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빠르게/성적↑ [멘토링]
001_멘토링_'수학실력올리는법' (김지석).pdf
아무리 공부를 해도 성적이 오르는 것 같지 않을 때 만큼 절망스러운 건 없겠죠.
저 역시 그런 경험을 했었고, 수험생이라면 누구나 한 번 쯤 혹은 그 이상
그런 경험을 할 거예요. 그래서 수험생으로 사는 게 참 어려워요.
보이지 않는 경쟁자와 나 자신과 매일 투쟁을 해야 하니까요.
멘티님의 사연을 읽으면 현재 멘티님의 수학상태를
마치 '정리되지 않는 방'과 같다고 정의할 수 있겠어요.
방이 너무 어질러져 있고 머릿속에서 뒤죽박죽 섞여서 뭐가 뭔지 모르겠으니
습관적으로 풀 수 있는 문제만 풀 수 있는 상태인 거죠.
방이 잘 정리된 상태에서 새로운 물건을 산다고 하면 어디에 진열할 지, 어디에 둬야 할지
딱 감이 오겠죠? 그런 상태가 바로 개념과 문풀의 유기적인 연결이 된 상태라고 보면 돼요.
하지만, 문제를 풀었을 때 "으아닛! 이건 도대체 어디서 튀어 나왔어? 도대체 이런 건 어떻게 푸냔 말이야!"
라는 상태라면, 질문자님의 수학의 방이 정리되지 않았던 것이라고 생각하면 돼요.
그래서 지금 제가 멘티님에게 드릴 말씀은
1. 방을 어떻게 하면 효과적으로 정리할 수 있을 지 (수학개념 정리하기)
2. 그 방에 어떻게 물건을 차곡차곡 쌓아 올릴 수 있을 지 (문풀,인강 개념 유기적 연결하기)
이 두 가지 인거예요.
멘티님의 긴 사연을 읽어보았을 때, 이미 너무 많이 어질러져 있어서
뭐부터 해야 할지도 멘티님은 사실 잘 모를 거예요.
사실 방에 물건이 아예 없다면 정리도 쉽겠죠? 하지만 정리되지 않은 물건이 많다면 정리도 시간이 걸립니다.
왜냐하면, 어! 이건 내가 아는 건데! 하면서 건너뛰기 쉬운 거죠. 그 뒤는 보지 못한 채 말이죠.
그러나 너무 걱정하지 말아요.
겸손한 마음만 가진다면, 이번 기회를 통해 멘티님의 수학 실력을
획기적으로 올릴 수 있는 기회로 삼으면 됩니다.
*정리되지 않은 수학 정리하기 (수학 개념이 뒤죽박죽인 걸 정리하기)
-정리되지 않은 수학개념의 원인은
대부분 개념끝! 문풀 시작! 혹은 개념 끝! 문풀 인강 시작! 하면서
개념서가 끝났다고 들여다보지 않아서 생기는 문제들이 많습니다.
내신수학은 개념의 범위가 좁아 개념끝! 문풀 시작! 을 해도 별 상관이 없습니다.
어차피 문제를 풀면서 수학개념이 다 기억 나니까요.
개념 끝! 문풀 시작! 해서 개념서읽기와 문풀을 병행하지 않고 문풀만 하게 되면
문제풀이를 하면서 복습된 개념들과 문제풀이의 아이디어들이 파편적으로 쌓이게 됩니다.
그리고 문제풀이를 하다보면 자주 묻는 부분들이 있는데
문제집에서 자주 나왔던 문제만 내가 잘 풀 수 있는 문제가 되어버리는 것이죠.
그렇지만 색다르게 출제 된다거나, 문제집에서 자주 묻는 부분이 아니면 어! 하면서
어렵게만 느껴지는 거구요.
수능수학은 내신 수학보다 개념이 넓고 개념과 개념을 섞어서 물어보기도 합니다.
따라서 수능수학의 모든 범위를 내가 생생하게 알고 있어야 하고 때론 깊게 알고 있어야 합니다.
(바로 어제 배운 것 마냥)
절대로 개념만! 보라는 소리가 아닙니다.
문풀을 할 때, 나만의 개념서 읽기를 같이 병행해야 합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수능수학의 개념을 빠르게 한 번 처음부터 끝까지 정리하는 과정이 필요하고!
(개념을 정리하는 기간이 길면, 끝에 갈 즈음에 처음 내용이 기억이 안나 헛수고만 하게 됩니다.)
그리고 그렇게 정리한 것을 재차 읽어주는 작업이 필요합니다.
나만의 개념서를 재차 읽어주는 것은
내 머릿속에서 수능수학개념이 휘발되지 않기 위한 공부인 것이죠.
더군다나, 내가 문제에서 받았던 인사이트/발상등을 내 개념서에 정리를 해두고 그것을 재차 읽어주면
고난이도 문제에 쓰였던 발상은 내 기본 스탯이 됩니다.
sol1)
따라서 정리되지 않는 멘티님의 머릿속 수학의 방을 정리하기 위해서
1. 한 번에 그리고 빠르게 처음부터 끝까지 수학 개념을 정리하기
(반드시 이러한 집중기간이 필요합니다.
수학 개념을 정리하는 시간이 너무 길어지다 보면, 앞 부분은 까먹어 말짱 도루묵이 됩니다.)
2. 그리고 정리해둔 것을 여러 번 자주 읽기
(쓰면서 복습하는 것은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오래 걸리고 그만큼 다른 내용을 까먹게 마련이니까요.)
(쓰면서 복습할 시간에 개념서를 읽고, 개념 remind를 거쳐 수학의 모든 개념을 장기기억화 시키도록
꾸준하게 여러 번 자주 읽어주세요.)
problem2.
2. 수학의 방에 어떻게 물건을 차곡차곡 쌓아 올릴 수 있을 지 (문풀, 인강을 수학 개념과 유기적 연결하기)
수학공부를 하다보면 흔히들 이렇게 진도를 나가곤 합니다.
어떤 책을 보아도 이런 형태가 대부분이죠.
1단원 쉬운문제 부터 어려운문제까지 모두 푼 다음 2단원 쉬운 문제부터 어려운문제~~~~~~~~~~
이런 방식으로 수1문제집 > 수2문제집 > 선택과목 문제집을 풀었다고 가정을 해볼게요.
그럼 이런 현상이 일어나지 않던가요?
<대다수 학생들이 하는 빨강이 문풀 학습>
선택과목 공부를 할 때 쯤, 수1과 수2 내용이 기억이 나지 않아요. 어쩌다가 수2나 수1 문제를 풀려고 하면
도무지 풀리기는 커녕 쉬운 내용임에도 나에겐 너무 어렵죠. 그리고 좌절해요. 아 난 내가 배웠던 건데
이렇게 쉬운 걸 왜 못 푸나.
그건 멘티님이 잘못된 학습방법을 통해 공부했기 때문 이예요.
그럼, 공부방법을 살짝 바꿔서 이렇게 수1을 공부해본다고 가정해봅시다.
같은 기간 공부했는데
이 방법으로는 수1 을 전체 1회독 밖에 못했는데
파란색 방법으로는 수1 끝날 무렵 전체 3회독을 하고 있겠네요!
같은 수1 문제집을 동일한 시간에 풀었을 뿐인데, 누구는 1회독, 누구는 3회독 했어요.
그렇다면, 어떤 사람이 더 수학을 잘 할 수 있게 될까요.
당연히, 3회독 하면서 풀었던 사람이겠죠. 하지만, 빨간색 방법으로 공부한 사람과 동일한 시간이 걸렸거나
어쩌면 더 빨리 풀었을 수도 있어요. 기초>기초>기초를 연달아 풀 때 시간을 많이 세이브 해뒀을 수도 있죠.
<대박둥이들이 하는 파랑이문풀 학습>
즉, 동일한 시간 동안 파란색 방법으로 공부하는 것이, 빨간색 방법보다 최소 3회독 이상을 더 할 수 있습니다.
비교해볼까요?
같은 책을 공부해도 파란수험생은 3회독을, 빨간 수험생은 1회독을 했겠죠.
아마, 대다수 학생들이 빨간수험생 처럼 공부했을겁니다. 공부방법만 살짝 파랑이로 바꾼다면
같은 시간 대비 실력이 비약적으로 발전할 수 밖에 없는 건 자명한 사실인거죠.
이렇게 파랑이처럼 공부하는 와중에 아까 sol1에서 얘기한 개념서를 같이 읽어갑니다.
문제를 풀면서 개념서를 읽는 것을 부담갖지 마세요.
이미 한 번 빠르게! 싹! 정리했었기 때문에 읽기복습을 하는 데 시간이 오래 걸리지 않습니다.
*의대 간 제 제자들 중에 한 학생은 수1+수2+선택과목까지 개념서를 완독 하는 데 30분이 채 걸리지 않았습니다.
"여기에 이거 이거 이거 있지 오케이 > 이거 이거 있어. 음 오케이 >다음엔 이거이거"
그 학생들은 외울만큼 봤지만, 그럼에도 잊어버리지 않기 위한 차원에서 30분 안에 수능 전 범위를 복습했습니다.
그 개념서에 본인이 감명받았던 발상적풀이+문제풀이 아이디어+ 참고할만한 모든 내용을
단권화 시켰기 때문에 나중엔 금강불괴급이 되어서 어떤 애는 제가 금강불괴라고 놀리기도 했습니다. ㅋㅋ
그렇게 전범위 개념+ 문제푸는 아이디어까지 싹다 머릿속에 넣고 생생한 채로 수능 장에 들어갔습니다.
개념 끝! > 문풀 시작! > 빨강이 문풀 학습! 이 과정이야 말로 머릿속에 수학 내용을 지우면서
정리 안된 채로 뒤죽박죽 쌓아두고 그때 그때 요령에 맞게 쓰는 학습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제가 제안 드린 위와 같은 공부방법으로 방법을 바꿔보세요.
질문자님은 현재 본인이 수강하고 있고 공부하고 있는 수학으로
뉴런 수2 와 수학의 단권화를 적어주셨어요.
저의 조언에 맞춰서 아래 참고용 플랜을 짰고 멘토링 복습용 pdf를 같이 첨부해 올려요.
(이 칼럼은 1:1 멘토링인 동시에 General-mentoring 이기 때문에
칼럼을 읽고 있는 학생들은 본인이 수강하고 있는 문제풀이 강좌와 본인의 개념서를 떠올려주면 되겠어요!)
칼럼 한 번 읽고 버리지 말고, 프린트 해두었다가 생각날 때 마다 한번씩, 계획을 짤 때 참고하면 좋겠어요.
꿈꾸는 자에게 길이 될,
김지석
■ 추천 플랜 멘토링 A/s 서비스! pdf 참고하기
김지석에게 멘토링 부탁하기
▲ 위 배너를 클릭하거나
▼ 아래 주소를 클릭하거나
https://forms.gle/4nnrqZ2jUG4kR7Bk8
김지석의 아이들 ♥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좋아요 0 답글 달기 신고
-
좋아요 0 답글 달기 신고
-
좋아요 0 답글 달기 신고
-
좋아요 1 답글 달기 신고
-
광운대 뻔선 문화는 있나요?? 수강신청 막막하네요
-
맞팔구 2
999999해요
-
대치키즈긴 한데 안가본 식당이 많음 ㅠ 주말 점심에 밖에서 때울거라 혼밥 하기 쉬운곳 선호함
-
600즈음이었나
-
오늘 보름달은 보셨나요!!
-
질문받습니다 6
암거나
-
기하 평면벡터 3
원래 이렇게 어렵나요 이차곡선은 그래도 재밌게 했는데 어렵네요 ㅠ.ㅠ
-
코딱지팠는데 8
딱딱한고체가아니라풀처럼끈적한거여서안떨어짐
-
얼버잠 3
잘자요 저는 새나라의 어린이라서 먼저 갑니다
-
옛날게임 이름 듣자마자 11
어릴때의 추억들이 새록새록 떠오름 그땐 스마트폰도 없어서 엄마 잘때 엄마폰으로...
-
이쁜이
-
좋아하지않지않지않지않지않지않지않지않지않지않지않지않지않지않지않지않지않지않지않지않지않지않...
-
성격부터 고치자 4
패배의식으로 가득한 성격부터.
-
은 못하겠더라 2인분 이상 먹어야해서 그래서 일식집 미친듯이 좋아했음
-
8시에 기상해야함
-
님들은 김하늘 양 관련 장원영 논란에 대해 어케 생각하심 7
솔직히 장원영한테 왜 안 오냐고 뭐라 하는 건 이해 안 가긴 하는데 제가...
-
고대 3
건사환 어떰 반수해야함?
-
수면패턴은 한시간반 단위라 30분 이따 네시간반 자는게 맞음 폰을 더하고싶어서 그러는건 아니고
-
안녕히 주무세요 8
-
재종 솔플하기 6
기대된다 흐흐 사실 난 혼밥하는것도 좋아함
-
한양대 근처에 구경할 거 많은 곳으로 추천해줘여 이쁜 대학 산책도 좋아하고 그냥...
-
김지우가 누구임 6
333으로고자전은뭐임
-
남이사 11
고자전을 가든지말든지 뭘 떨어지라느니 ㅋㅋ
-
자기전에 유튜브로 우진쌤 썰푸시는거 보다가 잘려고 딱 누웠는데 계속 우진쌤 생각...
-
미점공자 빼고 최소 19명 빠졌네
-
소신발언 2
잠
-
추억의 게임 말하고 가 16
쥬니어네이버 동물농장에서 경매사기치기 좀비고 진격의 좀비 뱃지따기, 여부이랑...
-
시간별로 편차둬서 먹는다는데 그럼 대충 몇분정도 줌??
-
중학교때 짝꿍으로 걸린 여자애들은 항상 책상 떼서 거리 유지하라 했었는데 어느날...
-
제발 정신차려 제발 제발 제발!!!!!
-
엔수생 좀 있는 분위기 학과긴함ㅇㅇ
-
근데 건물과 건물사이틈에서 담배피는 사람들 좀 무서움 5
거기 들어가서 담배피는 사람들 보면 뭔가 무서움 쳐다보면 막 화낼거같음
-
최악의 고백법 13
1. 스스로의 감정에 북받아쳐서 울면서 고백하기 2. 말로 안하고 편지로 써서...
-
고백데이 0
9월 17일 잊을수없는 날이다
-
대학커뮤니티 노크에서 선발한 성균관대 선배가 오르비에 있는 예비 성균관대학생,...
-
옯생 2번째 글이 ㅋㅋ
-
설마 이 인간이 또 "똥" 같은 답변을 하실거라 상상했나요? 그런 편협한 생각은...
-
군대 짬밥에 '스테이크' 나왔다…"재입대 가능할 듯" 3
마블링이 선명한 소고기가 군 장병 식단에 등장해 부러움을 자아내고 있다. 지난달...
-
인스타 팔로우 거는거 플러팅이죠?
-
옷도 맨날 파인거입고다니고 스터리에 클럽만 올라오고 눈화장 존나찐ㄴ하게하고 애굣살레...
-
내가너무비참해 4
난 너무 한심한 사람이야
-
야스의 기분 1
잠 12시간자기
-
난 딱복보단 7
북딱 우흥❤️
-
저야 정신과 가니 군인들 자주 봤지만 생각해보니 보통은 없을거같기도해서요
-
그냥 받아들이고 넘어가야 되는데 계속 아니 이게 왜 이런데? 이러니까 진도가 잘 안나가네요..
-
딱복숭아는 좀....
-
공부잘하는놈들이 잘생긴걸로 기만하는 메타는 좀 그렇잖아
-
물복이고 딱복이고 신경쓰기전에 한입먹고 몇초 뒤에 입주변 벌게지고 목안쪽 귀안쪽...
-
재밌을듯 밤마다 그의 개그가 생각남 근데 본인 인생 잘 산다는 가정하 헛소리만 하는 사람이면 ㄴㄴ
-
이번에도 못 받겠지 받아 본적도 없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