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랑말랑스 [683740] · MS 2016 · 쪽지

2020-12-22 02:51:28
조회수 2,759

(PART.2) 교대 면접 총정리 !!

게시글 주소: https://image.orbi.kr/00034126856



안녕하세요 :) 


2021에 접어들면 5년째 교대정시면접만 하고있네요!


그간의 노하우를 담아 어떤 공부를 하면 좋을지 몇가지 담아보겠습니다 :)




part.1에서 영상면접에 대해 다룬적이 있습니다.


영상면접 입시요강에 관해서 간단히 살펴보고, 어떻게 준비해야할지를 중점적으로 다뤄보겠습니다!


영상면접이 P/F 제도이기 때문에 F를 남발해서 주시지는 않을테지만 알찬 대답을 만들 수 있는 능력이 있어야

불안감을 해소할 수 있을 거 같습니다 ㅎㅎ

제 생각에 입시는 불안감이 사람을 미치게 만드는 거 같습니다.

중요하지 않은 거 같지만 중요한 거 같기도 하고, 누구는 괜찮다, 누구는 어려울 거 같다라고 이야기 할때에는

연습이라도 하며 대비하는 것이 최선책이라고 생각합니다.


1) 영상면접


아래는 입시요강에 나와있는 평가기준을 요약한 것입니다 :)


- 경인교대(P/F)

면접영상미제출, 문항과 관계없는 답변, 불성실한 태도, 평가 기준에 위배되는 경우 F로 0점을 부여합니다.


- 공주교대 최저점(45) / 최고점(100)

면접시간 미준수, 불성실한 면접태도, 면접질문과 관련없는 내용, 블라인드 면접평가 원칙 위배의 경우 최점점을 부여합니다.


- 교원대(P/F)

3인 중 2인 이상에게 F를 받을 경우 0점입니다.

면접문제의 변화 교직 적인성 면접문항이 폐지되고, 개방형질문만 묻겠다고 밝혔습니다.



- 춘천교대(P/F)

3인 중 1인에게라도 F를 받을 경우 최저점인 64점입니다.

면접영상 미제출, 블라인드 원칙 위배자, 입학전형관리위원회에게 부적합 판정을 받은 경우 면접 부적합자 불합격 처리가 됩니다.


 





면접문항에 변화가 있는

교원과 춘천을 살펴보겠습니다.



2) 교원대학교의 변화


- 교원대학교는 2020 나군에서 2021 가군으로 바뀌었습니다.

교원대학교 초등교육의 정원은 45명 정도입니다. 타교대만큼 많은 인원을 선발하는 것은 아니나 나군에서 가군으로 이동은 학생들에게 선택지를 늘려줄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 면접문제의 변화 : 교직적인성 문제 폐지 , 개방형 질문으로 평가

기존 교원대는 교직적인성문제 + 개방형질문으로 면접을 진행했으나

올해는 개방형질문으로만 평가하겠다고 발표했습니다.



2020 교직적인성 기출문제입니다.




아래는 교원대학교에서 예시로 든 개방형 질문입니다.





3) 춘천교대


교직적성 + 교직인성문제에서 교직적성문제만을 출제한다고 밝혔습니다.


2020 교직적성


 


2020교직인성(2021폐지예정)








면접의 형식이 바뀌어도 묻는 것은 교육에 대한 생각입니다.




1. 교원대학교 예시질문

-지원자가 생각하는 좋은 교사란?

-실생활에서 지원 전공과 관련된 지식을 확인하거나 응용해본 경험을 말해보시오.


2. 춘천교육대학교 기출 질문

-교사가 할 수 있는 일


위처럼 면접에서는 교사와 교육에 관련해 광범위하게 묻고있습니다. 교원대와 춘천교대 이외에 교대 또한 교육에 관해 묻습니다.

- 추상적인 교육에 관한 본인의 생각, 가치관( 자신이 원하는 교사상과 같은 것)

- 구체적인 교육방안( 교사가 되어 실천할 수 있는 일, 교실 문제상황 해결방안 등등)

- 교육현안에 관한 지식



저에게 교육이 무엇이냐, 좋은 수업이 무엇이냐라고 물으면 정답을 말할 수 있을까요?

교육에는 정답이 없고, 모두에게 딱 들어맞는 수업은 없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여러분들은 꼭! 내가 생각하는 교육, 좋은 수업을 생각하셔야 하는 것입니다. 그것이 자신의 무기가 되니까요.

교육에 관한 반짝이는 철학은 여러분을 빛나게 만듭니다. :)

자신의 주관과 생각이 드러나는 사람만큼 매력적인 사람은 없으니까요.


그렇다면 무엇을 해야할까요? 책이나 다큐에서 주로 지식을 얻곤 하시죠? 지식을 얻었다면 어떻게 공부해야할까요?

여러분이 책이나 다큐에서 얻는 교육적 지식은 추상적인 지식이 많습니다. 이것을 자신의 것으로 만들어야합니다.

내가 생각하는 교육, 좋은 수업을 생각하셔야합니다.



1. 교대 면접 기출문제 풀이


: 본인이 지원하는 교대 외의 타교대 기출문제를 보세요.

교육정책을 주로 다루는 부산교대 외의 기출문제는 모두 볼만합니다.

시간을 재고 타교대 기출문제를 풀라고 하는 것이 아닙니다. 어떤 교육문제를 던졌는지 보세요.

그리고 나라면 어떻게 교육하고싶은지를 생각해보세요!


그 과정 속에서 내가 교육에서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이 생깁니다.

자신만의 교육색깔을 만들어주세요!⭐⭐⭐⭐⭐


2. 시사와 교육을 연결지으며 생각보아야 합니다. 시사가 나오지 않는다고 해서 시사를 공부하지 않아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시대의 흐름에 맞는 교육에 대해 물을 가능성이 충분하기 때문이예요 :)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요즘 코로나로 인해 교육격차, 기초학력문제 등이 있습니다.

시사로만 보며 교육격차, 기초학력문제를 해결해야해가 아니라 구체적 교육방안을 고민하며 공부해야합니다.


-교육에서 교육격차와 기초학력문제는 어떤 시사점을 갖는지, 기초학력 보장은 왜 중요한지?


- 내가 교사라면 기초학력이 부족한 학생을 어떻게 지도하고싶은지?

: 내가 공부하며 어려웠던 부분을 어떻게 해결했는지를 생각해보며 보조자료에 대해 떠올릴 수 있을 것입니다.


- 교육격차 해소를 위해 어떤 콘텐츠를 사용하는 교사이고 싶은지?

: 최근 콘텐츠를 이용하는 수업이 활발하게 이뤄지기 때문에 콘텐츠와 관련해서도 많이 생각해보셔야 합니다.

저작권교육, 비대면 생활지도 등등 생각할 것이 많습니다.


시사에 대해 심도있게 물어보는 교대를 제외하고선, 굵직한 이슈를 중심으로 올해의 교육 키워드에 대해 떠올려보며 공부하는 것이 좋습니다 :)


3. 교육다큐 활용법



사실 다큐는 굉장히 길고, 정보가 너무나 많습니다. "핵심정보"만 쏙쏙 골라주지 않습니다.

시간이 정해진만큼 보고싶은 다큐주제를 정해 보고 내용을 정리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다큐만 보면서 교육을 공부하기엔 무리가 있습니다.


간단한 추천으로는 '4차 산업혁명' 관련다큐입니다. 4차산업혁명은 우리의 생활 전반에 관련된 것입니다.

따라서 교육에도 많은 변화를 부르고, 봐둘만한 소재가 굉장히 많습니다.

-AI

-교육패러다임 변화, 방향성

-미디어에 익숙한 아이들에 관한 다큐 등에 관해 보며 정리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ㅎㅎ




다음 글에서는 집단면접, 대면면접 교대에 대해 차례로 다뤄보도록하겠습니다 :)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