굳라미 [470366] · MS 2013 · 쪽지

2014-01-28 02:00:28
조회수 9,291

하..고뽕에취한다

게시글 주소: https://image.orbi.kr/0004278393


내가 이제 들어갈대학이 내가 입사를 꿈꾸던 회사의 제의를 거절한것이지만 정말 멋있다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콜라머거 · 445206 · 14/01/28 02:01 · MS 2013

    민족고대! 누가뭐래도 이제 최고의 대학임ㅠㅠ

  • 고대사회예비2번 · 459168 · 14/01/28 02:02 · MS 2013

    으ㅠㅠ 붙여만준다면 고뽕에취하고싶다

  • 굳라미 · 470366 · 14/01/28 02:03 · MS 2013

    붙으실거에요 걱정 뚝

  • Revengee · 314134 · 14/01/28 02:03 · MS 2009

    사회적인 목소리를 내는덴 주저하지 않는듯해요

  • 아자르오스카 · 487233 · 14/01/28 02:05 · MS 2017

    오 진짜 멋있다...

  • dfajiaweofjowifn2 · 491519 · 14/01/28 02:05 · MS 2014

    연세대랑 같이 준비하는 것 같던데.. 아무튼 의견을 당당하게 표명하는게 멋있네요.

  • 핸접 · 483485 · 14/01/28 02:06

    아직고대생은아니지만... 크

  • PO경찰대WER · 451254 · 14/01/28 02:06 · MS 2013

    멋있다 ♥♥

  • 오르비지박렴 · 333415 · 14/01/28 02:09 · MS 2010

    kia~ 주모 여기 고뽕 한사발 주쇼

  • 95 현역 9203 · 476468 · 14/01/28 02:09 · MS 2013

    캬...

  • ijooooo · 425963 · 14/01/28 02:24

    성대가 기어오르니까 빡쳤네 적절한 응대인듯

  • 케넨푸딩 · 431258 · 14/01/28 02:29 · MS 2012

    이게 대체 무슨 성대와의 관련인지;; 총학은 이번 상황을 통해 대학위에 군림하려는 기업에 대한 반대의견표시와 더불어 기업이 스스로 뽑아야 할 인재에 대한 심사를 대학이라는 학문의 전당에 자신의 이익을 위해서 전가한 것에 대한 분노를 표출하고 있는 것입니다. 성대는관련이 없지요. 이건 대학가라면 분노해야할 문제입니다.

  • 굳라미 · 470366 · 14/01/28 02:32 · MS 2013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우습다 · 487265 · 14/01/28 07:27

    걍 취하고만 있지.. 왜 또 성대를 건드리시남

    잘 읽어보니 이런구절이 나오는군요
    '.. 학생의 됨됨이가 아닌 학교의 이름으로 평가받고 줄 세워지는 총장추천제....'

    제가 본 오르비의 고대생들은 학교의 이름으로 평가받고 줄세워지기를 바라는, 됨됨이는 저밑바닥인 학생들이 더 눈에 띄더군요

    부디 총학생회의 뜻에 부합되는 멋진 고대인이 되시기를...

  • 오르비수박령 · 427516 · 14/01/28 09:12 · MS 2012

    ?? 이건 고대생의 됨됨이를 논할 문제가 아닌것 같은데요?

  • 우습다 · 487265 · 14/01/28 09:54

    ijooooo님의 글에 댓글 단 것임

  • 오르비수박령 · 427516 · 14/01/28 10:48 · MS 2012

    아 글쿤요 ㅋㅋ ㅈㅅ

  • SEDS · 340126 · 14/01/28 09:16 · MS 2010

    이런 댓글의 좋아요 개수로 미루어 봤을 때 몇몇 고대생들의 본심을 알 수 있을 것 같네요 솔직히 이번 건으로 성대 분들보다는 경북 부산 분들이 더 좋아하신 듯요

  • 2013인생성공자 · 362504 · 14/01/28 16:28 · MS 2010

    님도 악성 성훌이면서 ㅋㅋㅋ

  • 간다간다슝 · 487201 · 14/01/28 10:30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dfajiaweofjowifn2 · 491519 · 14/01/28 14:06 · MS 2014

    고대 다음에 연대가 발표하기로 다 되어있었어요. 몇몇 대학교 총학들끼리 의견이 맞았고 서울대 커뮤니티에서도 이번 추천제에 대한 반대가 엄청 심했구요. 연대 서울대도 배정인원이 적어서 존심 부리는건가요? 대학의 본질에 대한거지 무슨 고훌이니 어느학교에 졌니 이 말이 나오는건 너무 고등학생 마인드같네요. 이번 일은 삼성 내부에서도 반대가 심했다는 말도 많던데요.

  • 간다간다슝 · 487201 · 14/01/28 14:27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황금뿌리 · 434266 · 14/01/28 02:42 · MS 2012

    아무래도 삼성의 인사담당 임원분 잘못 판단하신듯;;; 후폭풍 감당하셔야할듯.....

  • 위소보 · 480788 · 14/01/28 23:36 · MS 2013

    삼성이 오만해진듯

  • SKY KARTELL · 469582 · 14/01/28 04:45 · MS 2013

    뭔가 모를 우직함... 좋다^^

  • 덩키유혼 · 481277 · 14/01/28 06:17 · MS 2013

    일련의 사태와 관련, 고대에서 역시 제일 먼저 모범을 보이네요...글의 내용이 아주 준엄하고 지성미가 넘쳐 흐릅니다...저는 동문은 아니지만 제가 보아온 고대의 모습중에 가장 멋있고 존경스러운 것중의 하나였습니다..역시 올곧은 고대... 개껌의 유혹따위를 쳐다보지도 않는 호랑이의 기상과 슬기가 느껴지네요...항상 불의 타파에 선봉에 서니, 고뽕에 취하지 않을 수가 없습니다...살아 있네~ 민족 고대 홧팅~ 아 시발 글보고 눈물나네..단돈 얼마라도 올해안에 꼭 고대 학교발전기금 기부하겠습니다....

  • 괜챦아괜챦아 · 458807 · 14/01/28 06:26 · MS 2017

    고대는 우직함이 무기.. 고뽕에 많이 취하고 현실에 타협말고 오직 한길로 sky.. 고대 화팅

  • 고경스나 · 479182 · 14/01/28 08:06 · MS 2013

    캬....민족고대

  • 칼르빙 · 424450 · 14/01/28 09:05 · MS 2017

    저렇게 거부한다고 하면 실제로 거부가 가능한건가요?

    삼성이 대학에 추천권을 준건데 저렇게 대학의 일부인 총학에서 반대할 경우 그 추천권은 어떻게 되는건가요?? 총장이랑 학교측에서 가만있지 않을 것 같은데 말이죠..

    그냥 진짜 거부의 목적이라기 보단 보이콧이벤트의 느낌도 나네요

  • SEDS · 340126 · 14/01/28 09:08 · MS 2010

    추천제가 아니더라도 삼성에 입사 할 수 있는 방법이 있고 추천제를 통해서 학교 간판만 본다는게 어불성설 추천제를 통해서도 여러 시스템을 통해 개인 능력 평가 가능함. 삼성은 기본적으로 사기업임 물론 대한민국 gdp의 상당량을 차지하는 거대기업으로서 사회책 공적 책임 또한 분명히 있음 하지만 인대 채용에 있어서의 문제는 전적으로 삼성의 재량권에 해당한다고 보여짐. 기존의 ssat는 20만명이 응시 할정도로 사회적으로나 삼성 입장에서도 상당한 손해였음.

  • SEDS · 340126 · 14/01/28 09:12 · MS 2010

    삼성은 특히 학벌을 가장 안 보는 곳으로 정평이난 기업임. 기업의 재량권에 속하는 인재 채용에 관한 문제에서까지 불필요한 지역 갈등 문제 여성 이공계 문제 등의 정치 논리가 나오는 것은 굉장히 우려스럽게 받아들여야 됨. 그 만큼 사회가 기업하기 좋은 풍토가 아니라는 증거. 물론 대학 서열화 논란은 피해 갈 수 없으나 그 이전부터 서열은 있었음 새삼스럽게 서열화를 말하는 것은 논의의 실익이없음

  • SEDS · 340126 · 14/01/28 09:19 · MS 2010

    대학은 사실상 취업 기관화 되어가고 있음 현실을 외면하고 학문의 전당 이라는 이름으로 포장하다가는 경쟁에 뒤쳐 질 수 밖에 없음 적극적으로 현실을 바라보고 학생들이 진정으로 원하는 것들을 제공해주는 학교가 명문대라고 생각.

  • 연세대를꼭 · 394688 · 14/01/28 09:25

    우리나라최고의 명문대는 성경아닌가요?

  • 우습다 · 487265 · 14/01/28 09:57

    쯔쯔 here we go again.

  • 위소보 · 480788 · 14/01/28 23:53 · MS 2013

    인류 역사상 가장 많이 읽은 책이 성경

  • Diget · 438871 · 14/01/28 10:03 · MS 2012

    삼성이 사기업인 것은 맞지만 재벌이라는 우리나라의 특수한 상황을 고려한다면 이게 과연 사기업의 재량권으로 퉁 칠 문제인가 염려됨.
    님 논리대로라면 취업기관일수록 좋은 대학이고 명문대임.
    난 그런 마인드 때문에 가진 삼성과 대학들이 오히려 글로벌 경쟁에서 떨어지고 있다고 생각함. 적극적으로 현실을 바라보는 것이 아니라 기업 자본에 따라 움직여 주는 것일 뿐.
    창의인재 창의인재 거리지만 이딴 식의 자본주의 논리로는 절대 창의 인재는 나올 수 없다고 생각함. 기업의 자본논리에서 대학의 독립성을 보장하지 못하기 때문임.
    그리고 이미 대학 서열화는 이미 정해져 있으니 새삼 왜 논하느냐에 대해서는 어처구니가 없음.
    대학 서열화라는 것은 어쨋든 우리 사회가 해결해야 할 하나의 문제임. 나는 실제로도 이런 대학서열화, 취업기관화가 우리나라 청년, 청소년 문제의 많은 부분의 원인이 된다고 봄.
    그런데 그런 서열화에 대해 말하는 것을 논의의 실익이 없다는 것은 문제 해결의 의지조차 보이지 않는 것으로 보임.
    결국은 불리한 점에서는 실익이 없다며 도망치는 꼴로 보임.
    문제를 해결하는 첫걸음은 문제를 인식하는 것임.

  • SEDS · 340126 · 14/01/28 10:11 · MS 2010

    대학의 서열화가 문제라는 것에 동의하지 않음 대학 경쟁의 발판으로서 대학 경쟁력을 촉진시키는 발판. 서열화를 해결 할 방안이 존재하지 않기에 논의의 실익이 없다는 것임 서열화를 없앤다면 수능도 공부도 입시 교육제도도 무의미해짐 민주당이 서울대 폐지론 들고나왔다가 욕 얻어먹은 것과 비슷
    우리나라 대학과 삼성의 글로벌 경쟁력이 떨어지고 있다고 한 것은 팩트의 오류 삼성은 말 할 것도 없고 우리 나라 대학의 세계 경쟁력은 세계 대학 평가 등으로 미루어 볼 때 지속적으로 상승 중. 기업의 인재 채용 문제는 가장 최소한의 재량권임. 그것을 국가나 사회에서 개입하는 것은 최소로 해야하는 것. 더군다나 호남차별 여성 차별 이공계 우대등의 일각의 비판은 거의 근거가 없다는 것이 중론

  • SEDS · 340126 · 14/01/28 10:17 · MS 2010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난쌀쌀맞지 · 368502 · 14/01/28 10:17 · MS 2011

    고등학교 때까지는 세계1,2위권이었다가 대학졸업할 때만 되면 세계 듣보잡 수준으로 떨어지게 만드는 현 교육제도가 참 좋은가보구려ㅋㅋㅋ 뭐가 진짜 상향평준화고 하향평준화인지 생각해보쇼 무슨 자본논리가 잘못됬네 그런 얘기는 난 하고싶지않고..자본주의를 채택하면서도 우리보다 더 나은 나라들 많으니

  • Diget · 438871 · 14/01/28 10:25 · MS 2012

    대학 서열화와 같은 경쟁 논리로는 일정 수준 이상의 발전이 불가능다는 것이 내 개인적인 견해. 오늘날에 들어서는 더 이상 경쟁논리보다는 협력을 통한 진일보가 필요한 시점. 또한 대학 서열화로 인해 생긴 사회문제들은 무시해 버리기에는 너무 많이 늘어나버림.
    가장 큰 예가 바로 우리나라 학생들이 이토록 대학에 목을 메는 입시제도임. 대학 서열화가 없어지면 작금의 입시제도도 의미가 없어진다고 하는데 당연히 그래야함. 지금의 입시제도는 문제가 많기 때문임. 꿈과 같은 이야기 일 수도 있지만 외국과 같은 학문의 전당으로서의 대학의 성격을 되찾고 진심으로 학문의 길을 가고 싶은 사람들이 대학을 가고 아닌 사람들은 다른 길을 충분히 걸을 수 있도록 해주는게 옳은 입시제도라고 생각함.
    대학 서열화에는 재벌 등 복잡하고 강한 요인들이 끼어있기 때문에 한 번에 해결할 수는 없겠지만 그렇다고 해서 문제가 있는 것을 외면해 버리는 것은 옳지 못하다고 봄.

    그리고 내가 말한 글로벌 경쟁력이라는 건 창의력에 대한 이야기였음. 삼성이 굴지의 기업인 것은 나도 좋게 생각함. 그러나 삼성의 업무 시스템 등을 생각해보면 과연 창의적 인재들이 나올 수 있을까 의문이 듬. 우리나라 최상위권 인재들은 왜 삼성을 최후의 보험으로 생각할까에 대해서도 생각해봐야 할 듯.

    인재 채용 문제는 물론 기업의 재량권이지만 그 것이 대학의 독립성을 훼손한다면 그 것은 재량권이 아니라 월권이라 생각함. 재벌이 만연한 우리사회에서 그들이 월권이 안하고 있는 곳을 찾기도 힘들지만 위에서 말했듯이 그것이 문제임이 확실한 한 문제를 외면하려고 해서는 안됨.

  • Diget · 438871 · 14/01/28 10:27 · MS 2012

    그리고 내가 말한 자본 논리라는 것은 기업이 기업이 가진 자본을 바탕으로 대학 등 사회 전반적인 요소들을 잠식하려는 것을 뜻함.

    그런 자본 논리에 굴복하는 것이 과연 혁신인 것인가. 객관적이고 창의적인 인재를 키우기 위해 대학의 독립성이라는 것이 과연 허울인지 진정으로 필요한 것인지는 생각해보길 바람.

  • SEDS · 340126 · 14/01/28 10:37 · MS 2010

    그 입시제도가 지금의 한국을 만들어온 원동력이고 지금도 세계에서 지속적으로 선전하는 한국의 큰 자산. 오바마가 한국의 교육을 칭찬한 것이 괜한 립서비스는 아님. 해결이 불가능한 문제에 가타부타 논하는 것이 논의의 실익이 없는 것임. 거기에 대해 논하는 것을 문제 해결을 위한 첫 발자국 이라는 식으로 포장하는 것은 옳지 못함 글로벌 거대 대기업의 경영에 있어서 우선시 되는 것은 개인의 창의력 보다는 집단의 조직력임. 고대경영이 좋은 평가를 받는 큰 이유. 삼성이 최상위권 인재에게 최후의 보루인 것은 이공계에 해당하는 말. 이공계에게는 현대차와 같은 더 나은 연봉과 근속연수를 지닌 기업이 있기 때문이지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님
    대학의 독립성이라는 도덕적인 의미로 포장된 말 속에 어떤 본질적 의미가 담겨있는지 생각해 보기를 바람.

  • Diget · 438871 · 14/01/28 10:50 · MS 2012

    그 입시제도가 여태까지 한국을 먹여살렸을 지는 몰라도 앞으로 한국을 먹여살려 줄 수 있을지. 앞으로 얼마나 많은 학생들을 잡아 먹을지는 의문임.
    오바마가 한국 교육에 대해 칭찬한 것은 국내외에서 의문시하는 사람들이 더 많음. 한국 학생들은 '삶'을 살고 있지 않다는 말이 괜히 나오는 것이 아님.
    해결이 불가능하다고 생각하는 이유는 님의 논리처럼 문제를 직시하지도 않으려 하기 때문임. 그런 문제 인식이 없기 때문에 해결의 기미가 안보이는 것이라고 생각.

    그리고 집단의 조직력이라는 것도 여태까지는 삼성을 이끌어온 원동력 맞음. 하지만 앞으로는 창의성과 그것에서 비롯되는 유연성이 기업의 실적에 더 중요할 것이라고 생각됨. 예시로 삼성이 애플을 상대로 쩔쩔매는 이유는 단적으로 제품 때문임. 실제로 스티브 잡스가 죽기 전까지는 애플이 제품에서 더 많은 혁신을 이루었고 스마트폰 업계에서 단연 1위를 달림. 그런 애플의 원동력을 나는 조직력이라고 보지는 않음. 그런 혁신은 창의력에서 나온다고 생각함. 지금은 두 회사가 비슷한 시점이지만 시간이 지나면 나는 다시 애플이 우위에 설 것 같음. 삼성 시스템에서는 그와 같은 창의력을 뽑아내기 힘들기 때문임. 그리고 그것의 궁극적인 원인은 님이 말한 조직에서 나오는 권위주의 때문임. 쉽게 말해 '우리가 남이가' 식의 조직, 인사 구조가 실질적으로는 우리 기업을 더 악화시키고 있는 것임.

    그리고 내가 생각하는 대학의 독립성이라는 것은 어떠한 도덕적인 의미도 아님.
    대학을 다니는 대학생이 졸업한 후 사회를 객관적이고 독립적으로 바라볼 수 있도록 해주는 것. 그 것을 바탕으로 스스로 옳은 판단을 내리게 해줄 수 있는 것. 그것을 대학의 독립성이라고 생각함. 그걸 위해서는 당연히 어느 기업의 자본이 손을 뻗치는 일은 없어야 한다고 봄.

  • SEDS · 340126 · 14/01/28 11:06 · MS 2010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SEDS · 340126 · 14/01/28 10:40 · MS 2010

    창의적 인재도 자본 논리를 통해 생겨 나는 것임. 경쟁을 해야 창의성도 나오는 것. 자본 논리라는 것의 의미를 너무 부정적으로 해석하는 듯. 이 사회를 지탱하고 있는 기반적인 것임.

  • SEDS · 340126 · 14/01/28 10:42 · MS 2010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오르비수박령 · 427516 · 14/01/28 10:43 · MS 2012

    아무튼 삼성 총장 추천제 전면 백지화되었답니다. 글 내려주세요.

  • 위소보 · 480788 · 14/01/28 23:34 · MS 2013

    삼성직원인가?

  • Vermut · 370782 · 14/01/28 10:47 · MS 2011

  • 간다간다슝 · 487201 · 14/01/28 11:16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dkrlspr · 467400 · 14/01/28 11:47 · MS 2017

    역시 sky

  • 강대가기시러 · 450808 · 14/01/28 11:47

    삼성의 판단미스.....

  • 진인사대천명 [盡人事待天命] · 440069 · 14/01/28 12:10 · MS 2013

    항상 모든 대학의 총학생회는 이상론을 내세우지만 그게 정말 학생들의 뜻인지는 의문이 듭니다. 총학생회는 학생의 대표격인 만큼 행동에 신중해야합니다. 당장 이번에 고공 2학년되는 제친구도 총장추천제인지 뭔지 좋아하던데...

  • 경유직통 · 304404 · 14/01/28 12:25 · MS 2009

    고대가 추천수 1위었는데 저렇게 나왔으면 더 멋있었을 뻔했네요

  • ThrowItAway · 478124 · 14/01/28 12:27 · MS 2016

    학교장추천전형이랑 다를게 뭐야..

  • 퍼커션 · 378280 · 14/01/28 13:26 · MS 2011

    멋 있 다 !!!!!!!!!

    대학까지 장학하려고 하는 삼성공화국인 대한민국에 이렇게 옳은 목소리를 낼 수 있는 데는 고 려 대 학 교 총 학 생 회 뿐인 것 같다 ...
    진정한 민족 대학이며 진정한 지성인이다.


    다른 대학들은 삼성공화국의 노예가 되고 싶은가????


    .

  • Snu Roman. · 69422 · 14/01/28 14:41 · MS 2004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Snu Roman. · 69422 · 14/01/28 14:41 · MS 2004

    댓글들이 뭐지; 보통 '학교 입장'을 말한다면 학교 당국을 말하는 겁니다. 저건 총학생회의 입장이잖아요. 사측의 의견을 평가하는데 노조의 의견을 참고하면 어떡합니까..

    더군다나 저건 학생들 다수의 의견도 아닙니다. 총학의 프로파간다용 제스처일 뿐이지

  • ㊤㊦ · 348117 · 14/01/28 14:42 · MS 2017

    고대 내부에선 학생들과 얘기도 하지 않고 삼성에 상대적으로 쉽게 취업할 수 있는 기회를 학생회가 독단적으로 날려버렸다고 비판의 목소리도 크더군요. 다들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학생회의 입장과 학생의 입장은 다른 게 아닐까뇨?

  • 퍼커션 · 378280 · 14/01/28 15:02 · MS 2011

    이미 삼성에서 문제가 많아 백지화했답니다.

    ...학생회입장과 님같은 학생과는 입장 다를지도 모르죠.

    총장의 입장과 삼성의 입장이 다르듯이.

    그렇게 아무렇게나 막던지는 삼성이 권력의 횡포입니다.

    철회해야 마땅한 것이지요.

    그리고 대학이 취업기관은 아닙니다.

    고대총학생회는 너무나 상식적이고 옳은 일을 했습니다.

    잘못되었으면 잘못되었다고 말할 수 있는 용기.

    거부할 수 있는 용기

    아무나 할 수 있는 일은 아니지요.

    그것도 목숨줄인 취업일인데요.

    그래서 높이 평가합니다. 고대 학생회.... 멋있습니다.

    신성한 학문의 전당인 대학에 돈의 권력이 난무하면 그것이 기업이지 학교입니까?

    가뜩이나 정치도 경제도 삼성이 다 획득하고 대한민국이 삼성 공화국으로 점차 의료까지 독식하려고 꿈틀대고 있는데 이 마당에 대한민국의 전체 대학까지도 그 권력으로 좌지우지하려고 하는데 그것도 모르고 고맙습니다. 넙죽 받아드시려는 불쌍한 지성인은 없길 바랍니다.

    ..

    .

  • KMirage · 366376 · 14/01/28 16:35 · MS 2011

    한 학우가 고파스라는 학내 커뮤니티에서 삼성의 총장추천제에 대한 찬반 투표를 진행했는데 거기서 347명 투표참가에 37명 추천제 찬성/250 추천제 반대라는 결과가 있었습니다. 이정도면 총학이 학내 분위기를 잘 파악했다고 생각됩니다. 고파스내에서도 사실 논란이 되고 있는점은 찬반에 대한 논란 보단 총장 추천서 반대에 총대를 멤으로써 '혹시나 있을지도 모를' 삼성의 고대에 대한 불이익을 걱정하는 것이었습니다.

  • 엠보싱 · 454826 · 14/01/28 16:07 · MS 2013

    위의 논쟁 항상 있던거라 그런지 딱 읽기 싫다 답은 없고 쓸데없이 시간낭비하는 느낌

  • 아메데오 · 491232 · 14/01/28 18:30 · MS 2014

    와 역시 민족고대!

  • KDGS귀요미 · 470805 · 14/01/28 19:02

    내 일은 아니네 ㅇㅅㅇ

  • 괜챦아괜챦아 · 458807 · 14/01/28 22:10 · MS 2017

    궁금한 거 .. 답좀 해줘요~~

    1. 고대가 추천서를 제일 많이 할당 받아도 총학이 거부했을까?
    2. 고교서열화에 앞장선 고대가 대학서열화는 거부한다 ?
    3. 대학서열화의 대명사인 sky의 최대 수혜자인 고대 총학은 지금까지는 왜 가만있었지?

  • 한번해보자고 · 475594 · 14/01/29 00:52

    민족고대는 아닌데 민족고대총학임. 현대사를 보다보면 알듯

  • 2013인생성공자 · 362504 · 14/01/29 11:03 · MS 2010

    고대가왜 sky의 최대수혜자냐 말하는 싸가지하고는
    꼭이런새키가 답도 없더라

  • 이과인,, · 355279 · 14/01/29 11:58 · MS 2010

    1. 오히려 제일 많이 할당받았다면 당연히 거부했겠지요.
    제일 많이 할당받았는데도 거부한다면 고대 총학의
    입장에서는 본인들의 성명서가 훨씬 신뢰를 받고
    인정받았을테니까요.
    적어도 지금처럼 " 배정인원 1등못해서 배아프니깐"
    이런 취급은 안받았겠죠..

    님은 지금 고대가 모 대학보다 할당을 덜받아서
    고대 총학이 저러는게 아닌가 하고 의심을 하고
    계시는것 같은데.....
    고대 총학이 고대훌리건집단도 아니고
    몇명 할당 덜받았다고 자존심 상해서 저렇게 대놓고
    글썼겠습니까ㅋ

    2. 고대 총학생회가 고교서열화에 앞장선게 아닙니다.

    3. 고대 총학의 요지는
    " 대학 서열을 타파하고 전국의 모든 대학을 평준화
    시키자" 이게 아니라
    " 국내 최대기업의 사회적으로 옳지 못한 행동에
    대하여 우리는 거부한다" 이겁니다ㅋㅋ
    2번질문처럼 뭔가 혼동을 하신것같네요

    그리고 고대가 sky의 최대 수혜자라고 하시는데,
    고대가 예부터 쭉 성장해와서 sky라는 용어에 낀거지
    sky라는 말이 생긴뒤에 고대가 급성장한게 아닙니다.

  • Iniesta8 · 405215 · 14/01/29 19:15 · MS 2012

    글쓴이 싸줄러임?

  • 고영문하핳 · 429215 · 14/01/30 01:22 · MS 2018

    외쳐 민족고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