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 답변용(국어 기출 공부)
이하의 내용은 국어 기출 1회독 완료한 학생을 전제로 합니다. 1회독 때는 분석 신경쓰지말고 지문과 선지 이해, 정답과 오답의 근거 찾는것에 집중해주세요.
저는 ‘문제에서 무엇을 묻고자 하는가?‘가 대단히 중요한 질문이라고 생각하고, 그 질문은 결국 ’어떻게 읽어야 하는가?‘와 직결돼요. 문제에서 묻고자 하는 걸 처음 읽을 때부터 주목할 수 있다면 좋으니까요.
1) 비문학
그렇기 때문에 문제의 선지들을 하나하나 보면서, 이건 출제자가 무엇을 묻고자 하는 것이다 하는 걸 정리해봐요. 실제로 그렇게 해보면, 이항대립, 필요/충분조건, 인과 등등의 논리적 장치들을 묻고 있다는 걸 알수있어요. 그럼 이런 장치들에 처음 읽으면서 민감하게 반응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읽어야 할까? 를 생각해보는 것, 이게 기출 분석인 것이에요. 민감하게 반응한다는건 제가 https://orbi.kr/00028849415, https://orbi.kr/00028865763에서 썼던 생각들을 말합니다.
2) 문학
문학은 여기에다가 문학 개념어의 활용까지 익힐 수 있으면 좋습니다. 기출문제집(마닳 추천)의 해설을 보면서, 이 말은 어디까지 허용될 수 있는 것인지에 대해 기준을 잡아야 하는 것이죠. 그리고 애매한 선지에 대한 판단 능력까지요. 제가 전에 문학 공부에 관해 쓴 것이 있으니, 여기에 있는 항목들을 기출문제를 통해 공부하시면 되겠습니다. (https://orbi.kr/00026236531/)
3) 문법
문법은 우선 사전에 기본 개념 공부를 끝내 놓은 상태에서, 기출문제를 풀이하는 논리를 공부하면 좋아요. 출제자는 수험생에게 어떤 문법적 요소에 민감하게 반응할 것을 요구하는가를 보는 것이죠.
위와 같은 내용 공부가 끝나면, 이제는 실전 태도 교정이 필요합니다. 어떤 순서로 문제를 풀 것인지, 어디까지 머리로 생각하고 어디부터 지문 옆에다 쓸 것인지 등등 시험장에서 그 지문을 풀 때 일어날 모든 일들에 대해 시뮬레이션 해보는 거예요. 그리고 그 과정은 모두 필연적이어야 합니다. 수능 시험장에서도 그대로 써먹을 수 있게요. 이 지문 읽기 및 문제 풀이의 알고리즘을 계속 다듬어 나가는 게, 내용 공부 이후의 기출 분석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화작은 내용 공부할 게 별로 없어서, 이후 알고리즘 체화에만 신경쓰면 됩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찐따장점 0
친구도 여친도 남친도 만날 일 없어서 그 시간에 공부 가능ㅋㅋ
-
강대에서 0
눈으로 대화할 사람
-
하나 전해드리죠
-
학교 이메일 나오니까?
-
잇나?
-
3등급 정도될라나
-
노베들이 매일 11시간씩 하면 sky갈 수 있냐는데 2
필자는 12월부터 4월까지 실제로 해봤음 결론은 66455에서 6모 23222까지는...
-
루비가 방방 뛰는 움짤 13
잇으신분 키타도 똑같은 포즈로 뜀
-
1.국어 보기전 세상에서 젤 떨린다 이때 2.영어 듣기 시간 3.과탐 보기직전
-
연락처 저장 3명 찐따력 ㅁㅌㅊ
-
반수할거라 사탐 2개는 시간이 안될 것 같은데 메디컬까지 생각했을때 사1 과1...
-
1. 포장지가 너무 많아(환경 오염) 2. 결혼한 남녀와 자식 이야기를 다른...
-
학생이 이거 풀때까지 기다렸다가 해설하느라 늦음... 이건 못참지...
-
본인만 해도 고등학교 친구 중에서 지금 연락하는 친구는 같이 재수한 친구들뿐임
-
음메에에ㅔ
-
빠꾸가 잇어야함 2
너무 막말하면 안댐
-
주인 잃은 레어 1개의 경매가 곧 시작됩니다. 우매함의 봉우리"[재미있는 퀴즈]...
-
날 음해하려는 세력이 24
너무많음
-
가서 상담만 해주고 쌀먹할까 걍...
-
반수하지 마세요 12
-
고닉이 뭐임 6
만화 sax가이드를 쓴 래리 고닉밖에 모른다
-
생활과윤리 과목 만들어서 몇년간 선택자 1위 찍은것도 그렇고 허수표본 쉽게 내서...
-
이륙이다!! 0
우히히 건전한걸로 이륙햇어요!! 전에 이륙한 거 중에서 강해린 모음집 다음으로 건전한듯..
-
나 뭐 할라햇지 8
까먹음
-
문제들 왤케 심하게 짜치냐ㅋㅋㅋㅋ
-
오후 8시~새벽 1시반 특정 행위를 할 때 이 2개의 상황에서는 글 안 씀뇨
-
원래부터 학교에 교류하는 친구 없고 만나는 사람도 없는 분들은 별차이 안날듯 하네요.
-
홍대 법학 추합 0
얼마나 돌까요..
-
걸린 게 적어서 멘탈관리에는 오히려 유리함
-
어떻게 직업 부르는 이름이 성범죄자 이름 ㅋㅋㅋㅋ ㅅ발 별명을 지어준 새끼가 있고...
-
근거는 없음
-
닉고닉고니~~
-
말씀해주시면 하나 선정해서 만들어볼게요
-
저 고닉임뇨? 4
사실 아님뇨.
-
따뜻한심장은 2
.
-
배고파 2
-
걍 헬스마렵노
-
설약이가고싶구나 4
반수열차출동ㄱㄱ 내일부터6시기상할거임
-
제발 그만해
-
뭐라고 생각하시나요? 처리속도?
-
초콜릿 상자는 0
-
?? 왜 나는거 확이 미기보다 쉬워서?
-
고릴라랑 진심 악수대결 하면 내가 지나 나도 한 악력 하는데
-
자기대학 혹은 학과 + 큐브에서 자기가 한 활동내역 사소한거라도 말하면 특정당함...
-
공도 28 29보다 이차곡선 27번이 더 어려운데 정상인가 ㅋㅋ
-
투표(필참요망) 9
투표 결과는 좋은 곳에 사용하겠습니다.
-
나도고닉임? 3
이제 올해 동국대 복학하면 오르비 고닉이라고 소문나는거임?
-
진짜촌닭같네
-
나 고닉이냐 3
-
내가 팔로우 하고있으면 호감고닉임 ㅇㅇ
이와중에 떡밥 참전 안 하고 칼럼 쓰는 사람 ㅇㄷ
배고픈것이에요
쪽지 확인 가능하신가요 ㅠ
국어 인강 컨텐츠 뭐하셨는지 알 수 있을까요?
https://orbi.kr/00026003088
국어 콘텐츠 및 인강 하셨던 거 알고싶어요!
윗댓
저기 혹시 국어기출 몇회독 하셨는지 물어봐도 될까요? 1회독 하고도 애매한거 같다라는 느낌을 받아서요
무수히 많이요
이원준 쌤 수강중인데요.
기출 분석을 통해 요구하는 선지들을 정리하고, 이를 위주로 skima를 그리는 연습을 하려고 하는데, 맞는 방법이겠지요?
네
기출은 마닳로 123 권 정도만 복습하면 되나요? 10개년정도
작년에는 마닳 3권까지 있었어서 3권이라고 적은거예요
그럼 4권까지 하는것이 좋을까요?
본인 판단이죠
제재별 기출 풀고 나서 연도별 기출하는 것보다 바로 연도별 들어가는게 나을까요? 참고로 각각 검더텅 마닳 얘기예요
본인취향대로
마닳 3권 다 하셨나요? 그리고 몇 회독하셨나요
1권은 아주많이, 2,3권은 2회독
기출은 따로 인강 없이 마닳만 보신거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