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대로!! [445770] · 쪽지

2013-04-18 16:40:56
조회수 3,069

김동욱 선생님이 말씀하시는 지문의 완벽한 이해는 뭔가요?

게시글 주소: https://image.orbi.kr/0003656915

김동욱 선생님 입시설명회 영상을 봤는데요
비문학은 지문을 완벽히 이해해가면서 읽고 문제푸는 과정을 연습해야하신다고 했는데
지문의 완벽한 이해는 무엇인가요?
지문에있는 모든내용을 단순히 눈으로만 읽는게 아니라 앞과 연결시켜가면서 지문들을 이해하는건가요?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독獨 · 401539 · 13/04/18 16:58

    가장이상적인말이죠 뭐 독해력이 다된다 문제 다풀린다
    근데 제가 전형태 박광일 김재욱 권규호 다 들어봤는데
    저독해력이다 이해 된다
    앞뒤 연결해서 이해한다..
    수능 당일에 안되면 어쩔 ㅇㅇ독해력 안길러지면 어쩔

    본인 상황에 맞게 맞춰들어야되요 맹신하지말고 누구 좋다 누구 나쁘다 까지는
    말안하겟는데요 독해력 드립만 치는 사람은 너무 믿지말아요
    갠적으로 저중에 문제의 원리 까지 세세하게 파는 사람있었는데 저는 이게 더 도움
    됬슴다
    기출로 비문학보고 읽다가 아 이부분문제 나올꺼 같은데? 하면 그걸로 접근
    그걸 완성시켜준 분이있는데 암튼
    수능시험은 한방인데 독해력무기만 가지고 간다는 거는 좀 아닌거 같슴다

  • imnhj · 390221 · 13/04/18 18:55 · MS 2011

    그 분이 ㅈㅎㅌ쌤인가요?

  • 쒸봉탕 · 362819 · 13/04/18 18:33 · MS 2017

    맛보기 들어 보시면 아실꺼에요

    샘이 설명해주는 정도까지 깊이 파고드는게 목표인 셈이죠

    앞과 뒤 연결 시켜서 읽는것도 물론이고

    한 문장 한 문장 허투루 읽지 않고 곱씹으면서 의미 파악을 제대로 하고..

  • 칸나바롱 · 441930 · 13/04/18 19:22 · MS 2013

    어느정도 독해력이 있는 학생들에게는 필요가 없지만.. 그게 결여된 학생들에게 이런거다
    라고 보여주는 클리닉적인 면이 있다고나 할까요.
    사실 김동욱 선생님 처검 지문을 이해 하는건 거의 힘들지만.. 그건 시험볼때가 아니라
    공부를 할때 그 정도로 이해할 정도로 공부를 하면.. 점수는 자연스럽게 올라옵니다. 독해력이 향상되었으니까요..

    뭐 김동욱 샘의 의미는 간단합니다. 지문을 다 이해하라.말 하나하나 단어히나하나가 문맥속에서 어떤 의미를 가지 있고 그게 글 속에서 어떤 의미가 되는지.. 만약 강의 들으실거면 예습 철저히 하세요.. 복습의 의미가 없는 강좌입니다. 예습 안하면 정말 쓸대 없는 강좌예요

  • 이성과양심 · 436554 · 13/04/18 19:40

    문제는 절대로 완벽히 이해할 수가 없는 지문도 있다는 거지요.
    그럴 땐 어찌해야 하는지를 가르쳐 주어야지요..
    그런 소리 누가 못하나..

  • KEEZ · 391655 · 13/04/19 22:21 · MS 2011

    이상기체 완벽히 이해해보세요 ㅎ_ㅎ.....
    제가 피해잡니다

  • 올해는설경 · 446932 · 13/04/20 00:13 · MS 2013

    김동욱 선생님의 방법이 좋은 이유는 '지문과 최대한의 익숙함'입니다. 대게 김동욱선생님의 방법에 태클 거는 내용이 "다 이해하지 못하면."으로 시작하는데 그럼 어쩔 수 없습니다. 자신이 최대한 이해한만큼 독해하자는거죠.

    기존의 독해방법이 지문의 핵심을 읽고 문제에 많은 시간을 투자하자는거였는데
    최근에는 수능이 정형화된 발문들이 대부분이고 오히려 선지에서 세세하게 장난을 많이 치기때문에

    김동욱 선생님처럼 지문에 많은 시간을 써서 문제를 푸는것이 가장 효율적입니다.(ebs버프랑 가장 잘 맞다이거죠)

    그리고 요즘은 완전히 이해못할 지문이 안나오지 않나요? 이상기체도 ebs연계 아닌가요

  • 이성과양심 · 436554 · 13/04/20 16:44

    올해 독해 23문제 중 3점짜리가 7문제 나옵니다.
    그리고 아마 대부분이 외부지문일 거에요.
    완전히 전문을 다 이해하기가 불가능한 지문 반드시 2지문 정도 나올겁니다.
    그런 경우를 대비하지 않으면 시험 망칠 수 있어요.
    완전히 지문을 다 이해 못했다 하더라도, 주제를 추출하고 간단한 논리적 사고를 통해 풀 수 있는 훈련도 해야 합니다..

  • 올해는설경 · 446932 · 13/04/20 19:37 · MS 2013

    흠 대부분 외부지문이라는 건 좀 오바인것 같고요.
    글쎄요 논리적 사고라는게 엔간한 상위권내에서는 별차이없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결국 변별력을 내는 지문,문제는
    모든 학생들이 체감상 어렵다고 느끼는것인데
    단순히 주제추출하고 간단한 논리적 사고로 푸는것보다
    침착하게 지문 똑바로 읽으면서 이해안가는부분은 기호화 처리하면서 독해하고 문제푸는게 맞을 확률이 더 높다고 생각되네요.

  • 이성과양심 · 436554 · 13/04/21 13:13

    오버 아닙니다, 오래 수능영어를 가르쳐 온 경험에서 나온 생각입니다. 대부분 3점 문제는 외부 지문에서 나올거에요. 작년에도 그랬고요..

    그리고, 님의 말이 가장 이상적이긴 하지요.
    하지만, 그럴 수 없는 지문도 분명 나옵니다. 그 땐 어찌 해결해야 하는지를 말합니다.

    세상 모든 일을 완벽주의로 해결할 수는 없지요.
    완벽주의는 완벽을 뜻하기도 하지만, 패망을 뜻하기도 하지요..
    자신의 완벽을 증명할 수 있는 시험이란 없지 않겠어요?

  • 올해는설경 · 446932 · 13/04/21 13:49 · MS 2013

    영어지문이요?? ㄷㄷ..
    영어야 듣기에서 다 연계해서 내버리면 3점 독해에서 외부지문 가능하죠.. 근데 저와 윗분들은 언어 이야기하시는겁니다.

    언어는 외부지문에 킬러문제 올해 이상기체같은 문제수준이 나올 경우는 드물겁니다.

    작년 이상기체지문은 간접적으로 ebs반영했는데도 문제 어렵게 내니까 정답률 확떨어진거로 미루어봐도

    평가원이 굳이 언론에 욕먹으면서 외부지문&킬러문제 낼 필요없이 지문은 비슷하게&킬러문제 배치해도 충분한 변별력과 ebs반영이라는 두 마리의 토끼를 잡을 수 있거든요.

    제말의 취지는
    요즘 지문 수준은 어렵지 않다. 그러나 문제수준은 어렵다. 그러므로 최대한 지문을 완벽하게 읽어 문제를 풀어나가자 이겁니다.

    완벽주의가 패망을 가져다 주나요? 글쎄요 모르겠네요.오히려 완벽하게 풀어야 백점이 나오는게 수능언어라고
    생각됩니다.

  • 이성과양심 · 436554 · 13/04/22 15:12

    아~ -영어로 오해 했네요.. 죄송 언어라면 동의 합니다.. 국어는 글을 가급적 완전히 장악하는 것이 좋지요..

  • 모르겠다나도 · 399608 · 13/04/22 15:54 · MS 2017

    언어 5등급에서 90점이상나오는데 1달걸렸습니다

    대상찾고 전제찾고 가벼운내용 가볍게읽고 접소삭주의해서 공부하면쉽게 올릴수있습니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