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전략, 단타? 장타?
게시글 주소: https://image.orbi.kr/0004446717
안녕하세요 오르비 수학 조관 쌤입니다.
오늘은 공부 전략에 대한 개인적인 생각을 적어볼까 합니다.
수학을 포함하여 모든 과목의 공부하는 방식은 학생들마다 다양합니다.
하지만 크게 두 가지로 구분되는 것 같습니다.
주식 시장에도 가치투자라고 하는 장타공략법과 단타공략법이 있듯이...
장기적인 계획을 가지고 모든 과목을 하루에 조금씩 조금씩 해나가는 스타일과
초단기 계획을 가지고 몇일 내로 한과목을 마스터 하고
다른 과목을 또 초 단기간에 끝내는 스타일.
어떤 스타일을 추구하는 학생들이 공부를 잘하는지 정확한 데이터는 없습니다.
왜나하면 전문적으로 사례를 모아서 연구해본 적이 없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연구를 해본들 그렇게 유의미한 결과는 나오지 않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왜냐하면 공부를 잘하는 학생들은 두 전략을 적절히 혼용하고 있을 것이라는
확신이 들기 때문입니다.
저는 단타 전략과 장타 전략의 비율을 3:7 정도로 유지하며 공부를 했던 것 같습니다 .
전체적인 흐름을 파악하고 연계성을 띠는 과목의 경우에는 단타전략을 사용했고
큰 연계성이 없이 꾸준히 해야 하는 과목은 장타 전략을 추구했던 것 같습니다.
구체적으로 말씀드리자면 예를 들어 국사 과목의 경우 삼국시대, 고려시대, 조선시대로
이어지는 일련의 흐름이 있습니다. 저는 고3 때 이틀이라는 아주 짧은 시간동안 다른 공부는
거의 하지 않고 국사 교과서만 처음부터 끝가지 집중해서 한번 읽었고 4-5일 정도의 시간 안에
문제집 1권을 풀고 틀린 문제는 해설을 읽고 이해하는 과정까지 마무리 하였습니다.
이렇게 약 일주일 안에 국사 전체를 훑어보니 이제야 전체 흐름이 머리 속에 들어왔고
추가적으로 배우는 지식도 전체 흐름 속에서 어디에 들어가는지 감이 오더군요.
국어의 경우에는 단타 전략과 장타 전략을 혼용으로 사용한 것 같습니다.
제가 수험생일 때는 국어가 아닌 언어영역이었고 120점 만점이었습니다.
고1 올라가서 처음 본 언어영역 모의고사 점수가 48점이었습니다. 아주 충격적이었죠.
처음이라 그러겠지 했는데 고1 내내 70점을 넘어본 적이 없었던 것 같습니다.
고2 올라가서 ‘도저히 이래서는 답이 없겠다’ 생각하고 시도해본 방식이
매일 모의고사 1회를 푸는 것이었습니다.
한 달이라는 기간동안 정말 하루도 안빠지고 언어 모의고사 1회를 풀고 틀린 문제는
해설을 보고 답안의 논리는 받아들이는 과정을 반복했스니다.
그랬더니 100점 수준까지 오르더군요.
이렇게 단타전략에 어느정도 성공을 거둔 후 부터는 하루에 10문항 정도만 풀면서
감만 유지하는 장타전략을 썼습니다. 그런데 계속 100점 또는 105점에서 놀고
그 이상 점수가 안올라가는 것이었습니다. 그놈의 고전이 문제였죠.
그래서 또 한 달이라는 기간을 잡고 수능에 나올만한 고전을 십여편을 선정하여
이해하기 쉬운 말들도 바꾸어 적는 작업을 했습니다. 그랬더니 110점 이상의 점수가 나오더군요.
그 다음부터는 수능 때까지 하루에 10문항 정도만 풀면서 감만 유지했던 것 같습니다.
영어의 경우는 처음부터 끝까지 장타전략이었던 것 같습니다.
하루에 조금씩 단어외우고 하루에 4개에서 8개 정도의 지문 독해하고,
독해하는 과정에서 모르는 단어 또 외우고 하는 형식으로 하루에
1-2시간 정도만 공부했던 것 같습니다.
영어도 그렇고 수학도 그렇고 단순히 그 과목만 열심히 한다고 최고득점을
획득하는 건 아닌 것 같습니다. 언어능력이 딸리면 영어 독해를 완벽하게 해도 틀린 답을
찍는 것 같고, 수학을 아무리 열심히 해도 고난이도 문제는 일단 문제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언어능력이 어느 정도 뒷받침 되어야 할것 같아요.
그러므로 고1, 고2 학생들은 조금이나마 여유있을 때 책을 많이 읽어 두세요^^
마지막으로 제가 수험생일 때 사용했던 수학 공부법을 돌이켜 보면 수학 공부를 할 때도
단타전략과 장타전략을 잘 혼용했던 것 같습니다. 전 고 1때 복소수 단원을 공부할 때
수포자가 되었습니다. 고2 때까지도 수학은 60점대에서 머문 것 같습니다.
고3때 비로소 정신 차리고 고1 수학, 수학1, 미통기를 한 달씩 약 석달에 걸쳐 교과서를
마스터했습니다. 교과서를 끝낸 후에는 정석을 봤던 것 같구요. 수학을 공부할 때는 몇일
내로 어떤 책을 끝낸다 라는 전략으로 공부를 했던 것 같습니다. 그리고 수능을 4-5개월
남겨둔 시점부터는 이틀에 한회씩 모의고사를 돌린 것 같구요.
곧 수학은 단타와 장타 비율은 8:2로 가져갔던 것 같아요. 여러분도 수학 실력이 늘지 않는다면
비교적 얇은 책 한권을 선정하여 초 단기간에 끝내보는 전략으로 공부해보세요.
책 한권씩 마스터 해가는 재미가 쏠쏠하답니다.
제가 업로드를 완료했거나 업로드 하고있는 인강도
장타 전략보다는 단타 전략으로 끝내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제가 공부법에 대한 글을 쓰면서 항상 마지막에 하는 말이 있습니다.
위에 장문으로 제 공부법을 소개했지만 이는 엄연히 저만의 공부법입니다.
본인만의 성공적인 공부법을 만들어 가시기 바랍니다.
그래서 수능 이후에 성공 공부법 수기를 여러분도 후배에게 공유해주세요
내가 꿈을 꾸면 난 다시 누군가의 꿈이 된다.
화이팅!!!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지금 만두까지 찌고있음
-
하 술마시기 개싫은데
-
악귀가 하나 붙은듯 13
동일인물같은데 아마 많고 많은 사람중 왜 나냐
-
넷플ㅊㅊ점여 0
애니영화/색감좋은거/스파이 추리같이 도파민터지는거 좋아함 액션은 도파민ㅂㄹ안터짐
-
제 동생 이야기입니다...(문과 확통+쌍윤) 고2 11모에서 3등급(5X점)...
-
과외 준비 완료 0
힘들다 힘들어
-
정보) 현재 난리 난 N PAY 대란 요약 . jpg 0
https://sbz.kr/zdk1D
-
이 버전이 젤 좋음
-
ㅅㅅㄷㅁㅈㄹㄱ 3
세시되면자러감이라는 뜻
-
다음에 ㅈㅅㅇㅂ님 ㅇㅈ하면 꼭 저장해놓을게요
-
오르비 잘있어요 3
-
6일 뒤에 닉변 0
앗싸
-
특히 올해 들어오면서 꾸준히 최소 어디 한 군데는 아팠음 이제야 좀 사람 구실하면서...
-
과외수업 준비가 참 쉽지 않다
-
닉 뜻 12
심심한 , 말그대로 셤 끝나고 심심해서 '심심' 이런거 하려다가 안 되길래 심심한...
-
인생망했네
-
아직까진 이 단계임 사실 개발일지가 아니고 챗지피티와의 대화일지임 selenium을...
-
갓 성인되고 바로 군대들어가는게 힘든 선택이긴 하지만 수능 최대 두번까지 더보면서...
-
2월이닷
-
비키니사진 ㅇㅈ하면 댐...
-
켄시도 가고 아이묭도 가고 오아시스도 가고
-
씨유에서 아이디 부르면 구매된다길레 부르니까 알바가 경찰에 신고한다고 당장 나가라고...
-
근본 프사가 최고야 16
근데 뱃지는 좀 뺄까 어그로 끌리는 거 좋아하긴 하는데 팔로워 수가 너무 많아졌으;
-
저거 다 마시면 밤샐듯...ㅈ됐네
-
프사 바꿀까 1
근데 뭔가 이 프사 독점해서 좋음
-
광운,경북 조발 0
광운 경북 조발한적 있나요?
-
하나 더 잇엇는데, 글 쓰는 양이 나만큼 많이 쓰진 않앗는데 먼가 주기적으로...
-
군대 좃댓네 7
올해 봄에 가고싶었는데 오늘이 추가모집이었구나 한여름 육군훈련소 ㅈㄴ재밌겠다 시~발
-
2기빨리나와라제발
-
한 30개 정도 쌓여있는데 죄다 누군지를 모르겠음
-
암표는 너무 비싸네..
-
알 수 있으면 좋겠다 막 차단수 올라가면 사리고..
-
으흐흐
-
나만 씹덕이지.
-
싸움하는사람은즉싸움하지아니하던사람이고또A싸움하는사람은싸움하지아니하는사람이었기도하니까싸...
-
너무 많은데
-
뉴비입니다 1
Yes
-
사면해드립니다
-
1학년 1학기 하고 갈까 하는데 그런거 되나 대학 아무거또 모름
-
점점 몸매도 보게 됨
-
수능 1등급 목표이고 현지 세지, 한지 할 것 같은데, 주변에서 사문을 많이하고...
-
왜 하는 거임 여자처럼 보일 리가 없자늠 누가봐도 남잔데 여자처럼 보일려고 하는 그...
-
똥과 관련된 단어는 너무 흔해서 자체 필터링
-
배고파 0
밥줘
-
차단하는 사람들이 많을거같다.. 피자먹고싶은데..
-
와좃댓다진짜 11
새벽에 오르비에서 저 상담해주셨던 모든 분들께 감사인사를 드립니다 모두 안녕...
-
저만 이거 맛있음뇨? 13
자라는 말은 노노. 양치중
좋은글 감사합니다.
마지막말이 와닿는군요.. 잘읽엇습니다
단타 전략에 되게 회의적이었는데... 다시 생각해보겠군요.
OPS형 타자가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