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학년도 6월 모의평가 윤리와 사상 11번 (에픽테토스, 스피노자) 분석 [이상 도덕·윤리 연구소]
2022학년도 6월 모의평가 윤리와 사상 11번 (에픽테토스, 스피노자).pdf
2022학년도 6월 모의평가 윤리와 사상 11번 (에픽테토스, 스피노자)
이상(理想) 도덕·윤리 연구소
소장 임재섭
갑 지문 읽기
‘이성적으로’라는 말은 ‘자연과 일치하는 방식으로 그리고 완전하게’라는 뜻이다.
이성의 개념을 자연과의 완전한 일치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스토아학파의 입장입니다.
인간은 인상(印象)을 이성적으로 사용할 능력을 가지고 있는 동물이다.
당신이 소유하고 있으면서도 당신에게 고유한 것은 무엇인가? 그것은 이성적 능력이다.
스토아학파에 따르면, 인간은 외부 사건 등으로 인해 생기는 인상을 이성으로써 처리하고 받아들일 수 있는 동물입니다. 인간은 외적으로 사건을 자기 뜻대로 바꿀 수는 없지만, 내적으로 의지의 자유를 발휘해서 사건으로부터 생겨나는 인상들을 자기 나름대로 ‘자연과 일치하는 방식으로 그리고 완전하게’ 받아들일 수 있습니다.
자연의 이법으로서의 거대한 이성은 온 세계가 공유하는 것이지만, 각 사람이 인상을 받아들이는 개별적 이성은 각자에게 고유한 것입니다. 그렇기에 자연의 이법을 파악하고 의지의 자유를 발휘해서 인상에 대한 자신의 판단을 자연에 일치시키는 것은 전적으로 자기 자신의 몫입니다. 그리고 그렇게 자연과 일치하는 삶을 살 때 부동심(apatheia)을 누리게 됩니다.
EBS가 제공하는 해설 등을 보면 갑을 에픽테토스로 밝히고 있고, 실제로 갑은 에픽테토스가 맞습니다. 지문이 에픽테토스 『담화록』의 일부니까요. 당연하게도 여러분께서 스토아학파의 구체적 사상가들을 알아내실 필요는 전혀 없고, 교육 과정상 알아낼 도리도 없습니다. 이 사상가가 스토아학파의 인물이라는 것만 알아내시면 됩니다. 저도 그 점을 따라 아래의 해설에서 에픽테토스 한정의 해설이 아닌 스토아학파 일반의 해설을 하도록 하겠습니다.
을 지문 읽기
삼각형의 본성으로부터 그것의 세 각의 합은 두 직각의 합과 동일하다는 사실이-영원에서 그리고 영원으로-필연적으로 따라 나온다.
삼각형 내각의 총합이 두 직각의 합(90°+90°=180°)과 같다는 기하학적 사실을 언급하고 있습니다. 기하학을 비롯한 수학의 사실들은 시공간의 제약과 전혀 무관하게, ‘영원에서 그리고 영원으로’ 참입니다. 달리 말하자면, 삼각형 내각의 총합이 180°라는 사실은 삼각형의 본성으로부터 필연적으로 참입니다.
이 필연과 동일한 필연으로, 신의 최고의 힘으로부터 무한하게 많은 양태(樣態)의 무한하게 많은 것들이 항상 따라 나올 것이다.
앞의 필연과 동일한 필연, 즉 기하학적 필연에 의해, 신의 무한한 힘으로부터 무한하게 많은 양태가 인과 연쇄를 따라 발생한다, 스피노자의 주장입니다.
여기서 오해하시면 곤란한 것이, ‘무한하게 많은 양태’라는 말이 ‘양태의 수’가 무한하다는 것이지 ‘양태’가 무한하다는 것이 아니라는 점입니다. 스피노자가 실체만이 무한하고 그 양태들은 모조리 유한하다고 주장한다는 것은 다들 잘 아실 것입니다. 스피노자에 따르면, 신은 자연 자체이며, 필연적으로 무한한 존재입니다. 모든 양태는 신 안에서 인과적으로 발생하고 소멸합니다. 그렇다면 신은 영원한 존재이므로, 신 안에서 양태가 생멸하는 일은 끊임없이 인과적으로 이어지며, 따라서 “무한하게 많은 양태의 무한하게 많은 것들이 항상 따라 나올 것”입니다.
이처럼 삼각형의 본성으로부터 내각의 총합이 필연적으로 결정되듯이, 신의 본성으로부터 “무한하게 많은 양태의 무한하게 많은 것들이 항상 따라 나올 것”이라는 결론이 필연적으로 결정됩니다. 『윤리학(Ethica)』에서 세계를 기하학적 질서로 파악하고자 한 스피노자의 성격이 여실히 드러나네요.
ㄱ. 갑: 행복은 신에 대한 직관적 인식에서 나오는 만족일 뿐이다. (×)
일단 이 선지가 스피노자의 입장이라는 점은 다들 아실 것입니다. 하지만 ‘스피노자의 입장이니까 스토아학파의 입장이 아님.’이라고 판단할 수는 없는 노릇입니다. 어째서 행복을 ‘신에 대한 직관적 인식에서 나오는 만족’으로 한정하는 것이 스토아학파의 입장으로 옳지 않은지 살펴봅시다.
스토아학파가 주장한 행복은 바로 부동심입니다. 여기서 부동심(apatheia)이란 정념(pathos)에 휘둘리지 않는(a-) 상태(-ia)를 말합니다. 이렇게 이해되는 부동심은 요동치는 정념의 ‘부재’로 규정되는, 다분히 소극적인 개념입니다. 적극적으로 특정 행위를 해서 얻어내어지는 것도 아니거니와, ‘만족’과 같은 적극적 정서도 아니고, 애초에 특정한 ‘정서’가 아닙니다. 부동심은 하나의 ‘상태’일 뿐입니다.
스피노자는 자기 보존의 욕망(conatus)을 해치는 수동적 감정, 즉 정념을 멀리하는 대신, 자기 보존의 욕망을 고양하는 능동적 감정을 중시했습니다. 스피노자에게 ‘신에 대한 직관적 인식에서 나오는 만족’이란 자기 보존의 욕망을 최고로 고양하는 최고의 능동적 감정으로 이해되고, 그것이 바로 행복이 되는 것이죠. 하지만 스토아학파는 부모에 대한 사랑과 같은 자연적 감정을 용인했을 뿐, 스피노자처럼 적극적으로 능동적 감정을 향유해야 한다고 주장하지는 않았습니다.
이처럼 ㄱ은 개념을 분석적으로 보나, 철학사의 흐름을 조명해 보나, 스토아학파의 입장으로는 옳지 못한 선지입니다. 이 내용을 아주 직접적으로 잘 묻는 문제로 2021학년도 9월 모의평가 16번이 있습니다. 제가 개인적으로 2020학년도 이후 평가원 윤리와 사상 최고의 역작으로 꼽는 문제입니다. 아래에 별첨해 두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ㄴ. 을: 자연은 인과적 필연 법칙에 따라 움직이는 기계이다. (○)
스피노자의 아주 기본적인 입장이라서 별다른 설명 없이 넘어가겠습니다.
ㄷ. 갑, 을: 인간은 자연의 한 부분으로서 자연에서 벗어날 수 없다. (○)
스토아학파의 입장에서는 인간을 비롯한 자연 만물이 자연의 거대한 이성에 지배받아 자연에서 결코 벗어날 수 없습니다. 스피노자의 입장에서는 인간도 다른 사물들과 마찬가지로 자연의 인과적 필연성에 지배받아 자연에서 결코 벗어날 수 없습니다.
ㄹ. 갑, 을: 인간은 자신의 노력으로 정념의 속박을 극복할 수 있다. (○)
스토아학파는 인간이 부와 명예, 사건 사고 등의 외적 조건을 바꿀 수는 없지만, 자신의 내면을 스스로 조절할 수는 있다고 보았습니다. 이 자유를 ‘의지의 자유(freedom of will)’라고 합니다. 정념에 속박되느냐 정념으로부터 자유로우냐는 내면의 문제이기 때문에, 인간이 스스로 의지의 자유를 발휘하여 자신의 노력으로 정념의 속박을 극복할 수 있습니다.
스피노자는 인간이 자연의 질서를 파악하여 자신의 정념(수동적 감정)이 불필요하게 발생하고 있음을 자각하고, 자기 보존 노력으로 능동적 감정을 고양하면서 수동적 감정의 속박을 벗어날 수 있다고 보았습니다. 혹시 스피노자가 자유 의지를 부정한 것을 떠올리면서 ‘인간이 자신의 노력으로 무엇을 이룬다는 게 가능한가?’라고 의문을 품으셨다면, 아래 인용문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스피노자는 의지를 노력과 철저히 분리해서 정의했습니다.
앞으로 더 나아가기에 앞서 여기에서 주의해야 할 것은, 내가 이해하는 의지는 노력(cupiditas)이 아니라 긍정하거나 부정하는 능력이라는 점이다. 나는 의지를 참인 것이나 그릇된 것을 긍정하거나 부정하는 능력으로 이해하며, 정신으로 하여금 사물을 추구하게 하거나 기피하게 하는 것으로 이해하지 않는다.
스피노자, 『에티카』, 제2부 정리 48 주석 (강영계 역) -
스피노자에 따르면, 인간의 노력은 (자유) 의지가 아니라 자기 보존의 욕망에 의해 가능합니다. 다시 말해, 스피노자의 자유 의지 부정은 인간의 노력 가능성에 대한 부정을 함축하지 않습니다.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별첨 문제
이상 도덕·윤리 연구소 소개
이상 도덕·윤리 연구소는 최근 수능에 대한 감각과 교과 지식이 충분한 대학생들로 구성되어 있다. 철학·윤리 전공자와 타과 전공자를 아우르고 있어 균형 잡힌 시각에서 모의고사를 제작한다. 수험생분들의 수능 대비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오류 없는 문제, 쉽지 않은 문제, 깔끔한 문제를 지향한다.
이상 도덕·윤리 연구소 연구원
- 임재섭 서울대학교 철학과
- 강승철 고려대학교 행정학과
- 김성민 서울대학교 인문계열
- 박세은 서울대학교 철학과
- 박정민 건국대학교 철학과
- 여지선 동국대학교 철학과
- 임재원 경희대학교 한의학과
- 조민준 서울대학교 철학과
이상 도덕·윤리 연구소 약력
2021년
- 2022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대비 Éthique Fatale 모의고사 (생활과 윤리, 윤리와 사상) 출간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ㅠㅠ..
-
옯스타? 0
이건 또 뭐임?
-
그아아아ㅏㅏㄱㄱ 2
수시발표 다날때까지 D-17 예상대로 실패인가 아니면 살아날수있을까,,
-
들어보신분 계신가요???
-
아 마크하고싶다 1
아 막하고싶다
-
지나가시는 분들 성대나 한양대 가능성 한 번만 봐주세요ㅠㅠ 과는 상관 없습니다..
-
늦지야 않겠지만 일찍 나오는일도 없나
-
목숨이 끊기느냐 수험생활을 끝낼 기회가 생기느냐
-
커뮤만 보면 다들 정직한 과목이라고 하니까 진짜 많이 풀기만하면 되는거아닌가...
-
⏰ 11.27 20:00 KST [?SOOP] t1esports:...
-
중앙대 미디어나 성대 인문 될까요? 서성한 낮과 비빌 수 있을까요…ㅜㅜ
-
노베이스 질문 0
노베이스인데 어디서부터 시작하는게 좋을까요??ㅜㅜ 전문대 다니다가 적응문제로...
-
공대 아니여도 상관없는데 정말.........서성한 가능할려나요....특히 한양대...
-
하ㅆㅃ.
-
이거지 ㅅㅂ 나도 처음에 개쫄았다
-
나 진짜 말하는 감자 그 자체인데도 지금까지 임용된게 신기한 1인^^;; ㅋㅋㅋ
-
이대 논술 문제 1
이화여대 약대 논술 문제중에 가장 어려웠던 문제인데.. 이정도면 이번 논술은 컷이...
-
면접 망함 2
와... 진짜 상상치 못한 질문이 나와서 ㅠㅜ
-
개인정보 등 댓글로 남기기 좀 그런 내용은 프로필에 있는 오픈채팅으로 보내 주시면...
-
대구지역 06년생 남자 올수 언매 95점 고1학평3에서 수능1찍음
-
이번수능 국어 독서1틀 문학 1틀 언매2틀 91점인데 0
반수할때 이원준쌤 커리 괜찮나요? 올해 강민철T듣긴했는데 반쯤 독학했어요
-
모든 유형을 다 마스터한다 한완기 사면 pt4까지...
-
수시러들은 미리 친해져있던데..부럽다
-
논술 하나 안전빵으로 넣은 데가 알고 보니 친구가 다니는 과였음 ㅋㅋㅋㅋㅋㅋㅋ 진짜...
-
와 대박 짱이네요.. 모르는게 나을정도로 애매하게 알고 있었는데 이렇게 이해할 수...
-
우리 수험생들을 위해 미적 92 확통 88 기하 92 언매84 화작97 영어96 해줬다
-
1번에 결론 안씀. 하..ㅋㅋㅋㅋ
-
손가락이 꽁꽁 얼어서 고드름처럼 부러질거같아…
-
사교육카르텔 추방하자 제발..
-
학바학인가요?
-
화1 46맞고 3떠서 충격받은 수시런데.. 화2 하는게 정말 좋은 선택일까요?...
-
늦었다 2
좀일찍나올걸ㅠㅜ
-
47 48 표점 합쳐지는 것까지는 생각도 못했는데 갑자기 쫄리게하네
-
지금 고려대 결과나오는거 학종인가요 아니면 교과인가요
-
합격ㅇㅈ 14
고연전 나와!!!
-
국수영 기준 6모 243, 9모 232 (찍맞 빼면 233)뜨다가 수능 때 443이...
-
취미 비슷한 친구 만들수 있냐
-
논술보러가면 인정이라길래 오늘 학교 결석했는데 보니까 간호는 어제임… 모르는 척 수험표 내볼까 하…
-
좀 전에 올아온 화학 문제는 진짜 왜 부피 저딴 식으로 그려놓음? 0
평가원도 저렇게 뭣같이 그려놓을 때 있음? 아님 내가 모르는 뭔가가 있는 거임? 진짜 모르겠음
-
지사의,지방치한 너무 빈 거 같지 않음?평소보다 적은 거 같은데 작년경쟁률 10분의...
-
흐흐
-
걍 죽고싶다 ㅅㅂ
-
비바람맞았다 4
어우추워
-
Team04 11
Individual 04가 아님을 보여주자거
-
오티에서 이번수능 19번까지 20분컷으류 막힘없이풀면 뉴분감 하라는데 14 15가...
-
도르래가.. 가장 어려운것 같아요ㅠㅠ 2문제가 안풀리는데 도와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성논 3합5 0
성논 에너지 학과 쓰신 분들 다들 얼마나 푸셨나요 ?? 3합5 맞춘 사람 많았을까요 ?? ㅜㅜ
-
생윤 31 0
3컷 기원,,,,,,!,진짜 제발 나한테 이러지마....
-
에어팟 ㅁㅊ 0
노캔되는 거 27만원이네 어떻게 된 게 갈 수록 가격이 더 오르냐
(을)의 입장이 수능특강에 거의 그대로 있었던 것으로 기억해요. 그 때는 몰랐었는데 깜짝 놀랐어요...
별첨 문제의 을도 에픽테토스입니다. 제 기억으로는 지문이 아마도 《엥케이리디온》의 일부인 것 같네요. (《엥케이리디온》은 《담화록》의 요약본 정도 되는 책입니다.)
스토아학파 사상가들 구분하는 건 정말 어려워요 ㅠㅠ 정말 웬만해서는 원문 읽은 기억에 의존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저도 빈번히 빗나갑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