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대가즈아13 [815881] · MS 2018 (수정됨) · 쪽지

2018-10-02 01:56:43
조회수 908

세계사 문제 4

게시글 주소: https://image.orbi.kr/00018612815

'이슬람 군대의 공격이 포착되자 궁재는 군대에게 팔랑크스 대형을  취하도록 하였으며 이슬람 기병대의 돌격을 대비해 언덕과 나무를 앞에 두고 포진하였다. 아브드 알 라만은 병력이 모두 모이기를 기다렸다. 궁재는 팔랑크스 대형을 취함과 동시에 고지를 점령하고 있었기에 이슬람 기병의 돌격에 충분한 대비를 하고 있었다'


윗 글은 어떤 한 전투의 묘사이다. 이 전투는 다음과 같은 평가를 받는다.


[그들의 팽창은 결국 (가)에서 그쳤지만, 만약 이 전투에서 승리하고 팽창을 계속했다면 지금의 크리스트교는 없을 것이다. 그런 점에선 이를 저지한 이 전투는 시간과 공간을 초월하는 의미를 지닌다.]


(가)지역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오스만제국의 침략을 받았다.

2. 노르망디 공국이 세워졌다.

3. 파시즘 정권이 들어섰다.

4. 알랙산드로스 대왕의 정복지였다.

5. 맘루크왕조가 세워졌다.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앙 기무띠 · 693478 · 18/10/02 01:58 · MS 2016

    1

  • 설대가즈아13 · 815881 · 18/10/02 02:18 · MS 2018

    문제 수정했습니다

  • 베데엔하 · 787441 · 18/10/02 02:02 · MS 2017

    투르푸아티에전투- 프랑스- 2번?

  • 설대가즈아13 · 815881 · 18/10/02 02:14 · MS 2018

    표현이 애매했나봐요 ㅜ ㅜ 수정해봤습니다..

  • 테리야끼 · 633319 · 18/10/02 02:24 · MS 2015

    이베리아 반도 3??

  • 설대가즈아13 · 815881 · 18/10/02 02:28 · MS 2018

    정답!

  • 테리야끼 · 633319 · 18/10/02 02:33 · MS 2015

    저기 질문한개만드릴게요ㅜㅜ
    올해 수완보면 톈진조약에서 외국인들의 자유여행허용이라고 되있는데 기출에는 베이징조약으로 되있는데 뭐가맞는건가요ㅠㅠ

  • 설대가즈아13 · 815881 · 18/10/02 02:53 · MS 2018

    톈진조약의 후속조약이 베이징조약이라 그렇습니다
    톈진조약에 대하여 청 정부가 최종조인을 거부했기 때문에 전쟁이 지속되었고 결국 최종적으로 조인한 조약이 베이징 조약이에요 (톈진조약 + 몇가지 추가조항=베이징조약)

    톈진조약과 베이징조약의 구분은 교과과정 외의 사항이라 님은 톈진-베이징 조약이라고 알고계시거나 베이징 조약이라고만 알고계셔도 돼용

  • 설대가즈아13 · 815881 · 18/10/02 02:58 · MS 2018

    제가 법용어를 몰라서 좀 찾아봤는데 조인이 아니라 비준을 안했다고 하네요 ㅋㅋ 어쨋든 교과과정 외 사항이에요

  • 테리야끼 · 633319 · 18/10/02 09:57 · MS 2015

    답변감사합니다!! 교과과정 외였군여...

  • 호르텐시우스법 · 786927 · 18/10/02 08:42 · MS 2017

    죄송한데 이베리아 반도 쪽에 파시즘 정권이 들어섰다는 내용이 어디있는지 알 수 있을까요? ㅜㅜ 파시즘 정권 언급은 이탈리아 무솔리니밖에 배운 적이 없는 걸로 기억해서요..에스파냐 내전과 프랑코 정권과 관련된 건가요?

  • 18설대미학과 · 733466 · 18/10/02 09:49 · MS 2017

    저두22..이거 궁금 맞추긴 했는데 이렇게 생각하고 맞춤 근데 수특에서 본적이없음ㅠ

  • 설대가즈아13 · 815881 · 18/10/02 14:14 · MS 2018

    .

  • 설대가즈아13 · 815881 · 18/10/02 14:13 · MS 2018

    수능에서는 수특 서술대로 일본이나 독일을 가지고 파시즘이라고 하지는 않을태지만 파시즘은 보통 전체주의를 말해요. 아시는 것 처럼 무솔리니가 전체주의 국가중 가장 먼저 권력을 잡고 파시즘을 확산시켰기 때문에 무솔리니하고 파시즘이 엮이는거고 사실 나치즘 군국주의 등도 파시즘의 일파라 보시면 되겠습니다. 그중에 에스파냐의 프랑코는 특히나 무솔리니의 오리지날 파시즘을 지향했는데요, 그래서 교과서에서도 프랑코를 파시스트라고 표현하고 그가 내전에서 승리하고 정권을 잡는 것 까지 서술되어 있습니다.

    내용면에서 좀 지엽적인 것은 맞지만 프랑코가 파시스트란 것을 알고 내전에서 승리했단 것을 알고있었다면 그에따라 파시즘 정권이 들어섰다는 것은 추론할 수 있었을거라 생각해요..사실 저의 창의력이 후달려서 지엽으로 난이도를 높힌거지만요 ㅋㅋㅋ
    마지막으로 그래도 역사적으로 에스파냐 파시즘은 굵직한 주제인 것이 세계대전이 끝난 이후 남들 다 전체주의 갈아 치울 때 에스파냐는 프랑코가 죽는 70년대까지 그 정권이 이어졌기 때문이죠.

  • 호르텐시우스법 · 786927 · 18/10/03 19:04 · MS 2017

    파시즘이 제 생각보다 광범위한 개념이었군요.ㅎㅎ 파시스트라고 서술된 건 교과서가 없어서 몰랐네요..ㅜ 답변 감사드립니다.

  • Topgun · 810748 · 18/10/02 21:57 · MS 2018

    3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