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master [418720] · MS 2012 · 쪽지

2012-10-27 10:38:39
조회수 1,032

윤리분들, 칸트 정언적/가언적 명령에 대해서 질문 좀 드릴게요.

게시글 주소: https://image.orbi.kr/0003142887


정언적 명령 : 의무 중시

가언적 명령 : 목적 중시

아니겠습니까 ??


그 중 칸트는 정언적 명령을 선호하구요.

그런데, 칸트 = 동기론이잖습니까 ??

정언적명령은 동기론이 맞는거 같긴한데,

가언적명령도 동기론에 속하는건가요 ?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우너구리 · 403025 · 12/10/27 12:08 · MS 2012

    가언명령은 목적중시죠 ㅎㅎ 예컨대 칭찬을 '받기위해' 선행을 했다 이런상황은 칭찬이라는 목적을 가지고 행했기때문에 칸트의 입장에서는 비판 받을만한 행동입니다.

  • 모시떡 · 418748 · 12/10/27 12:11 · MS 2012

    이미 가언명령이 목적을 중시하신다고 이해하셔놓고 가언명령이 동기론에 속하느냐고 물으시면..ㅋㅋ아 그러면 동기랑 목적이랑 헛갈리시나보네요. 칸트가 동기를 중요시하는 것은 그 동기가 선의지,실천이성에 기인할 때 뿐입니다. 선의지는 무조건적이고 동정심같은 감정이 들어갈 순 없죠. 그러나 목적은 다릅니다. 목적은 무조건적인 선의지 이외에, 윤리적 행동에 앞서 어떤 목적의식이 드러나는 것이죠. 그런 목적이 드러나는 문장이 바로 가언명령이기 때문에 가언명령=목적론적 윤리설=결과주의 가 성립하는 것입니다. 쉽게 예를 들자면, 가언명령은 내가 지금 양로원에 기부를 하면 나중에 기부 환급금을 다시 받을 수 있을 거야. 라는 문장입니다. 기부를 하는 것은 윤리적 행위이지만 기부 환급금이라는 이득적 목적이 드러나므로 가언명령이 되는 것이죠. 정언명령은 가언명령과는 반대로 '-한다면'같은 가정적 조건이 진술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