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트인문논술 [463502] · MS 2013 · 쪽지

2020-06-20 17:29:47
조회수 7,397

논술 - 문장 잘 쓰는 법 1 (연세, 한양대 중심)

게시글 주소: https://image.orbi.kr/00030737923






한양, 연세와 같이 자수가 긴  논술 문제는 상당한 "문장력"을 요구한다.







(대략 1200자가 1개 문제에서는 가장 긴 길이이다. 이것도


 한양처럼 1개 문항만 있는 경우는 훨씬 부담이 적다. 


2개 문항 모두 1200자인 연세는 더 어렵다)







여기에서 말하는 "문장력"이란 제시문의 독해 정확성을


 떠나서 "일단 문맥을 길게 풀어쓸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알기 쉽게 비유해 보자.






 "말을 잘한다"라는 개념에는 여러 가지의 의미가 포함되어 있을 것이다.








 말의 내용이 갖는 사실성, 그 사실들의 참신함, 그 사실들의 


언어적 표현이 갖는 간결함과 참신함, 그 사실 조각들의


 논리적 연결성, 그 연결 간의 유려한 흐름, 말하는 


사람의 음성이 주는 자극성, 전체적인 음성의 고저 변화, 


말의 분량이 갖는 적정성, 말하는 사람의 용모와 제스처, 


말하는 사람 자신의 열 정도와 평소의 인간적 신용도.. 








 간단히 요약하면 듣는 사람이 지루하지 않으면서도


 "원하는 바로 그것"을 압축적으로 손에 쥐여줄 수 있는


 예술성 + 대중성이 함께 있어야 한다. 어떤 "말"도 "


길고 어려운 진리나 사실"만 반복하거나 아무리 "참신하고 


사실적인 필요한 내용"도 같은 음량으로 속삭이고 있으면 청중은 곧 지루해 할 것이다.  








논술 수험생의 답안지를 보고 있는 채점위원의 심정도 동일하다. 







"말"을 오랫동안 하면서도 청중이 지루해 하지 않게 하려면 


일단 "어떤 내용이던지 반복 없이 흥미 있게, 길게 풀어 놓을 수 있는


" 스토리 전개 능력이 있어야 한다. 






좀 저속하게  비유하면 "노가리 푸는" 실력을 말한다.








논술 답안지도 같다.







제시문 독해의 정확성, 논점 키워드의 압축 + 차별화가 


고 득점에 매우 필요한 것은 당연하다. 






이것은 "말"로 비유하면 일단 "사실적인 내용"의 전달과 같다.


 사실이 아닌 내용은 아무리 열정적인 웅변 기술로 전달되더라도


 청중의 설득과 감동을 얻을 수  없을 것이다. 







그러나 "사실적인 내용"을 전달하는 연설가가 여러 명 있다고 하면


 청중은 곧 "재미있고 간결한 말"에 주목하게 된다.






한양, 연세의 합격자 그룹 정도가 되면 주어진 제시문의 독해나


 논점 키워드 추출은 어렵지 않을 것이다. 







두 학교가 모두 수능 최저가 없다 보니 


정말 "아무나" 응시하는 경향이 있다. 







논술 합격은 결국 정시 합격 컷 정도의 지력이 있어야 한다. 


 자신의 수능 등급과 두 학교의 정시 컷 등급 간의  격차가


 너무 심한 경우는 사실 독해 자체가 어려울 것이다.






이 포스팅은 "논술 읽기 = 제시문 독해, 논점 키워드 추출"이


 가능한 그룹들 간에 시작되는 "논술 쓰기" 경쟁을 대상으로 한다.







제시문 자체가 거의 독해가 되지 않는다거나 논제 분석도


 되지 않는다면 쉬운 학교를 응시하는 것이 타당하다. 







아무리 뛰어난 논술 강사라고 해도 독해가 전혀, 거의 안되는


 학생을 단 몇 달 내에 논술 최상급 학교의 제시문을


 독해해 낼 수 있도록 만드는 비법은 없다. 








독해는 본인이 직접 하는 것이며 인간 지력의 총합이다.


 독해를 다소 도울 수 있는 소위 "독해 툴"은 존재한다.


 하지만 그것도 결국 학생 본인의 보조 기구일 뿐이다.









이런 관점에서 한양, 연세의 합격 답안지를 쓰기 위한


 "문장력"은 어떤 것일까?








1. 일단 논술에 잘 나오는 배경 영역을 한두 개 골라서 1200자의 "압축된 글"을 만들어 보자.







논술 문제의 배경 영역은 해마다 구체적인 내용만


 다르지 거의 반복된다.



 예를 들면 "사회와 개인"을 영역으로 잡아보자.





아무렇게나 본인이 논제와 논점을 잡아도 된다. 







예를 들어 본다.







" 자유 민주주의 사회의 생산적인 발전을 위한 개인의 희생과 


권리의 접점은 어디까지인가?" 한 마디로 사회 발전을 위해서


 개인은 어느 선까지 양보, 희생할 수 있으며 


 어느 선까지 개인의 주장을 구현시킬 수 있어야 하는가? 뭐 이런 얘기이다.








일기 쓰듯이 1200자를 빠른 속도로 써 내려가본다.


 다 쓰고 나서 시간을 재보고 같은 용어나 문맥 반복이 없이, 


하고자 하는 요점이 얼마나 간명하고 압축되고 차별화된 용어= 키워드로


 표현되었는지? 셀프 검토해 본다. 







"개인과 사회"나 "희생과 권리"가 갖는 사회적 의미가 도무지 무엇인지?.. 


감이 안 오거나 혹  미미하게 오긴 하는데 펜으로 전혀 옮겨지지가 않으면


 한양, 연세를 지원할 만한 수준이 안된다고 보아야 한다.






한 마디로 이런 배경이 나왔을 때 사탐의 어떤 과목, 어떤 항목의


 내용을 연계해야 할 것인지? 전혀 구상이 안 떠오르면 그 대학들을


 보기에는 격차가 심하다는 것이다.






그러나 만일 배경을 충분히 이해하고 필요한 요점도 


"키워드"이건 "풀어쓴 문장"이건 서술 표현을 했는데..







자수 채우기가 고심이었다면..


탐구 과목의 전 지식을 총동원해서 1시간을 훨씬


 넘게 애를 썼어도 절반도 넘지 못했다면 일단 "문장력"이 없다고 본다







이런 "문장력"은 연습을 통해서 단 기간에 충분히 해결할 수가 있다. 








- 연습 방법은 다음 포스팅에 적어 보자








- 위 글은 본인의 짧은 견해일 뿐이오니 필요하신 분만 참조하시기 바라며


 댓글은 확인을 하지 못 합니다 혹 질문사항이 있으시면


 쪽지 주시면 성의껏 답변 하겠습니다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