: http://orbi.kr/0005446672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인생은 결국 혼자 개척해 나가는 거니까
-
강민철T 강기본 하고 강기분 절반 정도 하는중인 국어 초보데요(국어 노베, 작년에...
-
아싸찐따라서 당하든 안당하든 변화는 없었음
-
순공에 비해 공부량이 ㅈ만한데 어떻게 해야함 ㅜㅜ
-
보닌 영어 2 평백 89인데 나보다 수능 성적 높은 분들이 예비 받고 그러는거보면...
-
악필 ㅇㅈ 1
-
• • •
-
ㅅㅂㅅㅂㅅㅂ 안된다....
-
올리지 말라니까 6
빛의 속도로 올라가네 ㅋㅋㅋㅋ 이럴때만 활발해…..
-
살아계시니까 음해하지 마라
-
항상 멘탈만 무너지고 익숙하지가 않아
-
과목존나많네 5
약제학 물리약학 생약학 물리약학실험 예방약학 약물학 약품생화학 약품미생물학...
-
매일을 읽씹해요 !!! 반수해서 빨리 제적당하고 싶은데 ㅠㅠ 월요일에 과사무실...
-
5덕코만쥬세요 0
200배로돌려주께
-
님들 영어 듣기 시간에 독해 못 풀어도 1 자신있음?? 14
일단 전 없음
-
걸밴크 2기 언제나오냐고...!
-
부경라인 사범대면 평타 치나요?
-
초콜릿상자가 아니라 몇몇분들처럼 하드코어한 닉넴이었으면…
-
제목이 곧 내용
-
으가차카으가차카 0
이건 무슨 음성상징어일까
-
이거도 막차때매 일찍 나옴..나오니까 딱 좋지아니한가 하네..이건 억까야
-
특정해도 너희가 뭘 할 수 있는데ㅋㅋ
-
ㅇㅈ 보고싶은데 1
왜 다 이상한 사진밖에 없나요
-
남들이 자신을 어떻게 볼지를 신경쓰는걸까요
-
태어나기전으로 가거싶다
-
우연히 같은 도시에 살고있고 우연히 같은 동네에서 학원을 다니며 우연히 내가 그...
-
필자는 서울대에 합격한 적이 없음. 근데 니가 무슨자격으로 이 글을 쓰냐? 관악구에...
-
본인 168등 저능아 옯븡이 분들 몇등으로 졸업?
-
아 대전에서 살고 싶다 10
매일 아침을 성심당 빵으로 시작하고 싶음....
-
ㅇㅇ
-
합격증내나
-
겟냐
-
화2했음 고급화학 도전해야하나
-
절 특정하면 26
어떻게하실건가요
-
단국vs광운 0
단국대 고분자공학과 vs 광운대 환경공학과 어디가 더 나을까요? 지방사람이라 서울로...
-
현실에서 어떻게 대할건가요
-
예전부터 궁금했음 수학은 자이 많이 보이는데 국어랑 특히 사탐은 마더텅 비율이 압도적이던데
-
하트비트
-
내 전적대 학과가 졸업하면 자격증 나오는 곳이었어서 동기들이 지망하는 진로가...
-
정모 가서 선배님께 빠른이라 술 못마시는데…. 하니까 옆애 계시던 동기분이 어...
-
예비고 3이면 0
수학을 70% 이상 하는게 맞겠지?
-
통합사회 파트때 사문 개념이 제일 재미없어서 거들떠도 안보다가 연초에 사탐런 살짝...
-
탐구 추천 ㅈㅂ 0
그동안 지구 세지 했고 올해 삼수할것같은데 두번 다 탐구만 ㅈ돼서… 사실 지구...
-
보통 몇시에 일어남? ex)6시 반이면 6시로
-
아 목아파 2
늙은이의 경부를 살
-
대충 11월 초반까지 더운느낌이다가 수능 다가오니까 확 추워짐
-
본인 요청으로 공유
-
질받 10
ㅈㄱㄴ 아무도 댓글 안달아주면 울꺼야
첫번째 댓글의 주인공이 되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