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리사니1211 [440468] · MS 2013 · 쪽지

2013-03-19 00:46:38
조회수 1,001

국어영역 - 오답률이 높았던 문제들의 특징 01

게시글 주소: https://image.orbi.kr/0003634605

1.
읽기 방식의 문제
결론 중심으로 글을 읽으면, 안정적 1등급은 나올 수 없다!
조건 중심으로 글을 읽어야만, 안정적 1등급이 나올 수 있다!

그녀는 눈이 커서 예쁘다.

어디가 가장 중요할까?
한국 사람들은 보통 '예쁘다'라고 말한다!
결론 중심으로 읽는 것이 습관이 되어 있기 때문이다!

결국 머릿속에는 '예쁘다'를 중심으로 내용이 정리되어 있는 것이다!

그런데 출제자는 어떻게 장난을 칠까?

과연 결론을 가지고 장난을 칠까?

그녀는 눈이 커서 예쁘지 않다. 라고 선택지를 만들까?

만들 수는 있지만, 오답률이 높지는 않다. 이미 머릿속에 '예쁘다'로 가득 차 있으니까!

그럼 어떻게 만들까? '눈이 커서'를 '코가 커서' 따위로 바꾼다!

그리고 학생들은 말한다!

"샘! 이거 왜 안 돼요? 여기 '예쁘다' 있는데요!"

반드시 조건 중심으로 읽는 습관을 길러야만, 안정적 1등급이 나올 수 있다!

너무 단순화한 예이어서 믿지 못할 수도 있다!

과연 그럴까?

다음은 2010/10/고3/인천 교육청 문제이다.

오답률이 50%였던 다음 문제를 보면 명쾌해진다!

왜 많이 틀렸을까?




보통 조건에 맞는 글쓰기 유형이라고 하는데..

저는 개인적으로 유형이라는 말을 정말 싫어한다!

유형의 문제가 아니라, 오답률이 높았던 문제의 특징은 읽기의 문제이기 때문이다!

참고로 이런 문제는 형식의 조건을 가지고는 많이 안 틀린다!

물론 '완곡'이라는 단어가 누구나 다 아는 단어는 아니지만, 생각해 보면 웃긴다!

실제로 '우회'라는 단어를 쓰면 오답률이 낮아지는데, '완곡'이라는 단어를 쓰면 오답률이 높아지기는 한다!

중요한 것은 내용의 조건 즉 상황이다.

보통 상황을 읽고 나오는 반응은

'쓰레기 ... 환경이 더러워진다' 정도로 기억한다. 그리곤 완곡이니, 인과니 이런 단어를 가지고 고민을 한다.

그 상황을 조건과 결론으로 나누어 보면..

조건은 여기 저기에 버려서 이다.
결론은 환결이 더러워진다! 이다.

국어의 특성상 설명을 듣고.. 해설을 보고...이해를 하는 것은 '소 잃고 외양간 고치기'이다!

그래서 강의 중에 종종 하는 말이..

내 강의를 듣는다고 성적은 절대로 오르지 않아!

읽기 습관 곧 조건 중심으로 읽는 습관을 갖추어야만 성적이 오르는 거지!

강사의 설명이 장황할수록 화려할수록 학생들의 점수는 반비례한다고!!!!

그런 의미에서 그믐달님의 인강 들으면 망한다는 나름 의미가 있는 말이라고 생각한다!

친절한 설명에 불과하니까..

결국
국어 공부를 할 때는..
1번이 이러이러해서 답이다 가 아니라..
2번이 이러이러해서 오답을 많이 했다를 알아야 하는 것이다!

따라서 오답률이 높았던 문제를 중심으로 자신의 잘못된 습관을 바로 파악하지 않으면..안정적 1등급은 요원합니다.!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첫번째 댓글의 주인공이 되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