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gJohn [463314] · MS 2013 · 쪽지

2013-09-30 21:18:10
조회수 16,074

문제 빨리 그리고 정확히 푸는 비법전략 Five

게시글 주소: https://image.orbi.kr/0003854312

(22.0K) [1641]

문제 빨리 그리고 정확히 푸는 비법전략 Five.hwp

문제 빨리 그리고 정확히 푸는 비법전략 Five


  :namespace prefix = o ns = "urn:schemas-microsoft-com:office:office" />


1. 주제 알아차리기 비법


요지파악 (보기, 첫문장, 마지막문장을 집중하라!)


순접 (첫문장의 내용을 그대로 진행하는 순접 연결사에 삼각형 하라!)


역접 (첫문장의 내용을 뒤집거나, 정말 하고 싶은 말인 "그러나" 역접연결사에 역삼각형하라!)


의도어 (부정어, 감정어, 의문형, 특수구문<도치, 강조>하라)


※※ 빈칸문제, 어휘, 주제(Topic), 제목(Title), 요지(Main Idea), 심정, 연결사, 요약 문제 등의 해결력 신장


 


 


요지파악 (보기, 첫문장, 마지막문장을 집중하라!)


 


● [비법전수] 문제를 읽고, 보기를 항상 빠르게 읽으세요. -> 어떤 소재로 어떤 내용을 다룰지 전반적인 정보를 주거든요.


● [비법전수] 첫문장 집중 : 글은 대부분이 첫 문장이 요지 문장이에요. 그래서 첫 문장을 비워두는 빈칸 문제, 관계없는 글 고르기, 첫 문장을 중심으로 알맞은 연결사 고르기, 순서 등이 문제로 나오는 거예요.


● [비법전수] 마지막문장 집중 : 보통 글이나 수능 문장에서는 마지막에 이것을 강조(emphasis) 혹은 재 언급(restatement)하는 특징이 있어요. 마지막 부분에 단락의 결론 부분으로 마무리 되는 경우가 많죠.


 


순접 (첫문장의 내용을 그대로 진행하는 순접 연결사에 삼각형을 하라!)


 


● [비법전수] 순접 표시하기 : 영어는 대부분 두괄식으로 처음 문장에 이어 순접 및 추가 설명 혹은 관련 예시 등 순접으로 내용이 전개가 되요. 정삼각형으로 표시하고, 처음 주제문에 담긴 내용 그대로 이어져요.


● 순접 연결사 :























순접 연결사


대표 종류


내용 추가 연결사


1. 게다가, 또한 [moreover, furthermore, in addition]


2. 다른 것은 [another thing is, in particular]


3. 유사하게, 마찬가지로 [similarly, likewise]


원인 & 결과 연결사


1. 때문에 [because of, on account of]


2. 결과적으로, 이런 이유로, 따라서 [in conclusion, therefore, thus]


3. 마침내 [after all, at last], 그 후, 뒤에[subsequently]


순서 연결사


1. 처음으로 [above all, first of all]


2. 동시에 [meanwhile, at the same time]


3. 두 번째, 그 다음으로 [then, next]


4. 마지막으로 [finally, eventually]


예시 연결사 :


1. 예를 들면 [for instance, such as]


2. 게다가, 마찬가지로 [In addition to, similarly]


요약 및 재 언급연결사 :


1. 요약하면, 즉 [to summarize, in other words]


 


역접 (첫문장의 내용을 뒤집는 역접연결사에 역삼각형을 하라!)


 


● [비법전수] 역접 표시하기 : 항상 중요한 말은 “그러나” 즉 역접 뒤에 있죠. 끝까지 들어봐야 아는 것이죠. 자신의 진정한 생각을 밝히는 부분인거에요. 역삼각형으로 표시해보세요. 글의 흐름을 바꿔 글쓴이가 하고 싶은 말을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역접 및 대조 연결사 : ※ 꼭꼭 외우세요.























역접 및 대조 연결사


대표 종류


종속접속사


비록 ~ 이지만 (although, though, even if, even though)


반면에 (whereas, while), 결국 (after all)


접속부사


그러나 (however, on the other hand,),


반면에, 반대로 (in(by) contrast, on the contrary),


대신에 (instead), 단지, 오직 (only)


등위접속사


그러나 (but, yet)


전치사


그럼에도 불구하고(despite, in spite of, for all, with all, for all that, all the same, in the face of, in the teeth of)


대신에 (instead of)


강조 연결사


사실은, 진짜는 (in fact, as a matter of fact, actually, indeed)


 


의도어 (특수구문, 부정어, 감정어, 의문문에 동그라미하라!)


 


● [비법전수] 특수구문 : 특수구문을 글쓴이가 왜 쓸까요? 그렇죠, 눈에 띄라고 쓰는 것이에요, 즉, 전달하고 싶은 주제가 여기에 있는 것이죠. 양보 도치 비교 구문은 수사 기술 중에서 자신의 생각을 드러내는 강조구문들입니다. 표시하세요.


● [비법전수] 부정어 : 부정어 역시 대상에 대한 자신의 negative한 생각을 밝힘으로서 작가의 가치판단을 드러내는 것이에요. 즉 역접, 부정어 뒤에 문제의 핵심이 나온다. 기억하세요.


● [비법전수] 부정접두어 : 부정 의미의 접두어 (un, de, mis, dis, etc), 문제나 사고(matter, problem, hardship etc)의 단어, 조건연결어(otherwise: 그렇지 않으면, unless : -하지 않는다면)


● [비법전수] 감정어 : 작가가 감정 형용사, 동사 즉 일상적 상태와 다른 형용사, 동사를 쓰는 경우, 대표적인 예로 important, marvelously, desperately, essential, indispensable, have to, should, must, want, hope와 같은 식으로 이상적 형용사나 동사를 쓰는 경우에는 반드시 주제문이 들어있다.


● [비법전수] 의문형 : 주로 자신의 의견 주장하기 위한 논설문보다는 설명문독해에서 필자의 주장은 의문을  제기하고 그에 대하여 답을 주는 방식으로 전개가 많이 됩니다.  Why? 의문사, 의문형 다음에 답을 하면서 요지를 알려주는 거예요.


 


 


2. 순서 알아차리기 비법


※※ 글의 순서, 문장의 적절한 위치 찾기, 무관한 문장 찾기 문제 등의 해결력 신장


 


순서 맞추기 비법(세가지를 주목하라! 흐름어<순접, 역접>, 대명사와 관사를!)


 


● [비법전수] 흐름어 : 내용을 대변해주는 흐름어를 가지고 순접, 역접  파악하면 문제 접근이 훨씬 쉬워져요.


● [비법전수] 대명사 : he, she, it, they, these, those, one, ones 는 앞에 무엇인가 등장했다는 것으로 지시하는 명사보다 항상 뒤에 위치합니다. 지시대명사에 항상 체크하세요. 체크


● [비법전수] 관사 : There is a man. another, the other, others, the others 부정관사 a(n)은 정관사 the 보다 항상 먼저 등장합니다. 체크



3. 비법을 썼는데도 틀리는 이유는


상식이나 선입관에 의해 자신의 생각으로 결론을 내는 경우


지문의 내용 중 일부에만 한정되는 것으로 결론을 내는 경우


지문의 내용보다 범위가 넓은 것으로 결론을 내는 경우


④ 지문의 내용과 관련 있으나, 논리적으로 내용이 틀린 것으로 결론을 내는 경우


⑤ 단어 실력이 부족하거나, 어려운 구문 해석이 안 되는 경우


⑥ 집중력이 떨어져, 문제 푸는 중 다른 생각이 나는 경우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칼르빙 · 424450 · 13/10/01 02:37 · MS 2017

    감사합니다! 근데 in fact는 순접으로 봐야되나요 역접으로 봐야되나요? 해석할 때 마다 고민되네요
    in fact가 앞의 내용에 반전을 기하는 내용말고는 안쓰이나요?

  • 아니스트~ · 396652 · 13/10/01 07:16 · MS 2017

    평가원에선 수능실시 이래로 계속 순접만 사용해요

  • 생올국대 · 464043 · 13/10/01 12:26 · MS 2013

    아 수능에선 무조건 순접인가요?그럼 혹시 교육청에서는 역접으로도 쓰이나요? 아직 고2라서요 저도 in fact를 사실상 으로 역접으로 해석해야하는지 상당히 주의를 기울이거든요

  • 아니스트~ · 396652 · 13/10/01 12:55 · MS 2017

    메이저 인강샘들도 그리말씀하세요 . 평가원은 수능탄생이래로 저거 순접으로만 쓰고 절대로 역접으로 안쓴다네요. 교육청은 잘모르겠습니다.

  • 생올국대 · 464043 · 13/10/01 15:22 · MS 2013

    감사합니다 좋은 정보 얻었네요 ㅋ

  • 김치번개 · 409762 · 13/10/01 23:52 · MS 2012

    옛날에 사관학교인가에 한번 in fact가 역접으로 나와서 최악의 정답률을 기록한적이 있다고 들었어요 ㅋㅋ
    즉 그거 한번 빼고는 거의 순접이라는 소리죠 뭐 ..ㅋㅋ

    근데 연결사 문제로 나오는 경우 말고 그냥 독해할때는 문맥에서 순접인지 역접인지 캐치할 수 있지 않나요?! ㅋㅋ

  • 생올국대 · 464043 · 13/10/02 23:26 · MS 2013

    뒤 안읽고풀수도 있을거같아서요 그리고 제가 단어력이 좀부족하다보니 뒤에서 다른영단어로 적어주면헷갈리거든요 순접이 기본이라고 알아두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스파클린 · 453134 · 13/10/01 07:38 · MS 2016

    좋은 리딩스킬이네요 몇개는 알고 쓰던건데 감사합니다~

  • BigJohn · 463314 · 13/10/03 16:45 · MS 2013

    이 비법이 오르비에서
    수능완성으로 10점올린다. 책이 나왔구. 계속 시리즈는 나옵니다.

    도움될것입니다. ♡

  • 지으뇨 · 378265 · 13/10/09 22:19 · MS 2011

    in fact 순접으로만 쓰이는데 왜 위 글에는 역접에 강조 연결사에 있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