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리와리 [312055] · MS 2009 · 쪽지

2010-03-06 13:39:51
조회수 836

상담 부탁드립니다.

게시글 주소: https://image.orbi.kr/0001839142

저는 90년생으로 작년에 재수를 하여 연세대 공대에 입학했습니다.

그런데 아무리 생각해봐도 모든 것이 제가 생각한 것과는 너무 다르게 흘러가는 것만 같아서 이렇게 상담을 요청하게 됬습니다.

재수시절엔 늘 의대만을 바라봐왔지만, 수능 수리에서 미끄러지는 바람에 아쉬움이 크기도 하고 만약 다시 한번 수능을 공부한다면 잘 할수있을까.. 싶기도 해서 요새 머리가 참 복잡해요.

목표는 서울대 의예과로 정했지만, 서울대의대합격자 3인방의 수기처럼 반수로 제가 해낼 수 있을까싶기도하고, 지금부터 대학공부와 함께 수능을 준비하다가 여름방학부터 본격적으로 시작해보려

해요. 과행사와 여러가지로 공부할 짬이 나질 않아서 참 골치가 아프네요.

공부를 할때 무엇보다 문제는 수리영역인데요. 저는 지난 6월평가원 때 수리영역을 100점 맞을정도로 가장 좋아하고 자신있는 영역이 수리영역인데, 막상 큰시험 수능수리에서는 페닉에 빠져서 허우

적대며 2등급을 받아버렸네요. 이것만 극복한다면, 좋을텐데 말이죠.. 이런 저에게 충고 좀 해주세요ㅠㅠ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lacri · 2 · 10/03/16 15:16 · MS 2002

    '연세대 공대도 좋은 학교야, 만약 이번 수능 시험에서도 수학 문제를 풀다가 또 패닉에 빠져서 점수를 못받는다면, 그냥 이건 운명이라고 생각하고 받아들이자'라고 생각하고 시험을 보면 좀 더 낫지 않을까요? 또 '내가 한 두 문제 더 틀리더라도 별 상관 없어. 이번 시험은 어려우니까, 서울대에 합격하는 다른 학생들도 이정도는 틀릴거야' 정도로 배포를 좀 크게 가져보시거나요.

    무휴학으로 시험을 치를려면 어느 정도는 학교에서 자발적인 아웃사이더가 되어야 하지 않을까요? 과행사까지 다 참여하는 건 조금 무리 같네요.